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무속의 유형
1. 무당형
2. 단골형
3. 심방형
4. 명두형
Ⅲ. 무속의 역사와 구조
Ⅳ. 무속의 지역적 특징
Ⅴ. 한국의 무속신
1. 신장님
2. 지리천문신장
3. 천문신장
4. 산신
5. 칠성
6. 칠성
7. 십대왕
Ⅵ. 결론
참고문헌
Ⅱ. 무속의 유형
1. 무당형
2. 단골형
3. 심방형
4. 명두형
Ⅲ. 무속의 역사와 구조
Ⅳ. 무속의 지역적 특징
Ⅴ. 한국의 무속신
1. 신장님
2. 지리천문신장
3. 천문신장
4. 산신
5. 칠성
6. 칠성
7. 십대왕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기 때문에 망자로 하여금 삶의 세계에 대해 지니고 있는 모든 집착과 원한을 풀고 유감없이 죽음의 세계로 들어가게 끔 해서 살아있는 사람들을 보호하려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한국 무속의 두 가지 특징을 엿볼 수 있다. [현실중심주의]와 [인간중심주의]가 그것이다. [현실중심주의는 \'지금\', \'이곳\'을 중요시하는 태도이다. [인간중심주의]란 죽은 조상이나 보이지 않는 신들보다도 살아있는 사람들을 더 중요시하는 태도이다. 여기서 살아있는 사람들과 그들의 삶이 전개되고 있는 공간은 분리되거나 대립되는 개념이 아니라 함께 전체를 이루는 개념이다.
Ⅳ. 무속의 지역적 특징
제의면에서 볼 때 중부와 북부 지역 강신무의 굿과 남부 지역세습무의 굿은 영력을 기준으로 볼 때도 확연한 차이를 나타낸다. 강신무는 굿을 할 때 신이 내려서 신격화함으로써 무와 신이 일원화하는 데 반하여, 세습무는 신을 향한 일방적인 사제로 신과 무가 양립된 이원화 현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영력의 유무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제의 양식의 차이가 발견된다. 세습무의 제의에는 신의 하강로를 상징하는 신간(神竿)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제장(祭場)에 설치한다. 제주도 심방굿의 시왕대(十王竿), 수릿대, 굿문기(門旗), 호남 단골굿의 곳대, 명두대, 혼대, 영남무당굿의 처낭대(天王竿), 혼대 등이 모두 대형의 신간으로 제장에 세우는 것이다. 그러나 중부와 북부 지역 강신무의 굿에는 대체로 이와 같은 큰 신간이 사용되지 않거나 간소화된 상태이다. 강신무에게는 강신이 자유로 되기 때문에 굳이 성역을 표시하는 신의 하강로인 신간을 제장에 세울 필요성이 없었거나 있었다 하더라도 점차 도태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습무에게는 신의 강신이 어려워 인위적으로 신의 하강로를 상징하는 대형의 신간이 발전되었거나 아니면 아직도 잔존해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중부와 북부 지역 강신무의 무복은 각 굿거리마다 개개 신의 신복을 상징하는 무복이 따로 있어 굿할 때 무 하나가 l2종 내지 20종의 무복을 입는다. 그러나 남부 지역 세습무의 경우는 무복이 2, 3종 정도이며 호남 지역 단골의 경우는 무복이 퇴화해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강신무와 세습무의 무복 차이는 앞에서 본 신간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강신무는 신의 영력을 얻기 위해 제의에서 자신을 신격화해야 되기 때문에 신복으로서의 무복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세습무의 경우는 영력을 갖거나 신격화할 필요성이 없이 제의를 주관하는 일방적인 사제였기 때문에 신복으로서의 무복이 소용되지 않게 되자 무복은 점차 의례복의 기능으로 전락되어 도태되어 가는 과정이다. 굿의 가무를 보아도 강신무는 장구, 징, 꽹과리, 자금 등의 타악기중심으로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빠르며 세습무는 위의 타악기 말고도 피리, 젓대, 호적 등의 취주 악기와 해금, 가야금, 아쟁 등의 현악기가 반주되어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완만하다. 징, 꽹과리, 제금 등의 금속 타악기는 무의 심경을 자극하여 흥분 상태로 몰아 엑스터시로 들어가 강신의 환상을 촉진시키므로 주로 강신무의 굿에서 사용되며 세습무의 무악은 제의가 점차 의례화하여 예술의 경지로 접근해 가고 있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강신무는 영력을 가지고 신과 직접 교통하지만, 영력이 없는 세습무는 제의의 격식에 주력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세습무 가운데에도 제주도 심방의 경우는 영력을 중요시하므로 무악의 가락이 빠른 타악기 중심이며, 강신무 가운데에도 경기도 일원에서는 피리, 젓대, 해금이 사용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무의 성별을 놓고 남부와 북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남부 지역은 남무가 우세하고 북부 지역은 여무가 우세한 실정이다. 제주와 호남, 영남 지역의 경우도 무의 사제권이 남성 위주로 계승되면서 남성이 제의 진행 전체를 관할하고 굿의 마지막 순서인 거리풀이과정에 사제로서 직접 등장한다. 그러나 중부, 북부 지역 강신무의 경우는 무의 수량면이나 제의 주도권에 있어서 여성이 절대적이다. 가끔 남무인 박수가 있으나 수량면에서 아주 적다.
Ⅴ. 한국의 무속신
1. 신장님
인간의 집터, 일터, 그리고 죽은 후의 무덤터를 정해주는 신이다. 지리천문신장이 터를 잡을 때는 산, 수, 방위, 사람 4가지를 풍수지리설에다 성립시키고 하늘과 하늘의 별자리 위치를 천문학으로 풀이한다. 그러므로 천문신장과 같은 종류의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장은 모두가 남자로써 장군처럼 용맹스럽기 때문에 지리천문신에다 장을 붙여 신장 ,신장님이라 부른다. 신장님 무신도의 밑그림이다. 신장님이 신장칼을 가지고 있다.
2. 지리천문신장
지리천문신장은 하늘을 상징하는 산위에서 갓을 쓰고 도포를 입고 오른손에 지팡이와 왼손에는 터를 잡을때 방위를 설정해주는 나침반을 들고 있다. 정자관을 쓴 지리천문신장이 오른손에 지팡이를 들고 왼손에는 나침반을 들고 서 있다. 오른쪽 부인마마가 자손을 점지해 달라는 상징으로 천주떡(하느님의 떡) 세개를 접시에 들고 서 있다. 지리천문신장이 정해주는 명당터에 따라 그 집 자손의 번창이 좌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3. 천문신장
천문신장은 천문학으로 풀이하여 인간의 여러가지 길흉에 관한 택일을 한다. 지리천문신장과 같은 종류의 신이다. 천문신장이 천문학의 최고경지에 이르고 있다는 것을 뒷편의 서재와 붓통 그리고 글재주로서 그 위엄을 보여주고 있다.
4. 산신
산신, 산할아버지, 산신령님, 신령님 또는 각도처에 있는 명산의 이름을 붙여 000신령 등으로 부른다. 산신은 모두가 호랑이의 변화신인 신선을 그리고 그 옆에 뜨는 신선을 태우고 있는 호랑이가 있다. 신선은 인적이 드문 깊은 산 골짜기를 배경으로하여 근엄스러운 백발노인을 그리고 옆에는 간혹 선녀나 동자가 있어 신선을 시봉하고 있는 모습이다. 호랑이는 영험한 동물로써 신으로 그리고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는 재주가 있다. 산신령이 들고 있는 죽순은 남성을 상징하고 산삼과 불사약이 든 조롱박은 인간의 죽음을 회생시킬 수 있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 주로 산신은 남자이지만 때로 여자이기도 하는데 예로 계룡산의 산신은 여산신이다.
5. 칠성
칠성제석님이 하강하여 노실 적에는 인간에게 명과 복을 주기 위해 명사리
Ⅳ. 무속의 지역적 특징
제의면에서 볼 때 중부와 북부 지역 강신무의 굿과 남부 지역세습무의 굿은 영력을 기준으로 볼 때도 확연한 차이를 나타낸다. 강신무는 굿을 할 때 신이 내려서 신격화함으로써 무와 신이 일원화하는 데 반하여, 세습무는 신을 향한 일방적인 사제로 신과 무가 양립된 이원화 현상을 보인다. 이와 같은 영력의 유무를 기준으로 다음과 같은 제의 양식의 차이가 발견된다. 세습무의 제의에는 신의 하강로를 상징하는 신간(神竿)을 필수적인 조건으로 제장(祭場)에 설치한다. 제주도 심방굿의 시왕대(十王竿), 수릿대, 굿문기(門旗), 호남 단골굿의 곳대, 명두대, 혼대, 영남무당굿의 처낭대(天王竿), 혼대 등이 모두 대형의 신간으로 제장에 세우는 것이다. 그러나 중부와 북부 지역 강신무의 굿에는 대체로 이와 같은 큰 신간이 사용되지 않거나 간소화된 상태이다. 강신무에게는 강신이 자유로 되기 때문에 굳이 성역을 표시하는 신의 하강로인 신간을 제장에 세울 필요성이 없었거나 있었다 하더라도 점차 도태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세습무에게는 신의 강신이 어려워 인위적으로 신의 하강로를 상징하는 대형의 신간이 발전되었거나 아니면 아직도 잔존해 있는 것이라 생각된다. 중부와 북부 지역 강신무의 무복은 각 굿거리마다 개개 신의 신복을 상징하는 무복이 따로 있어 굿할 때 무 하나가 l2종 내지 20종의 무복을 입는다. 그러나 남부 지역 세습무의 경우는 무복이 2, 3종 정도이며 호남 지역 단골의 경우는 무복이 퇴화해서 거의 사용되지 않는 상태이다. 이와 같은 강신무와 세습무의 무복 차이는 앞에서 본 신간과는 대조적인 현상이다. 강신무는 신의 영력을 얻기 위해 제의에서 자신을 신격화해야 되기 때문에 신복으로서의 무복이 발달하게 되었으며 세습무의 경우는 영력을 갖거나 신격화할 필요성이 없이 제의를 주관하는 일방적인 사제였기 때문에 신복으로서의 무복이 소용되지 않게 되자 무복은 점차 의례복의 기능으로 전락되어 도태되어 가는 과정이다. 굿의 가무를 보아도 강신무는 장구, 징, 꽹과리, 자금 등의 타악기중심으로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빠르며 세습무는 위의 타악기 말고도 피리, 젓대, 호적 등의 취주 악기와 해금, 가야금, 아쟁 등의 현악기가 반주되어 가무의 가락과 속도가 완만하다. 징, 꽹과리, 제금 등의 금속 타악기는 무의 심경을 자극하여 흥분 상태로 몰아 엑스터시로 들어가 강신의 환상을 촉진시키므로 주로 강신무의 굿에서 사용되며 세습무의 무악은 제의가 점차 의례화하여 예술의 경지로 접근해 가고 있는 현상으로 볼 수 있다. 강신무는 영력을 가지고 신과 직접 교통하지만, 영력이 없는 세습무는 제의의 격식에 주력하였을 것이라 생각된다. 세습무 가운데에도 제주도 심방의 경우는 영력을 중요시하므로 무악의 가락이 빠른 타악기 중심이며, 강신무 가운데에도 경기도 일원에서는 피리, 젓대, 해금이 사용되는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무의 성별을 놓고 남부와 북부 지역을 비교해 볼 때 남부 지역은 남무가 우세하고 북부 지역은 여무가 우세한 실정이다. 제주와 호남, 영남 지역의 경우도 무의 사제권이 남성 위주로 계승되면서 남성이 제의 진행 전체를 관할하고 굿의 마지막 순서인 거리풀이과정에 사제로서 직접 등장한다. 그러나 중부, 북부 지역 강신무의 경우는 무의 수량면이나 제의 주도권에 있어서 여성이 절대적이다. 가끔 남무인 박수가 있으나 수량면에서 아주 적다.
Ⅴ. 한국의 무속신
1. 신장님
인간의 집터, 일터, 그리고 죽은 후의 무덤터를 정해주는 신이다. 지리천문신장이 터를 잡을 때는 산, 수, 방위, 사람 4가지를 풍수지리설에다 성립시키고 하늘과 하늘의 별자리 위치를 천문학으로 풀이한다. 그러므로 천문신장과 같은 종류의 신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신장은 모두가 남자로써 장군처럼 용맹스럽기 때문에 지리천문신에다 장을 붙여 신장 ,신장님이라 부른다. 신장님 무신도의 밑그림이다. 신장님이 신장칼을 가지고 있다.
2. 지리천문신장
지리천문신장은 하늘을 상징하는 산위에서 갓을 쓰고 도포를 입고 오른손에 지팡이와 왼손에는 터를 잡을때 방위를 설정해주는 나침반을 들고 있다. 정자관을 쓴 지리천문신장이 오른손에 지팡이를 들고 왼손에는 나침반을 들고 서 있다. 오른쪽 부인마마가 자손을 점지해 달라는 상징으로 천주떡(하느님의 떡) 세개를 접시에 들고 서 있다. 지리천문신장이 정해주는 명당터에 따라 그 집 자손의 번창이 좌우되는 것이기 때문이다.
3. 천문신장
천문신장은 천문학으로 풀이하여 인간의 여러가지 길흉에 관한 택일을 한다. 지리천문신장과 같은 종류의 신이다. 천문신장이 천문학의 최고경지에 이르고 있다는 것을 뒷편의 서재와 붓통 그리고 글재주로서 그 위엄을 보여주고 있다.
4. 산신
산신, 산할아버지, 산신령님, 신령님 또는 각도처에 있는 명산의 이름을 붙여 000신령 등으로 부른다. 산신은 모두가 호랑이의 변화신인 신선을 그리고 그 옆에 뜨는 신선을 태우고 있는 호랑이가 있다. 신선은 인적이 드문 깊은 산 골짜기를 배경으로하여 근엄스러운 백발노인을 그리고 옆에는 간혹 선녀나 동자가 있어 신선을 시봉하고 있는 모습이다. 호랑이는 영험한 동물로써 신으로 그리고 인간으로 변화할 수 있는 재주가 있다. 산신령이 들고 있는 죽순은 남성을 상징하고 산삼과 불사약이 든 조롱박은 인간의 죽음을 회생시킬 수 있는 마력을 지니고 있다. 주로 산신은 남자이지만 때로 여자이기도 하는데 예로 계룡산의 산신은 여산신이다.
5. 칠성
칠성제석님이 하강하여 노실 적에는 인간에게 명과 복을 주기 위해 명사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