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바퀴의 형태와 특징
2.1. 바퀴의 형태
2.2. 바퀴의 분포와 특징
3. 바퀴의 역사
3.1 바퀴의 조상
3.2. 이름의 유래
4. 뛰어난 생활 적응 능력
4.1. 군집생활
4.2. 번식력
4.3. 민첩성
4.4. 잡식성
4.5. 활동시간과 거주의 은폐성
5. 해충으로서의 바퀴
5.1. 바퀴가 옮길 수 있는 질병
5.2. 피해사례
6. 결론
*참고문헌
2. 바퀴의 형태와 특징
2.1. 바퀴의 형태
2.2. 바퀴의 분포와 특징
3. 바퀴의 역사
3.1 바퀴의 조상
3.2. 이름의 유래
4. 뛰어난 생활 적응 능력
4.1. 군집생활
4.2. 번식력
4.3. 민첩성
4.4. 잡식성
4.5. 활동시간과 거주의 은폐성
5. 해충으로서의 바퀴
5.1. 바퀴가 옮길 수 있는 질병
5.2. 피해사례
6.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몸길이는 바퀴(B.g.)의 13mm 정도에서 이질바퀴의 38mm 정도이다. 바퀴는 단단하고 기름기 있는 왁스층으로 덮여있는 외피를 가지고 있다. 이들의 몸체는 다른 곤충처럼 머리, 가슴, 배 등의 세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죽어서 뒤집어져 있는 바퀴를 보기 전에는 각 부분은 물론 머리까지도 식별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머리는 두터운 가슴판 아래에 숙이고 있고 배는 날개로 덮여 있기 때문으로, 사람들이 바퀴를 볼 때 눈에 띄는 부분은 바퀴의 앞가슴 등판(전흉배판; pronotum)과 날개, 다리 세 쌍, 더듬이 한 쌍, 복부 끝에 있는 미모(cerci) 한 쌍 등이다. (그림 1)
또한 바퀴는 몸체가 납작한데다가 등판과 배판이 겹쳐진 모양으로 모양이 편평하고 복부를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다리도 옆으로 평행하게 펼 수가 있어서 몸체보다 납작하고 좁은 틈새에도 쉽게 숨어들어 갈 수가 있다. 앞의 책, p. 23.
2.2. 바퀴의 분포와 특징
① 독일바퀴(Blattella germanica)
이들은 거의 야외에 서식하며, 소수의 종이 사람이 사는 가옥으로 들어와 가주성 곤충이 되었다. 독일바퀴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종류이다. 이 바퀴는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퍼져 있어서 가장 문제시되는 종으로서, 재래 주택뿐만 아니라 아파트, 음식점, 다방, 여관, 상점, 병원, 회사, 사무실 등 난방이 잘되는 거의 모든 종류의 건물에서 발견된다.
② 이질바퀴 (미국바퀴;Periplanega americana)
이질바퀴는 미국 바퀴라고도 하며 몸길이 35mm~45mm에 달하는 대형종이다. 성충의 수명은 약 1년이고, 2년 이상 생존하기도 한다. 이 종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북부지방에서는 살지 못한다. 기원지는 중앙아프리카로,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방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이고 있는데 온대지방에서도 어느 정도까지 침투되어 있다. 일본, 미국, 영국 등의 북부 한대지방을 제외한 세계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도에서는 이 종이 바퀴중 가장 높은 밀도를 보이고 있는 종류이다. 국내에서는 목포, 광주, 여수, 부산 등 주로 남부지방에 제한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는데 1988년부터 서울과 청주시 등 중부지방에서도 성충이 채집되어 북상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위의 책, pp.44~45.
이들은 음식점, 제과점, 호텔 여관 병원, 회사 등 대형건물에서 많이 발견되며, 복도, 지하실, 조리실, 식료품 저장실, 하수 시설 등에 서식한다.
③ 먹바퀴 (Periplaneta fuliginosa)
이 종은 열대, 아열대 지방은 물론 대부분의 온대지방에까지 분포한다. 일본의 경우 일반가정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부지방에 널리 살고 있고, 서울 등 중부지방에서도 수는 적으나 볼 수 있다.
주로 음식점, 다방 주점, 아파트, 주택 여관 등의 조리대, 찬장, 선반 등에 많다.
④ 집바퀴 (Periplaneta japonica)
집바퀴는 일본바퀴라고도 하며 성충의 크기는 20mm~25mm의 중간 크기이다. 보통 집안에서 발견되는 바퀴는 집바퀴일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앞의 책, p. 46.
이 종은 유일한 일본 토착종으로 비교적 근래에 중국과 한국으로 건너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경우, 북부와 동북지방의 적설지대에서부터 중부지방에 걸쳐 분포하고 있고 서부 및 남부지방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대전 등 중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군산과 광주 등 호남지방과 부산에서도 개체 수는 적으나 채집된 기록이 잇다. 이 종은 저온에 적응한 바퀴로 세계적으로 가장 북방에 서식하는 특이한 종이다.
주로 음식점, 다방 주점 아파트, 주택 등의 조리대 찬장, 마루 밑 등지에서 자란다.
3. 바퀴의 역사
바퀴는 고생대 석탄기인 약 3억 5천만년 전에 번성하였다고 한다. 이 시기는 고사리 류의 식물이 번성하여 큰 삼림을 이루었던 시기로 바퀴의 종류뿐만 아니라 그 수에 있어서도 가장 많았던 기간이다. 이들은 숲 속의 낙엽 밑에서 생활하다가 차츰 가옥내부에까지 생활영역을 넓혀 갔다.
3.1 바퀴의 조상
온화한 기후와 높은 습도가 바퀴의 번창을 보장하였으나 그 이후 이 시기에 창궐하였던 종은 모두 사라지고 현재 볼 수 있는 종류들은 사라진 바퀴인 팔레오블라티데(Paleoblattidae)에 속한 바퀴들로부터 변화된 것들이다. 팔레오(Paleo)란 뜻은 라틴어로 ‘고대’란 뜻으로 블
또한 바퀴는 몸체가 납작한데다가 등판과 배판이 겹쳐진 모양으로 모양이 편평하고 복부를 자유스럽게 움직일 수 있으며 다리도 옆으로 평행하게 펼 수가 있어서 몸체보다 납작하고 좁은 틈새에도 쉽게 숨어들어 갈 수가 있다. 앞의 책, p. 23.
2.2. 바퀴의 분포와 특징
① 독일바퀴(Blattella germanica)
이들은 거의 야외에 서식하며, 소수의 종이 사람이 사는 가옥으로 들어와 가주성 곤충이 되었다. 독일바퀴는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가장 흔한 종류이다. 이 바퀴는 우리나라에서 전국적으로 퍼져 있어서 가장 문제시되는 종으로서, 재래 주택뿐만 아니라 아파트, 음식점, 다방, 여관, 상점, 병원, 회사, 사무실 등 난방이 잘되는 거의 모든 종류의 건물에서 발견된다.
② 이질바퀴 (미국바퀴;Periplanega americana)
이질바퀴는 미국 바퀴라고도 하며 몸길이 35mm~45mm에 달하는 대형종이다. 성충의 수명은 약 1년이고, 2년 이상 생존하기도 한다. 이 종의 분포는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북부지방에서는 살지 못한다. 기원지는 중앙아프리카로, 열대지방과 아열대 지방에서 높은 서식밀도를 보이고 있는데 온대지방에서도 어느 정도까지 침투되어 있다. 일본, 미국, 영국 등의 북부 한대지방을 제외한 세계각지에 널리 분포되어 있으며 특히 인도에서는 이 종이 바퀴중 가장 높은 밀도를 보이고 있는 종류이다. 국내에서는 목포, 광주, 여수, 부산 등 주로 남부지방에 제한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는데 1988년부터 서울과 청주시 등 중부지방에서도 성충이 채집되어 북상하였음이 확인되었다. 위의 책, pp.44~45.
이들은 음식점, 제과점, 호텔 여관 병원, 회사 등 대형건물에서 많이 발견되며, 복도, 지하실, 조리실, 식료품 저장실, 하수 시설 등에 서식한다.
③ 먹바퀴 (Periplaneta fuliginosa)
이 종은 열대, 아열대 지방은 물론 대부분의 온대지방에까지 분포한다. 일본의 경우 일반가정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종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비롯하여 남부지방에 널리 살고 있고, 서울 등 중부지방에서도 수는 적으나 볼 수 있다.
주로 음식점, 다방 주점, 아파트, 주택 여관 등의 조리대, 찬장, 선반 등에 많다.
④ 집바퀴 (Periplaneta japonica)
집바퀴는 일본바퀴라고도 하며 성충의 크기는 20mm~25mm의 중간 크기이다. 보통 집안에서 발견되는 바퀴는 집바퀴일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다. 앞의 책, p. 46.
이 종은 유일한 일본 토착종으로 비교적 근래에 중국과 한국으로 건너온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의 경우, 북부와 동북지방의 적설지대에서부터 중부지방에 걸쳐 분포하고 있고 서부 및 남부지방에서는 발견되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도 서울, 대전 등 중부지방에 널리 분포하고 있는데, 군산과 광주 등 호남지방과 부산에서도 개체 수는 적으나 채집된 기록이 잇다. 이 종은 저온에 적응한 바퀴로 세계적으로 가장 북방에 서식하는 특이한 종이다.
주로 음식점, 다방 주점 아파트, 주택 등의 조리대 찬장, 마루 밑 등지에서 자란다.
3. 바퀴의 역사
바퀴는 고생대 석탄기인 약 3억 5천만년 전에 번성하였다고 한다. 이 시기는 고사리 류의 식물이 번성하여 큰 삼림을 이루었던 시기로 바퀴의 종류뿐만 아니라 그 수에 있어서도 가장 많았던 기간이다. 이들은 숲 속의 낙엽 밑에서 생활하다가 차츰 가옥내부에까지 생활영역을 넓혀 갔다.
3.1 바퀴의 조상
온화한 기후와 높은 습도가 바퀴의 번창을 보장하였으나 그 이후 이 시기에 창궐하였던 종은 모두 사라지고 현재 볼 수 있는 종류들은 사라진 바퀴인 팔레오블라티데(Paleoblattidae)에 속한 바퀴들로부터 변화된 것들이다. 팔레오(Paleo)란 뜻은 라틴어로 ‘고대’란 뜻으로 블
추천자료
플라톤 철학 이해의 열쇠 : 수학
유통 신업태와 유통 채널의 변화
컨베이어와 AGV(무인운반차)에 대한 조사
초등체육교육 기말고사 대비 완벽 서브노트
인나인 강습에 대해서...
신생아 미숙아 케이스
FedEx(Federal Express)
[부산][부산광역시][부산시][김해국제공항][부산의 금정산][부산의 바다][부산의 축제][부산...
피아제 인지발달 이론과 교육법
성인간호학 Ⅷ. 퇴행성 질환과 간호
해양지구과학 기말고사 총정리
2015년 2학기, 아동의 발달 단계 (12~24개월 아동 분석) 아동의 성장 특성, 아동의 발달
2017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7년 2학기 한국복식문화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