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 게임중독에 관한 조사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온라인 게임중독에 관한 조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중독의 개념 및 중독 진단
1) 중독의 개념
2) 인터넷 중독으로서의 게임
3) 온라인 게임중독
▷ 온라인 게임중독의 특성

2. 온라인 게임 중독의 심각성

3. 온라인 게임 중독 관련 리서치 자료

4. 온라인 게임 중독의 원인
1) 온라인 게임 중독의 원인
2)용어로 알아본 중독의 원인

5. 온라인 게임중독에 관한 대처방안과 대안

6. 게임중독 치료에 대한 자세한 방안
1) 통제력의 문제
2) 방향성의 문제
3) 치료의 종류

7. 게임중독의 유형과 대응방안
1) 일반적 ‘중‘사용자(heavy user)에 대한 방안
2) 우수 콘텐츠 개발 환경 조성
3) 게임이해의 장을 마련 : 부모와 교사에 대한 상담 및 게임인식/체험교육
4) 게임중독 상담 및 게임관련 진로상담 관련기관 확대
: 상담기관, 치료기관

본문내용

\"한국 청소년 75만명이 게임중독에 빠져 심각한 상황이다\"고 보도했다. 이 잡지는 \"프로게이머라는 직업이 생길 정도로 게임산업이 각광받고 있지만 게임에 열광하는 청소년들은 게임중독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전했다. 슈피겔은 특히 \"한국 청소년들의 경우 알코올중독이나 마약중독보다 게임중독이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지만 한국정부가 게임산업의 성공을 위해 게임중독에는 무관심하다\"고 지적했다. 이 잡지는 한국의 온라인게임 인구가 전체인구의 3분의 1인 1,700만명에 달하고 이중 75만명이 게임중독에 빠져있으며 210만명은 중독될 위험이 큰 사람들이라고 추정했다.
이에 앞서 지난해 말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타임즈가 ‘인터넷 게임중독에 빠진 한국’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통해 \"한국이 인터넷게임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지만 최근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각종 폐해들은 결코 남의 이야기가 아니다\"고 보도했다. 이 신문은 대구의 모 PC방에서 50시간 이상 게임을 하다가 숨진 이모씨의 사건을 인용해 한국에는 2만 5,000여개의 PC방이 성행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은 자신이 게임에 중독된 줄도 모를 정도로 방치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LA타임즈는 캐스트로노바 교수의 말을 인용해 \"한국이 경험하고 있는 현상들을 머지않아 우리도 경험하게 될 것들\"이라며 \"이씨의 죽음은 판타지 세계가 우리 모두에게 얼마나 커다란 영향력을 끼치는 지를 보여준 중요한 사례\"라고 말했다.
6)사례-6 : 00 중학교 학생 인터뷰 내용
문 : 주로 인터넷은 사용할 때 어떤 것을 이용해? 채팅? 게임?
학생 : 거의 게임이요. 채팅은 거의 안하구요? 솔직히 남자애들은 채팅은 거의
안하고 보통 게임이나 머 저는 음악사이트 많이 이용하는데.
문 : 주로 언제 컴퓨터를 해?
학생 : 저녁시간에요.
문 : 몇 시간 정도?
학생 : 휴일에 마음먹으면 한 12시간 정도. 부모님 안 계시는 동안 계속해요.
문 : 게임은 주로 어떤 것을 해?
학생 : 저같이 정신연령이 낮으면요. 머 겟엠프드라든가, 평범한 거 할때는 데카론. 부모님 아이디 이용해가지고요. RPG인데요. 리니지 같은 스타일이에요.
문 : 게임방 가면 어떤 것들 해?
학생 : 집에서 안돌아가는 사양 엄청 높은 것들 해요. 온라인 만 하는 게 아니라 사
양이 안 되서 못하는 것들 많이 해요. 이것저것 돌아가면서요.
문 : 한 번 가면 얼마나 하는데?
학생 : 한 번갈 때 한 시간에서 두 시간 정도 해요.
문 : 친구들끼리 놀러가는 거구나? 다른 사람들처럼 오래 앉아서 하루 종일 게임하
거나 그런 건 아니겠네?
학생 : 네. 게임이 집에서 하는 거 보다 훨씬 잘 돌아가고 하시 편하니까요.
문 : 거의 그냥 컴퓨터를 게임 용도로만 사용하는 거야?
학생 : 아니요. 그리고요. 동영상 강의 많이 해요. I-NET SCHOOL 이요.
문 : 다른 학생들은? 거의 게임?
학생 : 저 같은 경우는 집에서 컴퓨터 사양이 안 되서 집에서는 딱히 할 게 없어요. 아마 동영상 강의도 끊겨서 안 돌아갈 거에요.
문 : 그럼 게임을 재밌어서 하는 거지? 공부보다 단지 재밌으니까?
학생 : 아니요. 가끔 돈 벌려고 하는 경우도 있는데요.
문 : 게임 상에서 아니면 현으로?
학생 : 현으로요. 근데 열심히 했는데 5만원도 못 받았어요. 한 달간 열심히 했는데.
문 : 학교에서 그럼 게임 잘하는 친구들 인기 많겠네? 레벨 높거나 하면?
학생 : 초등학교 때는 많이 그랬는데 지금은 잘 안그래요?
문 : 공부 잘하는 친구가 인기 많아, 게임 잘하는 친구가 인기 많아?
학생 : 게임 그런 거 보다는 잘 노는 친구가 인기 많아요.
문 : 언제부터 그렇게 컴퓨터에 맛을 들이기 시작했어?
학생 : 저희 형도 저보다 사용시간이 더 높아서 영향을 많이 받아서 5학년 때
하루에 한 시간씩 하다가 일요일에는 많이 해야 3시간 하면 어지러웠는데 지금은 계속해도 안 어지럽던데요?
문 : 그럼 특별히 하지 말라고 하는 사람은 없고?
학생 : 그냥 잔소리는 약간 부모님이 하시구요. 형은 옛날에는 적게 하면 터치 안했는데 지 금은 소리 많이 해요. 바로 잡아 줄라구요.
문 : 그럼 본인들이 내가 게임을 좀 심하게 하고 있구나 라고 생각은 하고 있니?
학생 : 네
문 : 언제부터 심해졌다고 생각해?
학생 : 중 1때부터요.
문 : 여태까지 제일 많이 오래 해봤던 게임은 어떤 게 있을까?
학생 : 겟엠프드 하고 나서 해도 해도 안 질려서 거기에 시간도 많이 쏟아 부었고 돈도 많 이 쏟아 부었어요. 애들 빨리 죽이고 힘쎄 질려고 악세사리 같은 거 달다 보니까 현 금으로 한 10만원 정도 투자했어요. 제가 직접 알바해서 아니면 상 받으면 가끔 문 화상품권 주는 걸로 하고 그랬어요.
문 : 게임방비는 용돈으로 충당하는 건가?
학생 : 친구들이랑 게임 1시간만하고 온다고 해서 부모님한테 받고요.
문 : 게임을 오래해서 굉장히 심하게 혼나본 적도 있어?
학생 : 네 형한테요.
문 : 여태까지 게임을 안 쉬고 제일 오래 해본 시간이 얼마나 돼?
학생 : 24시간이요. 제 친구 중에서는 안 먹고 안자고 안 싸고 3일 동안 밤새서 하는 애도
있었어요.
문 : 근데 가끔 그런 얘기 들을 때 그렇게 하면 생활이 어때?
학생 : 그래도 저는 밥 다 먹고 하니까 나한테는 적용이 안 된다 라고 생각하죠. 게임방에 서 하는 건 그럴지도 몰라도요. 저는 집에서 하니까 머 굶어죽을 일도 없고.
문 : 언제 24시간 한거야?
학생 : 부모님이 금요일에 부모님이 동반 산행 가셔서요. 작정하고 1600원 정도
있길래 그걸로 박카스 다 사먹고 준비하고 24시간 동안 한 적 있어요.
문 : 하고나니까 어땠어? 피곤하거나 어디 아프거나 하지는 않았어?
학생 : 다음 날 약간 졸려서요. 한 5시간 정도 자고 또 일어나서 게임했어요.
문 : 지금 또 하라 그러면 할 수 있을 것 같아?
학생 : 지금요? 할 수 있죠.
문 : 게임의 장점이 있으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학생 : 스트레스 해소가 되죠. 인간관계 다지는 것도 연습할 수 있구요.
문 : 왜 잘 키워서 프로게이머 되고 돈 많이 벌 수 있잖아?
학생 : 프로게이머는요. 초등학교 때는 생각을 해
  • 가격1,9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8.11.24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949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