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3. 인터넷에서 글쓰기
1) 인터넷 글쓰기의 확산
2) 인터넷 통신 언어(ICL :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의 개념
3) 인터넷 언어의 종류
4) 인터넷 언어의 특징
5) 인터넷 언어의 문제점
4. 광고문
1) 광고문의 성격
2) 광고문의 유형
3) 광고문의 형식
4) 광고 카피의 특징
5) 광고 카피의 실제
5. 기타 실용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3. 인터넷에서 글쓰기
1) 인터넷 글쓰기의 확산
2) 인터넷 통신 언어(ICL : Internet Communication Language)의 개념
3) 인터넷 언어의 종류
4) 인터넷 언어의 특징
5) 인터넷 언어의 문제점
4. 광고문
1) 광고문의 성격
2) 광고문의 유형
3) 광고문의 형식
4) 광고 카피의 특징
5) 광고 카피의 실제
5. 기타 실용문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동시적
전자편지 언어
일반 이용자
특정인에게 알림
준양방적
비동시적
<인터넷 통신언어 영역의 특성>
4) 인터넷 언어의 특징
컴퓨터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자판의 타수는 개인의 언변을 대변하게 되었다.
느린 타수는 상대방에게 무시당하는 큰 이유가 되었기 때문에 언어축약이나 발음대로 적기 등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게 되었다.
(1) 어휘의 변이
① 탈락현상 -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만큼 대화를 빨리 하기 위해 준말을 사용한다.
예) 설(서울), 겜(게임), 셤(시험)
② 축약과 생략 - 모음의 축약 현상
예) 드뎌(드디어), 비됴(비디오), 토욜(토요일), 담부터(다음부터)
③ 첨가 - 어미의 끝에 ‘ㅇ, ㅅ, ㅁ, ㅂ’등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부드럽게 문장을 끝맺거나 장난기있게 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 그런강, 없당, 예쁘당 등
(2) 발음대로 적기
① 대치 -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
예) 무러봐도(물어봐도), 마자마자(맞아맞아), 어리자너(어리잖아), 조은(좋은), 이씀(있음)
②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의 도입 - 발음의 유사성에 의하여 한글대신 숫자나 로마자를 사용하는 것
예) 20000(이만), 10C미(열심히), RG(알지)
(3) 의성어, 의태어와 감탄사의 사용
최대한 대화의 묘미를 살리기 위해 일반적 발화에 비하여 많은 의성어나 의태어를 사용하는 것
예) 머해?? 잘자고.. 오늘두 열공 하셈.. 좋은 하루 만들러~~~
(4) 신조어/합성어의 사용
한글, 한자어, 영어, 일어 등을 합성 축약하여 새롭게 만들어낸 언어
예) 하이루(인사), 강추(강력추천, 강제추방), 눈팅(게시판에 글을 쓰지는 않고 보기만 하는 일)
(5) 이모티콘(emoticon)
감정(emotion)+아이콘(icon)의 합성어이다. 컴퓨터 자판의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적절하게 활용해서 미세한 감정이나 특정 인물, 직업 등을 전달하는 사이버 공간의 특유 언어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기계적이고 단순한 메시지 교류를 부드럽게 해준다.
둘째, 아날로그 메시지를 감정적, 주고나적으로 전달해 준다.
셋째, 메시지를 강조하거나 보완해 준다.
넷째, 기존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명확히 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돕는다.
다섯째, 면 대 면 상황과 유사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해 준다.
여섯째, 텍스트화된 언어적 표현을 보다 풍요롭고 정감있게 만들어서 커뮤니케이션 당사자간에 친밀감을 높인다. 김우룡 등 2명,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년, 480쪽
예) ^^(웃는얼굴), ㅠ.ㅠ(우는 얼굴), OTL(좌절해서 엎드려 있는 모습) /TO(벌서고있는 모습)
(6) 외계어
외계에서 온 말이라고 하여 외계어라고 불릴 정도로 해석이 힘든 말. 이들 외계어는 세대간의 괴리감 형성은 물론 의사소통에서 장애를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외계어는 언어가 극도로 축약되며, 한자와 숫자, 영어, 특수문자 등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다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 ◁─일흔 글쨔 망드능거뜨
ㅡ ㉲㉳㉴ 이런 글자 만드는 것도
납
전자편지 언어
일반 이용자
특정인에게 알림
준양방적
비동시적
<인터넷 통신언어 영역의 특성>
4) 인터넷 언어의 특징
컴퓨터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자판의 타수는 개인의 언변을 대변하게 되었다.
느린 타수는 상대방에게 무시당하는 큰 이유가 되었기 때문에 언어축약이나 발음대로 적기 등 다양한 시도가 나타나게 되었다.
(1) 어휘의 변이
① 탈락현상 - 음성으로 대화를 나누는 것만큼 대화를 빨리 하기 위해 준말을 사용한다.
예) 설(서울), 겜(게임), 셤(시험)
② 축약과 생략 - 모음의 축약 현상
예) 드뎌(드디어), 비됴(비디오), 토욜(토요일), 담부터(다음부터)
③ 첨가 - 어미의 끝에 ‘ㅇ, ㅅ, ㅁ, ㅂ’등을 첨가하여 사용한다. 부드럽게 문장을 끝맺거나 장난기있게 말하는 경우에 사용된다.
예) 그런강, 없당, 예쁘당 등
(2) 발음대로 적기
① 대치 -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
예) 무러봐도(물어봐도), 마자마자(맞아맞아), 어리자너(어리잖아), 조은(좋은), 이씀(있음)
② 아라비아 숫자와 로마자의 도입 - 발음의 유사성에 의하여 한글대신 숫자나 로마자를 사용하는 것
예) 20000(이만), 10C미(열심히), RG(알지)
(3) 의성어, 의태어와 감탄사의 사용
최대한 대화의 묘미를 살리기 위해 일반적 발화에 비하여 많은 의성어나 의태어를 사용하는 것
예) 머해?? 잘자고.. 오늘두 열공 하셈.. 좋은 하루 만들러~~~
(4) 신조어/합성어의 사용
한글, 한자어, 영어, 일어 등을 합성 축약하여 새롭게 만들어낸 언어
예) 하이루(인사), 강추(강력추천, 강제추방), 눈팅(게시판에 글을 쓰지는 않고 보기만 하는 일)
(5) 이모티콘(emoticon)
감정(emotion)+아이콘(icon)의 합성어이다. 컴퓨터 자판의 문자, 기호 숫자 등을 적절하게 활용해서 미세한 감정이나 특정 인물, 직업 등을 전달하는 사이버 공간의 특유 언어이며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여준다.
첫째, 기계적이고 단순한 메시지 교류를 부드럽게 해준다.
둘째, 아날로그 메시지를 감정적, 주고나적으로 전달해 준다.
셋째, 메시지를 강조하거나 보완해 준다.
넷째, 기존 문자메시지의 내용을 명확히 하여 상대방의 이해를 돕는다.
다섯째, 면 대 면 상황과 유사한 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조성해 준다.
여섯째, 텍스트화된 언어적 표현을 보다 풍요롭고 정감있게 만들어서 커뮤니케이션 당사자간에 친밀감을 높인다. 김우룡 등 2명,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론, 나남출판, 2004년, 480쪽
예) ^^(웃는얼굴), ㅠ.ㅠ(우는 얼굴), OTL(좌절해서 엎드려 있는 모습) /TO(벌서고있는 모습)
(6) 외계어
외계에서 온 말이라고 하여 외계어라고 불릴 정도로 해석이 힘든 말. 이들 외계어는 세대간의 괴리감 형성은 물론 의사소통에서 장애를일으키고 있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크다. 외계어는 언어가 극도로 축약되며, 한자와 숫자, 영어, 특수문자 등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는 것은 다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 ◁─일흔 글쨔 망드능거뜨
ㅡ ㉲㉳㉴ 이런 글자 만드는 것도
납
추천자료
인터넷 방송의 새로운 문화
인터넷·모바일과 대중문화 연구-설문자료포함
인터넷·모바일과 대중문화
인터넷에서의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과 문화제국주의에의 가능성
인터넷·모바일과 대중문화
인터넷 상의 성 상품적 문화
정보사회와 문화의 변화 - 인터넷과 가상공동체
인터넷 시대의 글쓰기와 문화-문제점
[대학문화]대학생의 학업성취, 대학생의 보훈의식, 대학생의 통일의식, 대학생의 신용카드사...
인터넷에 난무하는 음란성 성문화, 특징, 현황, 관리, 역할, 기법, 시사점, 나의견해, 총체...
정보사회에 따른 동거문화의 변화양상 - 인터넷 동거사이트를 중심으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