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술치료
2. 미술치료의 주요개념
1) 무의식, 치환, 투사
2) 승화
3) 창의성
3. 미술치료의 활용
4. 미술치료의 역사
5. 미술 치료의 가치
6. 미술치료의 구성
1) 미술치료실의 환경
2) 미술치료의 시간
3) 미술치료의 구성
4) 미술치료자의 역할
5) 미술치료의 재료
6) 미술치료 과정(그림 치료)
2. 미술치료의 주요개념
1) 무의식, 치환, 투사
2) 승화
3) 창의성
3. 미술치료의 활용
4. 미술치료의 역사
5. 미술 치료의 가치
6. 미술치료의 구성
1) 미술치료실의 환경
2) 미술치료의 시간
3) 미술치료의 구성
4) 미술치료자의 역할
5) 미술치료의 재료
6) 미술치료 과정(그림 치료)
본문내용
1. 미술치료
미술치료는 심리치료의 한 유형이다. 심리적 문제를 지닌 내담자와 상담할 때 내담자의 마음 상태에 따라서 단순히 대화로만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담 도중에 내담자의 상태를 보아가며 여러가지 미술창작활동 그림, 조소, 디자인, 서예 등 미술 전 영역이 포함된다 을 제시하여 내담자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고 내담자의 마음이 진정되게 하여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알고 문제를 느끼게 돌보아 주는 것이다. 내담자들의 객관적이고 의식적인 서술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해 가는 효과적인 치료기법이다.
미술 치료를 <미술>과 <치료>라는 두 단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이다.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은 예술을 창조하는 행위 그 자체가 치료적이라고 보는 것으로 대표적인 학자는 크래머(Kramer)이다.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은 미술작품을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에서 전달된 상징적 회화라고 보는 입장으로써 대표적인 학자는 나움버그(Naumberg)이다.
2. 미술치료의 주요개념
1) 무의식, 치환, 투사
• 무의식
치료자는 미술재료를 사용하여 환자의 무의식을 점진적 드러내고자 한다. 치료자에 대한 신뢰와 치료관계에 대한 조절감 및 안전감이 높아지면 좀 더 구조화된 미술 활동을 하도록 해서 무의식 속에 파묻혀 억압된 감정 드러내게 할 수 있다.
• 치환
미술 치료에서는 자기 자신이나 남에게 신체적, 정신적 혹은 교육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고 아동의 억압된 정서를 치환
• 투사
가족이나 친구와 같이 아동에게 중요한 사람에 대한 지각과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환경에 대한 지각을 나타내는 것이 효과적
2) 승화
치환의 한 형태로 아동의 정신적 에너지와 불안이 아동이 정한 목표보다 더 낮은 서열에 있는 목적이나 목표로 전이되어 가는 것. 미술치료에서 승화는 아동이 창조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심리적 성장을 가져올 때 일어난다.
3) 창의성
Lowenfeld는 창의성 발달을 인식(awareness)과 독창성(originality), 자아 정체감(self-identification)의 발달로 정의
※ 창의성의 8가지 기본 하위 개념
① 민감성(sensitivity) : 자신이나 타인과 관계된 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
② 유창성(fluency) : 신속하고 자유롭게 사고하여 행동하는 능력
③ 융통성(flexibility) :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
④ 독창성(originality) :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능력
⑤ 재조직력(reorganize) : 문제를 재정의 하는 노력
⑥ 요약성(abstract) : 문제의 부분을 분석하고 각 부분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술
⑦ 종합성(synthesize) : 행동의 제 요소를 하나의 가능한 산물로 만드는 능력
⑧ 조직력(organize) : 한 행동의 제 요소를 하나의 산물로 만드는 능력
미술치료는 심리치료의 한 유형이다. 심리적 문제를 지닌 내담자와 상담할 때 내담자의 마음 상태에 따라서 단순히 대화로만 이해하기에는 어려운 경우가 많다. 상담 도중에 내담자의 상태를 보아가며 여러가지 미술창작활동 그림, 조소, 디자인, 서예 등 미술 전 영역이 포함된다 을 제시하여 내담자의 마음을 정확하게 읽고 내담자의 마음이 진정되게 하여 내담자 스스로 자신의 마음을 알고 문제를 느끼게 돌보아 주는 것이다. 내담자들의 객관적이고 의식적인 서술만으로는 파악하기 어려운 무의식의 세계를 탐구해 가는 효과적인 치료기법이다.
미술 치료를 <미술>과 <치료>라는 두 단어로 나누어 볼 수 있다. 하나는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이고 다른 하나는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이다. 미술을 중시하는 입장은 예술을 창조하는 행위 그 자체가 치료적이라고 보는 것으로 대표적인 학자는 크래머(Kramer)이다. 치료를 중시하는 입장은 미술작품을 치료자와 내담자 사이에서 전달된 상징적 회화라고 보는 입장으로써 대표적인 학자는 나움버그(Naumberg)이다.
2. 미술치료의 주요개념
1) 무의식, 치환, 투사
• 무의식
치료자는 미술재료를 사용하여 환자의 무의식을 점진적 드러내고자 한다. 치료자에 대한 신뢰와 치료관계에 대한 조절감 및 안전감이 높아지면 좀 더 구조화된 미술 활동을 하도록 해서 무의식 속에 파묻혀 억압된 감정 드러내게 할 수 있다.
• 치환
미술 치료에서는 자기 자신이나 남에게 신체적, 정신적 혹은 교육적인 손상을 입히지 않고 아동의 억압된 정서를 치환
• 투사
가족이나 친구와 같이 아동에게 중요한 사람에 대한 지각과 가정이나 학교와 같은 환경에 대한 지각을 나타내는 것이 효과적
2) 승화
치환의 한 형태로 아동의 정신적 에너지와 불안이 아동이 정한 목표보다 더 낮은 서열에 있는 목적이나 목표로 전이되어 가는 것. 미술치료에서 승화는 아동이 창조적인 미술 활동을 통해 심리적 성장을 가져올 때 일어난다.
3) 창의성
Lowenfeld는 창의성 발달을 인식(awareness)과 독창성(originality), 자아 정체감(self-identification)의 발달로 정의
※ 창의성의 8가지 기본 하위 개념
① 민감성(sensitivity) : 자신이나 타인과 관계된 문제에 대한 인식과 이해
② 유창성(fluency) : 신속하고 자유롭게 사고하여 행동하는 능력
③ 융통성(flexibility) : 새로운 상황에 적응하는 능력
④ 독창성(originality) :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능력
⑤ 재조직력(reorganize) : 문제를 재정의 하는 노력
⑥ 요약성(abstract) : 문제의 부분을 분석하고 각 부분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기술
⑦ 종합성(synthesize) : 행동의 제 요소를 하나의 가능한 산물로 만드는 능력
⑧ 조직력(organize) : 한 행동의 제 요소를 하나의 산물로 만드는 능력
추천자료
[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미술치료사]미술치료 고찰과 미술치료기법 및 미술치료사의 자질 ...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의 구성 요소, 미술치료의 필요성, ...
[미술치료][미술치료기법][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방법][미술심리치료][미술요법]미술치...
[미술치료][미술][치료]미술치료 심층 분석(미술치료의 개념, 미술치료의 실제, 미술치료의 ...
[미술치료][미술치료프로그램]미술치료의 정의 유형, 미술치료의 역사, 다양한 관점의 미술치...
[미술치료]미술치료의 정의, 미술치료의 목적, 미술표현의 발달과 치료, 미술치료과정에서의 ...
[교육학] 미술치료[풍경구성법, 풍경미술법]
미술치료의 개념과 심리이론별 모형, 현상학적미술치료, 게슈탈드, 인간중심, 행동주의 미술...
아동의 증상별 개입방법 가운데 미술치료에 대해서 알아보시오
프로그램 및 논문분석 보고서 -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ADHD 아동의 충동성과 자...
[미술치료] 미술치료의 장단점과 적용 방법 - 미술치료 역사, 미술치료 목적, 미술치료 장점,...
[미술美術치료와 뇌의 관계] 뇌 연구의 필요성과 미술치료의 상관관계, 미술치료와 뇌연구, ...
[미술치료의 적용] 미술치료실의 물리적 환경, 미술치료의 진행과 시간, 미술치료자의 태도, ...
미술치료의 정의와 역사, 미술치료의 이론적 구성(정신분석 미술치료, 분석적 미술치료, 인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