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건강요법(NATURETHERAPY)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자연건강요법(NATURETHERAPY)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계의 자연건강법

세계장수촌의 자연건강법

코카서스 지역

훈자지역

비루카밤바 지역

카슈카르 지역

오키나와 지역

장수촌의 특징

각국의 자연건강 요법

아유르베다 기본의 정리.

본문내용

. 예를 들면 불교에서의 염불이나 종소리 북소리 요령소리 풍경소리 목탁소리 그리고 유교에서의 제사 때 축문읽는 소리 샤머니즘에서의 주술 또는 상여 나갈 때의 소리, 살풀이나 한풀이시의 노래나 소리 등등으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현대에 와서는 미국과 같은 선진국에서는 음악치료로 의학 분야에서 과학적으로 체계화시켜 다양하게 활용하고 있다.
박티 요가 - 우주, 자연, 신, 절대자의 원리나 섭리와 법칙과 질서에 복종하고 헌신하는 길을 통해 구원받으며 깨달음을 얻고자 하는 요가이며 자력만이 아닌 타력적 종교관을 가진 종교로 발전해 오고 있다.
즈나나 요가 -배움, 지식, 지혜의 요가 : 무지로부터 벗어나는 것이 진아(眞我)에 이르는 길. 인간의 고통은 무지와 무명으로부터 생겨나는 것이기 때문에 정지(바른 앎: 바른 이해)를 통해서 괴로움에서 벗어나서 깨달음에 도달하는 요가이며 과학적, 사상적, 철학적 요가이다.
카르마 요가 -고전요가가 바른 앎(깨달음:이해)을 통한 요가로 발전해온 후에 바른 앎보다는 바른 행(이기적만이 아닌 이타행과 이전적행)을 강조한 요가이다.
라자 요가 -명상요가이며 마음의 평온을 찾고 지혜를 얻으며 해탈의 경지를 추구를 한다. 라자 라는 말은 왕이라는 뜻을 갖고 있으며 모든 요가의 궁극적인 종점은 라자요가로 귀결된다. 선, 참선, 선나, 정려, 사유수, ZEN등 명상요가이다.
탄트라 요가(밀교 요가) -인간의 근원 에너지를 각성시키는 초능력 개발의 요가
고전요가는 인간의 근본적인 욕망을 억제하는 깨달음의 길을 추구하는데 대한 커다란 차원전환으로 중세에 와서 인간이 이미 지니고 있는 무한한 잠재능력을 억압하기 보다는 최대한 개발하고 확장하여 그 능력을 극대화시켜 거인화시키고 우주화 시키자는 다시 말해 인간의 잠재능력을 최대한 개발하여 구원의 길과 해탈의 길로 나아가는 보다 진보된 요가이다.
하타 요가(생리적 요가) -몸가짐을 다스리고 숨쉬기를 훈련하며 식이요법과 단식법, 정화법으로 인간의 본성적 생명력을 회복하는 요가이다. 고전 요가는 깨달음을 향한 요가였다면 중세요가는 바른 선행의 요가였고 그 바른 앎과 바른 선행을 하기위해 근대에 와서 발전해 왔으며 라자요가를 위한 필수적인 준비조건의 요가이며 현대에 와서는 건강법과 미용법으로 활용되면서 20세기에 와서는 하타요가를 통해서 전세계에 요가가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수많은 스포츠와 무술, 체조, 무용, 등은 나라마다 다양하게 응용되고 변화된 하타 요가의 모습들이다.
2)불교
불교의 건강방법은 수행이다. 수행은 마음을 다스리는 방법으로 불교에서는 일체유심조(一體唯心造)라는 말을 하고 있다. 세상만사가 모두 자신의 마음으로부터 지어져서 시작된다는 것이다. 수행의 목적은 깨달음인데 좋은말과 좋은 행동 좋은 생활 좋은 노력 좋은 마음가짐 좋은 방법등을 알려면 듣는것이 먼저이다. 듣지 않으면 마음이 생기지 않으므로 노력하는 마음이 덩달아 없어지기 때문에 먼저 듣는 것으로부터 불교는 시작한다.
그래서 경전에 나는 이와같이 들었다 라고 시작합니다
먼저 이와같이 듣는것을 수행의 필요성이 되는 것이며 수행방법은 불은 깨달음이라 했으니 깨달아 알고 보는 바른 소견을 깨닫는 것입니다
무엇을 깨달아야하는가에 접근하여야 수행밥법을 알게 되는데
무엇을 깨닫도록 해야하는가 라는 의심이 생기면 배워가는것으로 시작이 된다 하겠습니다
부처님께서는 태자로 계실때에 일이였습니다
어느날은 아쇼다라인 부인과 기녀들이 잠자는 모습을 살펴보매 모두가 나무로 만든 사람들과 같았고 파초의 속이 굳거나 차지 않음과 같았는데 혹은 악기의 위에 엎드려 있기도 하고
팔다리를 땅에 드리워 있기도 하고 다시 서로가 베개삼아 누눠있기도 하고
콧물과 눈물을 흘리기도 하고 입속에서 침이 흘러나오기도 하였으며 또 다시 두루하게 아내와 기녀들을 자세히 살였더니 그의 형체에는 터럭과 손톱 발톱 골수 뇌 뼈 이 해골 피부 살 힘줄 맥 기름 피 심장 허파 지라 콩팥 간 쓸개 소장 대장 밥통 똥 오즘 눈물이며 침이 보였는데 바깥이 가죽주머니로 되여 있어 가운데에 더러운 것이 담겨져서 하나도 기특할할만한 것은 없었거늘 억지로 향을 바르고 꽃과 비단으로 꾸몄다
마치 빚졌다가 도로 갚은 것과 같아서 역시 오래할수 없었으므로 (백년동안의 목숨을 누워서 그 반을 소비하고 또 근심과 괴로움이 많아서 그 즐거움은 얼마 되지 않은다 세상사람들은 어찌하여항상 이런일을 보면서도 깨치지를 못하며 또 그속에서 음욕에 탐착하는 것일까
나는 이제 예날의 모든 부처님들께서 닦으셨던 행을 배워야겠으며 서둘러서 이 불더미를 멀리하여야겠구나
태자는 이렇게 생각하고 불도를 수행하는 수행자가 되셨습니다
그러하므로 수행은 부처님과 같은 행을 배우고 닦은것으로 수행의 필요성이라 합니다. 즉 태여남에서 늙고 병들고 죽는 이고통은 사라지고 생기지 않도록 하는것이 수행의 목적입니다
처음 수행하려면 먼저 삼귀의게와 오계를 받아들여 귀의하여야 합니다
귀의란 의지한다라는 뜻이 되는데 법하지 ㅇ낳은것으로 수행은 시작합니다
절에는부처님께 먼저 예배하여야 하는데 공양물은 여섯가지로써
초 향 과일 공양미 차 꽃공양을 하므로써 부처님을 뵙는 차례의 예배가 됩니다
수행기간은 본인의 행에 따라 다릅니다
초발심시변정각이라 했으니 즉시에 성불할수도 있습니다
그것은 선행의 행업에 따라 다라지니 복업을 지어야 겠지요
자가에서 수행하는 방법은 삼귀의와 오계와 육법공양물로써 망므을 단정히 하여 늘 잊지 않고 깨쳐가는 것을 수행으로 해야 하며 수행의 방법은 입과 몸과뜻으로써 선행으로 복을 짓고 악하지 않은 입과 몸과뜻을 지어내지 않은것을 수행이라 합니다
믿음과 보시와 어기지 않은 지계와 노력하는 정진과 마음을 들뜨지 않은 선정과 지혜를 쌓아가도록 하는것이 자가의 수행입니다
http://blog.joins.com/media/folderListSlide.asp?uid=siccorp&folder=8&list_id=6098328
퍼옴 : www.sunmoontree.com
http://www.diamesco.com/kor/bbs/board.php?bo_table=wisdom&wr_id=68&page=4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8.12.22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