목차
뇌종양
1. 정의
2. 종류
3. 임상적 징후
4. 치료
5. 예후
1. 정의
2. 종류
3. 임상적 징후
4. 치료
5. 예후
본문내용
을 모아 병소에 집중적으로 조사하며 종양세포를 파괴시키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방사선 조사에 비해 방사선 양의 집중도가 높아 정상 조직의 피복량이 적으므로, 병소에 한꺼번에 많은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사선조사로는 치료효과를 볼 수 없는 신경초종에 대해서도 유효하며, 그뿐 아니라 치료기간도 개두 수술의 경우(4-6주)에 비해 단기간(1-3일)이다.
문제점
- 치료가 종양이 작은 경우에 한정(체적10ml이하, 구형이면 직경20-30mm이하)
- 종양 축소 효과가 20-50%정도밖에 되지 않음
- 안면신경마비가 5%의 비율로 출현하며 청력보존율이 40-50%정도로서 수술보다는 훨씬
적지만 지연성 합병증이 수반될 수 있음
● 이외에 방사선 요법으로는 사이버나이프, 노발리스 가 있다.
▣ 예후
뇌종양 전체의 5년 생존율은 65%를 상회하며, 양성 뇌종양인 수막종은 95%, 뇌하수체 선종은 97%, 신경초종은 94%이다. 한편, 신경교종 전체는 38%, 가장 악성도가 높은 교모세포종은 7%, 그 다음으로 악성도가 높은 악성성상세포종은 24%, 성상세포종이 61%정도이다. 또한 비교적 흔한 전이성 뇌종양 역시 6%에 지나지 않아 악성 뇌종양의 치료는 앞으로 풀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 과거, 현재 및 미래 신경종양학, 김현집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제 2판 성인간호학3, 김조자 외14인, 현문사, 2003
#서울대학교병원 암센터 http://cancer.snuh.org
# 인하대병원 뇌종양 클리닉 http://nskey.inha.ac.kr/tumorclinic.htm
문제점
- 치료가 종양이 작은 경우에 한정(체적10ml이하, 구형이면 직경20-30mm이하)
- 종양 축소 효과가 20-50%정도밖에 되지 않음
- 안면신경마비가 5%의 비율로 출현하며 청력보존율이 40-50%정도로서 수술보다는 훨씬
적지만 지연성 합병증이 수반될 수 있음
● 이외에 방사선 요법으로는 사이버나이프, 노발리스 가 있다.
▣ 예후
뇌종양 전체의 5년 생존율은 65%를 상회하며, 양성 뇌종양인 수막종은 95%, 뇌하수체 선종은 97%, 신경초종은 94%이다. 한편, 신경교종 전체는 38%, 가장 악성도가 높은 교모세포종은 7%, 그 다음으로 악성도가 높은 악성성상세포종은 24%, 성상세포종이 61%정도이다. 또한 비교적 흔한 전이성 뇌종양 역시 6%에 지나지 않아 악성 뇌종양의 치료는 앞으로 풀어야할 중요한 과제이다.
# 과거, 현재 및 미래 신경종양학, 김현집 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제 2판 성인간호학3, 김조자 외14인, 현문사, 2003
#서울대학교병원 암센터 http://cancer.snuh.org
# 인하대병원 뇌종양 클리닉 http://nskey.inha.ac.kr/tumorclinic.htm
키워드
추천자료
두개의 한국
전신마취(정맥마취.흡입마취,기관내삽관,동맥혈압,중심정맥압)
[논문] 기관내 삽관(Intubation)
경두개 초음파검사(TCD:Transcranial Doppler)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무의식 환자, 두개내압 상승환자, 뇌혈관-뇌수술환자 간호
(성인) NICU 뇌실내출혈(ICH) 사례연구
[간호학]뇌실질내 출혈
ICH케이스(두개뇌출혈) 케이스 스터디
경두개 도플러검사 (transcranial doppler : TCD)
Intrahepatic cholangiocarcinoma 간내 담관암,CCC
ICH -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 출혈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사례연구, case study)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DIC-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문헌고찰
[동서협진과 CASE] 두개내출혈 후 VRE감염 여환 1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