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젓갈이란 무엇인가?----1
2. 젓갈의 역사-----------1
3. 젓갈의 종류-----------3
(1) 젓
(2) 식해
(3) 어육장
4. 젓갈의 영양-----------5
5. 느낀점----------------6
2. 젓갈의 역사-----------1
3. 젓갈의 종류-----------3
(1) 젓
(2) 식해
(3) 어육장
4. 젓갈의 영양-----------5
5. 느낀점----------------6
본문내용
Report
제목 : 한국의 짠 맛 “젓”
과 목 명 : 문화와 식생활
담당교수 : 한 서영교수님
소 속 : 사회복지학과
학 번 : 200502004
성 명 : 강 혜주
목 차
1. 젓갈이란 무엇인가?----1 2. 젓갈의 역사-----------1 3. 젓갈의 종류-----------3 (1) 젓 (2) 식해 (3) 어육장 4. 젓갈의 영양-----------5 5. 느낀점----------------6
1. 젓갈이란 무엇인가?
젓갈은 한국, 일본, 중동 등의 동아시아 지역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미얀마, 방글라데시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대체로 쌀 문화권에서 토착성이 깊고, 긴 역사를 지닌 가공식품으로서 보편화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젓갈은 주로 수산동물을 소금에 절여 삭힌 발효성 가공식품이다.
젓갈은 숙성과 정중에 독특한 맛이 생기므로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사용해온 음식으로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이점과 함께 지방에 따라 계절에 따라 많은 종류의 젓갈들이 우리의 식탁을 꾸며 왔다.
2. 젓갈의 역사
젓갈류는 장류와 아울러 동양에서 오랫동안 조미료로 이용되어 왔으나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한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우리나라 수산발효기술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중국의 기록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의 고문헌에 의하면 기원전 3세기에 쓰여진 주례(周禮)에 해(,간장 해),자(,젓갈 자),기(,젓갈 기) 등을 볼 수 있다. 해()는 술, 누룩, 메주, 식염을 침장원으로 하여 동물이나 날짐승, 생선 등의 고기를 염장시킨 식품으로 장(醬)과 해()는 제조기술은 같으나 사용하는 원료가 다른 것이고, 자()는 주로 어류를 이용하여 삶은 쌀과 채소를 섞어 염장 발효한 것으로 오늘의 식해와 같은 것이며 기()는 어육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와 더욱 유사한 것이다.
제민 요술(齊民要術, A.D. 530-550년)에 의하면 옛날 한(韓)의 무제(武帝)가 동이(東夷)를 쫓아서 산동(山東)반도 끝의 바닷가에 이르렀을 때 어디에서인지 모르게 좋은 냄새가 나기에 사람을 시켜 찾았더니 어부들이 항아리 속에 어장(魚腸)을 넣고 흙으로 덮어 두었다가 향기가 생기면 조미료로 먹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이(夷)를
제목 : 한국의 짠 맛 “젓”
과 목 명 : 문화와 식생활
담당교수 : 한 서영교수님
소 속 : 사회복지학과
학 번 : 200502004
성 명 : 강 혜주
목 차
1. 젓갈이란 무엇인가?----1 2. 젓갈의 역사-----------1 3. 젓갈의 종류-----------3 (1) 젓 (2) 식해 (3) 어육장 4. 젓갈의 영양-----------5 5. 느낀점----------------6
1. 젓갈이란 무엇인가?
젓갈은 한국, 일본, 중동 등의 동아시아 지역과 베트남, 캄보디아, 라오스, 태국, 미얀마, 방글라데시아,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지역의 대체로 쌀 문화권에서 토착성이 깊고, 긴 역사를 지닌 가공식품으로서 보편화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젓갈은 주로 수산동물을 소금에 절여 삭힌 발효성 가공식품이다.
젓갈은 숙성과 정중에 독특한 맛이 생기므로 예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 사용해온 음식으로 삼면이 바다인 지리적 이점과 함께 지방에 따라 계절에 따라 많은 종류의 젓갈들이 우리의 식탁을 꾸며 왔다.
2. 젓갈의 역사
젓갈류는 장류와 아울러 동양에서 오랫동안 조미료로 이용되어 왔으나 언제부터 만들어졌는지는 정확한 기록을 찾아볼 수 없다. 우리나라 수산발효기술의 역사를 알기 위해서는 중국의 기록으로부터 시작하는 것이 필요하다.
중국의 고문헌에 의하면 기원전 3세기에 쓰여진 주례(周禮)에 해(,간장 해),자(,젓갈 자),기(,젓갈 기) 등을 볼 수 있다. 해()는 술, 누룩, 메주, 식염을 침장원으로 하여 동물이나 날짐승, 생선 등의 고기를 염장시킨 식품으로 장(醬)과 해()는 제조기술은 같으나 사용하는 원료가 다른 것이고, 자()는 주로 어류를 이용하여 삶은 쌀과 채소를 섞어 염장 발효한 것으로 오늘의 식해와 같은 것이며 기()는 어육장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와 더욱 유사한 것이다.
제민 요술(齊民要術, A.D. 530-550년)에 의하면 옛날 한(韓)의 무제(武帝)가 동이(東夷)를 쫓아서 산동(山東)반도 끝의 바닷가에 이르렀을 때 어디에서인지 모르게 좋은 냄새가 나기에 사람을 시켜 찾았더니 어부들이 항아리 속에 어장(魚腸)을 넣고 흙으로 덮어 두었다가 향기가 생기면 조미료로 먹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것은 이(夷)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