좁혀져 가는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 문학작품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좁혀져 가는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 - 문학작품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방언 조사의 목적
2. 방언 조사 방법

||. 본론
3. 방언 조사내용 - 문학 속에 나타난 단어를 중심으로
3.1. 『춘향전』, 『흥부전』의 단어를 중심으로 한 방언 조사
3.2. 『혼불』의 단어를 중심으로 한 방언 조사

Ⅲ. 결론
4. 표준어와 방언의 차이가 줄어들고 있다.

붙임 - 1. 방언 조사 후 느낀 점
2. 방언 조사 후 생각해 볼 문제
3. 방언 조사 질문지

본문내용


초졸
중졸
초졸
중졸
직업
농업
농업
농업
상업
외지생활유무
없음.
없음.
없음.
곡성에서 시집 온 후 계속 이 지역에서 거주.
Ⅱ. 본론
3. 방언 조사내용 - 문학 속에 나타난 단어를 중심으로
3.1. 『춘향전』, 『흥부전』의 단어를 중심으로 한 방언 조사
<표1. 『춘향전』의 단어 조사>
춘항전 본문
표준어
질문
실제 조사 결과
이곳 경처 어데매냐 시흥춘흥 도도하니 절승경처 말하여라
경치
산이나 강 바다 등의 자연 풍경이 좋다고 할때 어떻게 말하시나요?
갱치
귀경가자
구경
불oo 싸움oo 이 제일 재미있다.
구갱
방자야 나구 안장지어라
나귀
사진 제시
나구
떡갈닙은 아주 춘풍 못이기어 흐늘흐늘
떡갈나무 잎
사진 제시
도톨나무
이때는 삼월이라 일럿스되 오월단오이엇다
단오
음력 5월 5일 이 무슨 날이지요?
초닷새
백릉버선 두 발길로 섭적 올라 발구를제
버선
사진 제시
보선
제어미는 기생이오나 춘향이는 도도하야
기생
춘향이의 어미는 직업이 무엇이었지요?
기성
이로너라
이리오너라
양반이 다른 집을 방문했을 때 하는말은?
이로오너라
춘향이가 이말 듣고 가삼이 월렁월렁 속이 답답하야
가슴
슬픈 드라마를 보면 어떠신가요?
가심애피
건넨방 건네가서 저의 모친 깨우는데
건넌방
안방에서 대청을 건너 맞은편에 있는 방을 무어라고 하지요?
건너방, 건넛방
둥굴둥굴 수박 웃봉지 대모장도드는 칼로 뚝떼고
수박의 윗부분
수박의 윗부분을 뭐라고 하지요?
수박 꼭대기
암금이 지엄하고, 좌우구정 진정마에 뒤채잽이 심써라
힘써라
어떤 일에 몰두하는 것을 보고 뭐라고 할까요?
기운이 센 사람을 보고 뭐라고 하나요?
심이 세다
광한루에 보전하야 개복하고 객사에 연명차로 나메타고 들어갈제
남여
위가 뚫려있는 가마를 보고 뭐라고 하나요?
가매
거울복판이 깨어져 뵈고 문우에 허수애비 달려뵈이거늘 나죽은 꿈이로다
거울
화장을 할때 무엇을 보고 하지요?
색경
담배에 세우 침을 뱉어 엄지가락이 잡바라지게 비빗비빗 단단이 너허 집불을 뒤져노코
담배
사진 제시
댐배
이번은 아마도 이별할 밖에 수가 업네
아매도 원수로다
아마도
확실하지 않을 때 붙이는 말에는 뭐가 있을까요?
아매도, 아매
부엌으로 들어가더니
부엌
(가리키며) 저곳은 뭐라고 부르나요?
정지
먹던 밥에 풋고초 저리짐채 양념너코 단간장에 냉수 가득 떠서 모반에 받쳐 듸리면서
김치
사진 제시
짐치
더운 진지 한 동안에 시장하신듸 우선 요구하옵소서
시장하다.
배가 고픈것을 어른께 하는 말
시장하시다.
떨어진 개상판에 닥채저붐
젓가락
밥을 먹을 때 사용하는 것은 무엇이라고 하나요?
저분, 적꾸락
부서지니 문고요 깨지나니 북장고라
북장구
사진 제시
장고
떨어진 개상판에 닥채저붐 콩나물 깍대기 목걸리 한사발 노왓구나
개다리소반
다리가 개의 다리 모양을 하고 있는 소반
밥상
떨어진 개상판에 닥채저붐 콩나물 깍대기 목걸리 한사발 노왓구나
깍지
사진 제시
깍뚜기
떨어진 개상판에 닥채저붐 콩나물 깍대기 목걸리 한사발 노왓구나
막걸리
사진 제시
농주
우리 춘향 근듸매고
그네
사진 제시
군디
떨어진 개상판에 닥채저붐 콩나물 깍대기 목걸리 한사발 노왓구나.
콩나물
사진 제시
콩너물, 콩지름
<표2. 『흥부전』의 단어 조사>
흥부전 본문 내용
표준어
질문
방언조사
아기 압시 형님댁에 건너가서 전곡간에 얻어다가 굶은 자식을 살려냅세
아버지
부모님은 누구누구를 뜻하는 말이지요?
압시, 아부지, 아부이
움막방 들보 위에 씨나락 모양으로 단단이 얹었구나
볍씨
벼의 씨(모자락에 뿌림)를 뭐라고 하지요?
씨나락
죽말국이 코끝에서 소주 후주 내리 듯 댕강댕강 허것다
국물
국이나 찌개에서 건더기를 빼면 무엇만 남지요?
말국
3.2. 『혼불』의 단어를 중심으로 한 방언 조사
3.2.1. 『혼불』에 나타난 방언은 실제 지역에서 그대로 쓰이는가?
<표3. 방언으로 나타난 어휘 조사>
혼불 본문 내용
표준어
질문
실제 조사 내용
먼첨
먼저
시간, 차례에서 앞선 경우를 말합니다. /00 가십시오, 00 하세요./
먼첨, 몬자
그륵
그릇
밥이나 국을 담아 먹는 것을 무엇 이라고 합니까?
식기, 주발, 그륵
땅뎅이
땅 덩어리
땅의 큰 덩어리라는 뜻으로 국토, 대륙, 지구 등을 이르는 말입니다. 이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땅떼기
한 줄금
한 줄기
한 차례라는 뜻으로, 다음과 같이 사용됩니다. /소나기 000 퍼부었으면 좋겠다./
한 줄금
꼬실르다
태우다
불을 붙여서 그 것을 타게 만드는 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논둑을 0000./
꼬시르다
시방
시방
지금 이 시점을 나타내는 말로,
/여기는 언제 왔는가? - 00 왔어요. /
시방, 인자, 금방
한 동우
한 동이
물을 긷는데 쓰이는 독으로
/물 한 00, 두 00/
한 동우
시상
세상
/00에 이를 어쩐 다요. 요즘 00 참 무섭소./
시상
기양
그냥
그 모양 그대로, 그대로 줄곧의 의미를 가진다. /뭐하고 있어? - 00 있어./
기양
복 더우
복 더위
초복, 중복, 말복 때 날씨가 심하게 더운 것을 무엇이라고 할까요?
(삼)복 더우
바우
바위
큰 돌 덩어리를 가리키며, 가위 00 보 놀이 에서도 사용되는 이것은 무엇일까요?
바우
베락
벼락
비가 올 때 하늘에서 불빛이 번쩍이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베락
괴기
고기
/소00, 돼지00, 닭00, 오리00/
괴기(궤기)→ 표기의 문제
배암

사진제시
비암
농판
농판
실없는 장난이나 농담이 벌어진 자리, 또는 분위기(여기서는 바보와 비슷한 의미
농파이
호랭이
호랑이
호랭이, 호래이
숟구락
숟가락
밥을 떠먹는 것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숙꾸락
펭상
평생
지금까지 살아온 일생이라는 뜻으로 /내 한 00 독수공방으로 살아왔다./
핑생
멩주실
명주실
누에고치에서 뽑아낸 실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멩주실
지름
기름
/콩00, 참00, 들00/
지름
이약
이야기
할머니, 할아버지께서 지금 하고 계신 것이 무엇입니까?
이약, 이야그
아짐
아주머니
나는 결혼한 옆집 여자를 0000라고 부릅니다.
아지미
시아재
시아주버니
남편의 형을 무엇이라고 부릅니까?
씨아재, 시숙
맹글다
만들다
나는 저녁 반찬을 00었다
맹글다, 맨들다
밥티
밥풀
밥알을 무엇이라고 합니까?
/옷에 00 붙었다./
밥태기, 밥티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8.12.23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3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