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본문내용
도는구나.
ㆍ몇 개의 모둠으로 나누고, 모둠별로 가사의 내용에 대해 협의해 본다.
ㆍ노래의 형식은 자유롭게하되, 집을 떠나는 사람으로서의 심정이 가사에 드러나도록 한다.
ㆍ모둠별로 가장 재미있고 특이한 사례를 선정하여 발표한다.
▶답 : 물이로구나 헤-
나는 이 길로 임은 저 길로
어차피 인생은 엇갈린 길인 것을
차라리 하늘을 이불 삼아
이슬 맞고 살아가려네.
[3] 문학의 구조
* 심청가(沈淸歌)
<꼼꼼히 읽기>
(1) 이 작품이 희곡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소설에 더 가깝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답 : 인물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서 보여 준다는 점, 판소리의 창자(唱者,광대)가 연극의 배우처럼 표정이나 동작을 이용한 연기를 한다는 점은 희곡의 성격과 통하는 바가 있다. 그러나 연극에서는 서술자에 의한 직접적인 묘사나 서술이 불가능한 데 비하여 소설에서는 그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작품은 서술자가 인물의 심리를 묘사한다거나 사건의 전개 과정을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에 더욱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탐구/<심청가>의 구조
이 작품은 외적으로는 창과 아니리, 발림을 통하여 시간 순서에 입각해 사건의 경과를 전해 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적으로는 가난하게 살았던 하층민의 실상을 알게 한다든지(인지적측면), 남편을 버리고 가는 뺑덕이네를 통해 부부간의 윤리 문제를 생각하게 한다든지(정의적 측면), 비극적인 상황을 희극적으로 처리하여 해학미를 느끼게 하는(심미적 측면) 등의 복합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
(2) 이 작품에서 ‘발림’에 해당하는 부분이 표시되지 않은 이유를 판소리의 전달 방식을 바탕으로 생각해 보자.
▶답 : 판소리가 문자로 기록되어 전하지 않고 입으로 구연(口演)되었기 때문이다.
(3) 뺑덕이네의 행실을 소개한 부분을 읽을 때, 뺑덕이네를 미워하기보다는 웃음이 나오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답 : 뺑덕이네의 행동을 과장하여 우스꽝스럽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힐끗허면 핼끗허고 핼끗허면 힐끗허고 삐쭉허면 빼쭉하고 빼쭉하면 삐쭉허고”라고 묘사한 대목에서는 인물의 성격을 유사한 의성어를 열거해 가면서 재미있게 형상화하고 있다.
<시야 넓히기>
※ 판소리 심청가 중에서 본문에 인용된 부분을 듣고, 내용과 장단의 상관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자.
▶답 : 기쁘거나 우스꽝스러운 대목에서는 장단이 빨라지고, 슬프거나 처량한 대목에서는 장단이 느려진다.
<표현하기>
※ 다음 설화를 읽고, 아래의 조건에 따라 편지를 써 보자.
므로 손순은 이를 민망해 여겨 그 아내에게 의논하기를, “아이는 다시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얻기 어렵소. 이제 아이가 저렇게 어머니 음식을 빼앗아 먹으니 어머니의 굶주림이 얼마나 심하겠소? 차라리 이 아이를 땅에 묻어 버려서 어머니를 배부르게 해 드리는 것이 좋겠소.”했다. 이에 아이를 업고 취산 북쪽 들로 가서 땅을 파니, 거기에서 갑자기 기이한 석종이 나왔다. 그들 내외는 놀라고 이상히 여겨 잠시 나무 위에 걸고 그 종을 쳐 보았더니 그 소리가 은은하고 고왔다. 아내가 말하기를 “이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이의 복인 것 같으니 도로 데리고 갑시다.”하니, 남편도 역시 그렇게 생각하여 아이를 업고 종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종을 들보에 달고 드드리니 그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렸다. 흥덕왕이 그 종소리를 듣고 좌우에게 말하기를, “서쪽 교외에서 이상한 종소리가 나는데 더없이 맑고 멀리 들리니 속히 조사해 보라.”했다. 왕의 사자가 그 집에 가서 조사해 보고 사실을 자세히 아뢰니, 왕은 “옛날 곽거가 아들을 파묻을 때 하늘이 금솥을 내렸다더니, 지금 손순이 아이를 묻으려하자 땅에서 석종이 솟아났으니, 이 두 효도는 천지에 똑같은 본보기로다.”하고, 집 한 채와 해마다 곡식 50석을 주어 그 지극한 효성을 숭상했다.
- <<삼국유사>> 권 5, <손순매아>
손순은 모량리 사람으로서 아버지는 학산이라 했다. 그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그는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다가 늙은 어머니를 봉양했는데, 어머니는 이름을 운오라 했다. 손순에게는 어린 아이가 있어, 언제나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으
ㆍ손순의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의 형식을 취한다.
ㆍ손순의 행동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입장 중 하나를 택한다.
▶답 : 생략
2. 문학의 기능과 가치
[1] 문학의 기능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정학유
<꼼꼼히 읽기>
(1) 이 작품에서 정월의 농사일로 소개된 것들을 찾아보자.
▶답 : ‘농지 다스리기, 농우 살펴 먹이기, 재거름 재워 놓기, 재거름 실어 내기, 맥전에 오줌 주기’(p 37: : 19~21), \'실과 나무 껍질 벗기기, 가지 사이 돌 끼우기‘(p 37: : 25)
(2) 이 작품에서 작자가 열심히 농사를 지어야 하는 이유로 가장 강조한 것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자.
▶답 : 농사에 힘쓸 것을 권면하는 임금의 간곡한 명령 때문이다.
※탐구/<농가월령가>의 문학적 기능
<농가월령가>는 마치 월중 행사표처럼 농가에서 매달 해야 할 일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인식적 기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농민들에게 근면하게 농사에 힘쓸 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윤리적 기능을, 농촌 사회의 풍속과 문화를 바탕으로 농민
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농촌 공동체의 의사를 결집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동체 통합의 기능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이 작품을 읽고 동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답 : 농촌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자기 일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동질감을 느끼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동질감을 느끼기 어려울 것이다.
(4) 이 작품에서 농민들에게 농사에 힘쓸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한 어조에 대해
알아보자.
▶답 : 명령형이나 청유형의 어미를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실천에 옮길 것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시야 넓히기>
※ 다음은 정철의 <훈민가>중 일부분이다. 문학의 기능과 관련하여 이 작품의 창작 의도를 말해 보자.
오도 다 새거다. 호
ㆍ몇 개의 모둠으로 나누고, 모둠별로 가사의 내용에 대해 협의해 본다.
ㆍ노래의 형식은 자유롭게하되, 집을 떠나는 사람으로서의 심정이 가사에 드러나도록 한다.
ㆍ모둠별로 가장 재미있고 특이한 사례를 선정하여 발표한다.
▶답 : 물이로구나 헤-
나는 이 길로 임은 저 길로
어차피 인생은 엇갈린 길인 것을
차라리 하늘을 이불 삼아
이슬 맞고 살아가려네.
[3] 문학의 구조
* 심청가(沈淸歌)
<꼼꼼히 읽기>
(1) 이 작품이 희곡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면서도 소설에 더 가깝게 느껴지는 이유는 무엇인가?
▶답 : 인물의 대화와 행동을 통해서 보여 준다는 점, 판소리의 창자(唱者,광대)가 연극의 배우처럼 표정이나 동작을 이용한 연기를 한다는 점은 희곡의 성격과 통하는 바가 있다. 그러나 연극에서는 서술자에 의한 직접적인 묘사나 서술이 불가능한 데 비하여 소설에서는 그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작품은 서술자가 인물의 심리를 묘사한다거나 사건의 전개 과정을 개략적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소설에 더욱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탐구/<심청가>의 구조
이 작품은 외적으로는 창과 아니리, 발림을 통하여 시간 순서에 입각해 사건의 경과를 전해 주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내적으로는 가난하게 살았던 하층민의 실상을 알게 한다든지(인지적측면), 남편을 버리고 가는 뺑덕이네를 통해 부부간의 윤리 문제를 생각하게 한다든지(정의적 측면), 비극적인 상황을 희극적으로 처리하여 해학미를 느끼게 하는(심미적 측면) 등의 복합적인 요소를 갖추고 있다.
(2) 이 작품에서 ‘발림’에 해당하는 부분이 표시되지 않은 이유를 판소리의 전달 방식을 바탕으로 생각해 보자.
▶답 : 판소리가 문자로 기록되어 전하지 않고 입으로 구연(口演)되었기 때문이다.
(3) 뺑덕이네의 행실을 소개한 부분을 읽을 때, 뺑덕이네를 미워하기보다는 웃음이 나오게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답 : 뺑덕이네의 행동을 과장하여 우스꽝스럽게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힐끗허면 핼끗허고 핼끗허면 힐끗허고 삐쭉허면 빼쭉하고 빼쭉하면 삐쭉허고”라고 묘사한 대목에서는 인물의 성격을 유사한 의성어를 열거해 가면서 재미있게 형상화하고 있다.
<시야 넓히기>
※ 판소리 심청가 중에서 본문에 인용된 부분을 듣고, 내용과 장단의 상관 관계에 대해 생각해 보자.
▶답 : 기쁘거나 우스꽝스러운 대목에서는 장단이 빨라지고, 슬프거나 처량한 대목에서는 장단이 느려진다.
<표현하기>
※ 다음 설화를 읽고, 아래의 조건에 따라 편지를 써 보자.
므로 손순은 이를 민망해 여겨 그 아내에게 의논하기를, “아이는 다시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얻기 어렵소. 이제 아이가 저렇게 어머니 음식을 빼앗아 먹으니 어머니의 굶주림이 얼마나 심하겠소? 차라리 이 아이를 땅에 묻어 버려서 어머니를 배부르게 해 드리는 것이 좋겠소.”했다. 이에 아이를 업고 취산 북쪽 들로 가서 땅을 파니, 거기에서 갑자기 기이한 석종이 나왔다. 그들 내외는 놀라고 이상히 여겨 잠시 나무 위에 걸고 그 종을 쳐 보았더니 그 소리가 은은하고 고왔다. 아내가 말하기를 “이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이의 복인 것 같으니 도로 데리고 갑시다.”하니, 남편도 역시 그렇게 생각하여 아이를 업고 종을 가지고 집으로 돌아와, 종을 들보에 달고 드드리니 그 소리가 대궐에까지 들렸다. 흥덕왕이 그 종소리를 듣고 좌우에게 말하기를, “서쪽 교외에서 이상한 종소리가 나는데 더없이 맑고 멀리 들리니 속히 조사해 보라.”했다. 왕의 사자가 그 집에 가서 조사해 보고 사실을 자세히 아뢰니, 왕은 “옛날 곽거가 아들을 파묻을 때 하늘이 금솥을 내렸다더니, 지금 손순이 아이를 묻으려하자 땅에서 석종이 솟아났으니, 이 두 효도는 천지에 똑같은 본보기로다.”하고, 집 한 채와 해마다 곡식 50석을 주어 그 지극한 효성을 숭상했다.
- <<삼국유사>> 권 5, <손순매아>
손순은 모량리 사람으로서 아버지는 학산이라 했다. 그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그는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다가 늙은 어머니를 봉양했는데, 어머니는 이름을 운오라 했다. 손순에게는 어린 아이가 있어, 언제나 어머니의 음식을 빼앗아 먹으
ㆍ손순의 아내에게 보내는 편지의 형식을 취한다.
ㆍ손순의 행동을 옹호하거나 비판하는 입장 중 하나를 택한다.
▶답 : 생략
2. 문학의 기능과 가치
[1] 문학의 기능
*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정학유
<꼼꼼히 읽기>
(1) 이 작품에서 정월의 농사일로 소개된 것들을 찾아보자.
▶답 : ‘농지 다스리기, 농우 살펴 먹이기, 재거름 재워 놓기, 재거름 실어 내기, 맥전에 오줌 주기’(p 37: : 19~21), \'실과 나무 껍질 벗기기, 가지 사이 돌 끼우기‘(p 37: : 25)
(2) 이 작품에서 작자가 열심히 농사를 지어야 하는 이유로 가장 강조한 것은 무엇인지 확인해 보자.
▶답 : 농사에 힘쓸 것을 권면하는 임금의 간곡한 명령 때문이다.
※탐구/<농가월령가>의 문학적 기능
<농가월령가>는 마치 월중 행사표처럼 농가에서 매달 해야 할 일을 알려 준다는 점에서 인식적 기능을 지니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농민들에게 근면하게 농사에 힘쓸 것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윤리적 기능을, 농촌 사회의 풍속과 문화를 바탕으로 농민
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고, 농촌 공동체의 의사를 결집해 주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동체 통합의 기능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이 작품을 읽고 동질감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도 있을 것이다. 그 이유가 무엇인지 생각해 보자.
▶답 : 농촌 문화에 익숙한 사람들은 그 내용을 쉽게 이해하고 자기 일로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동질감을 느끼겠지만, 그렇지 않은 사람들은 동질감을 느끼기 어려울 것이다.
(4) 이 작품에서 농민들에게 농사에 힘쓸 것을 강조하기 위하여 사용한 어조에 대해
알아보자.
▶답 : 명령형이나 청유형의 어미를 사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실천에 옮길 것을 강하게 촉구하고 있다.
<시야 넓히기>
※ 다음은 정철의 <훈민가>중 일부분이다. 문학의 기능과 관련하여 이 작품의 창작 의도를 말해 보자.
오도 다 새거다. 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