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고찰을 통한 노벨상의 이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 고찰을 통한 노벨상의 이해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머리말

II. 본론
1. 노벨상은 어떤 상인가.
2. 노벨상 위원회의 수상자 선정 과정에 대한 지적
2.1. 41번째 의자를 차지한 사람들
2.2. 노벨상 위원회의 과학에 대한 태도 문제
3.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외적요소
3.1. 국가주의적 경향
3.2. 스승과 제자의 사회적 유대의 중요성

III.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렇게 오랜 동안 수많은 사람의 추천에도 불구하고 노벨 물리학상을 그토록 늦게 받게 되었는가 하는 것은 많은 사람들의 의혹을 받아왔다. 이것도 역시 당시 스웨덴 과학의 맥락에서 초기 노벨상의 성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예가 된다.
플랑크는 1900년 흑체복사를 설명하기 위해서 에너지 양자에 관한 역사적인 논문을 발표했다. 그러나 그의 에너지 양자 개념은 발표 당시에는 세상 사람들의 주목을 거의 받지 못했고, 플랑크 자신도 물리학의 혁명보다는 개선을 원했다는 점에서 양자론적 변혁은 그에게는 원하지 않은 혁명이었다. 1905년 아인슈타인이 광양자설을 발표하면서 플랑크 상수의 의미는 더욱 구체화되었고, 에너지 양자의 불연속성은 이제 분명한 형태로 나타났다. 더욱이 1907년부터 빈-플랑크의 복사법칙이 비열의 문제에 적용되면서 수많은 실험적 사실과 연결되었고, 이에 따라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점차로 양자불연속 개념이 받아들여지기 시작했다. 그런데 이런 분위기가 1907년부터 노벨 물리학상 후보로 계속 지명되고 있던 이론 물리학자인 플랑크에게 노벨상을 수여하도록 작용한 것이 아니라, 오히려 실험물리학자인 빈에게 1911년 새로운 복사법칙을 발견한 공로로 노벨상을 받게 하도록 작용했다.1913년 보어의 원자모형에서 플랑크의 가설이 사용되었고, 그 후 분광학 분야에서 양자론이 광범위하게 응용되고 있었지만, 노벨상 위원회는 양자론에 대해서만은 거의 선입관적인 회의를 표명했다. 예를 들어 1918년 아레니우스는 \"양자론은 아직도 만족스러운 완성 상태에 이르지 않았다\"는 보고서를 제출했다. 1919년에 와서야 노벨상 위원회는 플랑크에게 \'에너지 양자의 발견으로 물리학 진보에 공헌한 그의 공적을 인정해서\' 노벨물리학상을 수여했다. 그러나 이때에도 노벨상 위원회은 플랑크의 업적이 가지는 이론적 중요성을 강조한 것은 아니었다. 오히려 위원회는 원자의 성질을 연구하는데 플랑크 상수가 지니는 보편상수적 의미를 특히 강조해서, 양자 개념의 형성과정에서 플랑크가 기여한 측면에 대해서는 여전히 미심쩍게 생각하고 있었다. http://pnarae.com/phil/category/sci
즉, 플랑크에 대한 거센 지명 압력에도 불구하고 노벨상 위원회는 양자물리학의 진전을 계속 주의깊게 주시하는 한편, 양자 불연속 개념의 문제점이 해결될지도 모른다는 희망 아래 계속 플랑크에 대한 시상을 연기시켜 왔던 것이다. 플랑크의 공이 밝혀진 후에도 그들은 과학적 태도를 바꾸지는 못하였다.
이와 비슷한 경우는 그 유명한 아인슈타인에게도 적용되었다. 노벨 자신의 유언에서 ‘발명’, ‘발견’, ‘개선’을 강조하기도 했지만, 20세기 초 스웨덴 물리학계는 실험을 강조했기 때문에 한동안 이론 물리학의 업적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받는 것은 어려운 일이었다고 한다. 흔히 상대성 이론으로 유명한 아인슈타인에게 수여된 노벨상은 상대성 이론 때문이 아닌, 광전효과에 대한 것이었다. 이는 위원회가 계속 특수 상대성이론에 대한 실험적 확증이 필요하다고 주장했기 때문이다. 1908년부터부터 상당수의 물리학자들이 특수 상대성 이론의 수식들을 널리 사용했지만 심사위원회는 거의 절대적인 확증을 요구했던 것이다. 김은숙 외, 노벨상 따라잡기, 아카데미 서적, 1999, pp.130-131.
결국 후에는 아인슈타인의 유명세에 못이겨 생각해낸 것이 그의 다른 업적인 광전 효과였고 이를 근거로 노벨상을 수여한 것이니 노벨상 위원회의 과학적 태도는 노벨상 수상자 선정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결국 어떤 과학 업적에 높은 가치를 부여하는가의 문제에 있어서, 객관적으로 그 척도를 나타낼 수 없는 경우에 ‘과학’이라는 중립적 가치대신 이를 판단하는 인간의 주관적 의도가 개입될 수 밖에 없다. 즉, 노벨상 수상이라는 것 자체가 가치판단의 절대적 기준으로서 간주되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이다.
3.. 노벨상 수상자 선정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 외적요소
3.1. 국가주의적 경향
“...상을 수여하는 데 후보자의 국적을 일체 고려해서는 안 된다. 스칸디나비아 사람이건 아니건 관계없이 가장 적합한 인물이 수상하여야 한다. 나는 이것을 특별히 당부한다”
-노벨의 유언장 중에서
국적과 인종을 초월해 인류의 행복과 지식의 진보를 위한 노력에 대한 표창이라는 노벨의 세계주의적인 이상은 노벨상의 권위를 확립하는 토대였다. 동시에 한 세기 동안에 걸친 치열한 국가간의 경쟁을 통해 수상자는 자신이 속한 국가의 과학자 사회를 대표하는 독특한 상징이 됐다. 그러나 노벨상은 국가나 조직에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개인에게 주어지는 영예라는 노벨재단의 해석에도 불구하고, 노벨상이 한 국가의 과학 수준을 가늠케 하는 가장 중요한 척도로서 기능하는 것 또한 현실이다. 노벨상 수상자가 발표될 때마다 매스컴에서는 ‘어느 나라의 누구’, ‘어느 나라로서는 첫 번째’라는 수식어가 붙어다닌다. 노벨상은, 국가를 넘어서려는 노벨의 이상으로 만들어진 것이지만, 상이 만들어진 때부터 지금까지 국가주의의 상징으로 통용되는 역설적인 상이 된 것이다.
노벨상 추천인들의 태도를 보면 국가주의적 성향이 얼마나 은밀하게 작용했는지 알 수있다. 자국의 후보를 우선 추천하는 추천인들의 태도는 애국심에 기반한 것이리라. Fig. 노벨상 후보 추천에서 자국 후보 추천 비율 은 1901년~1933년 사이에 물리학상과 화학상에서 자국의 후보를 추천한 비율을 비교한 거이다. 같은 국적의 후보를 추천한 비율이 대부분 50%가 넘엇으면, 프랑스의 경우는 1920년까지 매년 80%에 달하는 비율을 보이고 있다.6) 김은숙 외, 노벨상 따라잡기, 아카데미 서적, 1999, pp.34-35.
이 같은 추천 성향은 노벨상이 국가간의 경쟁임을 암시한다. 노벨상에는 보편적인 지식을 지향하는 과학의 세계주의적인 모습과 상을 통해 자국 문화의 우수성을 입증하려는 국가주의적인 성향이 교차되어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국가주의적 성향이 일어나는 이유는 무엇인가. 노벨상이 가지는 여러 과학 외적 분야에 있어서의 파급 효과에 주목해 보면 더욱 쉽게 이해된다. 개인적 의미에서는 노벨상이 가지는 상금7) 노벨상이 유명해지게 된것은 엄청난 양의 상금
  • 가격1,5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8.12.12
  • 저작시기200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40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