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종중의 성립요건
2. 宗員의 자격
3. 종중의 대표기관
4. 종중 총회의 법률관계
2. 宗員의 자격
3. 종중의 대표기관
4. 종중 총회의 법률관계
본문내용
대주를 통하여 하여도 무방하다.
[2] 종중총회의 결의방법에 있어 종중규약에 다른 규정이 없는 이상 종원은 서면이나 대리인으로 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일부 종원이 총회에 직접 출석하지 아니하고 다른 출석 종원에 대한 위임장 제출방식에 의하여 종중의 대표자 선임 등에 관한 결의권을 행사하는 것도 허용된다.(大判 2000. 2. 25. 99다20155)
[2] 종중총회의 결의방법에 있어 종중규약에 다른 규정이 없는 이상 종원은 서면이나 대리인으로 결의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일부 종원이 총회에 직접 출석하지 아니하고 다른 출석 종원에 대한 위임장 제출방식에 의하여 종중의 대표자 선임 등에 관한 결의권을 행사하는 것도 허용된다.(大判 2000. 2. 25. 99다20155)
추천자료
[사회과학] 인과관계
[사회과학] 조세법률주의
법률행위의 무효
행정중심 복합도시 건설 특별법
한부모가족에 대해서
한-EU FTA 주요 업종별 영향과 대응전략
영.미.한 의 금융겸업화와 국제 질서, 사회, 국가에의 영향
친족관계와 법
가족관계등록부
법률적 행위 행정행위
근로관계의 종료와 관련한 법적 이슈 총정리
한부모가족지원결과보고서(2006년)
[정년연장 찬반] 정년연장(停年延長 / extension of retirement age)의 찬반토론 ; 정년연장...
청소년육성제도론 2016] 1) 학교교육정책과 청소년육성정책의 특징 비교 2) 주요 청소년육성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