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학습 포인트
이해와 감상
줄거리
등장인물
본문읽기
2008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 문제
2000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 문제
<고전 총서 줄거리>
< 해설 >
이해와 감상
줄거리
등장인물
본문읽기
2008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 문제
2000 대학입학 수학능력시험 문제
<고전 총서 줄거리>
< 해설 >
본문내용
님 여의옵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서 울어 밤길 예놋다
⑤ 욕심 난다 하고 몹쓸 일을 하지 말라
나는 잊어도 남이 내 모습 보느니라
한 번을 악명을 얻으면 어느 물로 씻으리
53. (나)에서 유한림이 못 쓴 \'제문\'을 독자가 대신 쓰 려고 한다. <보기>처럼 초안을 작성하였을 때, ______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 ①
<보기>
사월 보름날, 연수는 부인에게 조촐한 음식을 차려 놓고 고하오. 부인이 죽었다니 그것이 정말이오? 아직도 그것이 믿어지지 않소. 돌이켜 보니 우리 처음 혼인 했을 때가 제일 화평했던 때가 아니었던가 싶소. 그 좋았던 시절도 이제는 추억이 되고 말았구료.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내 잠시 혼미하고 용렬하여 요망한 말을 듣고 부인을 쫓아냈으니 차마 볼 면목이 없소. 생각해 보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이었는지. 그러나 이제 후회한들 어쩌겠소. 부인이 이제 세상에 없으니 내 무슨 낯으로 살겠소. 부인을 따라 죽고 싶은 심정이오. 저승에서 다시 만날 때까지 명복을 비오.
① 부인의 현숙한 덕행을 칭송함
② 부인이 쫓겨난 후의 행적을 기술함
③ 부인을 모함한 자에 대한 분노를 표출함
④ 부인과 헤어진 후의 경제 사정을 회고함
⑤ 부인을 죽도록 한 불합리한 제도를 비판함
54. 위 소설을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운동\'의 대상 작품으로 추천하고자 한다.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추천의 이유로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은? [2점] ▶ ①
①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전통적인 가치 인식과 함께 속도감과 박진감을 한 축으로 삼는 현대적 서사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②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지향해야 하는 시점에서, 중국을 공간적 배경으로 삼은 국제적 감각과 권선징악이라는 보편적 주제가 돋보인다.
③ 당대의 풍속을 사실적으로 반영하며, 유교적 가치관을 실감 있게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온고이지신( 溫故而知薪)\'의 대상으로 적절하다.
④ 독백을 통한 인물의 내면 묘사가 탁월하고, 집단의 고뇌와 갈등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 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⑤ 쫓고 쫓기는 행위, 위기 일발의 상황, 극적인 조력자의 출현 등 활극을 연상케 하는 장면들은 요즘의 대중 소설과 견줄 만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고전 총서 줄거리>
[명나라 가정 연간에 북경 순천부에 유현이란 명사가 있었으니, 벼슬이 이부시랑참지정사에 이르러 그 명망이 조야에 진동하였다. 일찍이 최시랑의 딸을 취하였는데 만년에야 한 아들을 얻었으니, 이름을 연수라 했다.] 연수는 나이 스물이 되자 우화암의 여승 묘혜의 중매로 인물 곱고 마음씨 착한 본래 대간 벼슬을 하다가 간신들의 모해를 입어 귀양살이를 하다가 죽은 사급사의의 딸이었다. 강직한 아버지의 성품을 이어받은 사정옥이 시집온 후 시아버지와 남편을 정성으로 섬기니, 유씨 가문은 화기가 애애하였다. 유한림과 사정옥이 결혼한 지 어느덧 10년 세월이 흘렀다. 그 사이에 연수의 아버지 유현이 세상을 떠났고, 연수는 정사에 참여하여 이름을 날렸다. 그런데 용모가 아름답고 그 행실이 현숙하다고 칭찬이 자자하던 사정옥의 얼굴에는 날이 감에 따라 수심이 더 짙어만 갔다. 그것은 나이 서른이 가까이 되었으나 가문의 대를 잉을 자식 하나 낳지 못한 것 때문이었다. 그래서 어느날 정옥은 남편에게 첩을 맞아들일 것을 권하였다. 이을 알게 된 연수의 고모 두부인은 정옥을 보고 화를 스스로 취하다니 될 말인가 하며 꾸짖었다. 이에 정옥은 남자의 일처 일첩은 떳떳한 일이므로, 자기는 세속 부녀자들의 투기 같은 것을 피하고, 혹 남편이 본심을 잃어 요색스러운 색에만 현혹되더라도 정성을 다해 간하겠노라고 하였다. 그리고 유한림을 설복하여 끝내 교채란이라는 첩을 데려오게 하였다. 교채란은 본래 벼슬하는 집 딸로서, 일찍 부모를 여의고 형의 집에서 자라며, 제 스스로 가난한 집 선비의 아내가 되느니보다 공후 부귀가의 첩이 되는 것이 좋다고 말한 여인이었다. 교녀는 한림의 비유를 잘 맞추어 주었고, 사씨를 섬기는 것도 자못 극진한 것 같았다. 교녀가 들어온 후 유씨 가문에는 일시적이나마 전에 없던 기쁨과 화기가 떠돌았다. 사씨는 말할 것도 없고 유연수도 이제 자식을 보게 될 앞날을 생각하면서 못내 기쁨을 금치 못하였다. 연수는 채란이 거처하는 집 이름을 백자당이라 짓고 잘 꾸려 주었다. 여종들도 모두 교낭자라고 하면서 채란을 잘 대해 주었다. 교활하고 흉측한 교채란은 임신하게 되니, 시녀 남매를 시켜 십랑이라는 무당을 불러다가 배 안의 아이가 남자인가 여자인가를 분간해 보라고 하면서 분탕을 피웠고, 아들을 낳은 다음에는 몰래 가랑을 끌여들여 거문고며 가곡·음률을 배우고, 노래와 탄금으로 연수의 마음을 유혹하였다. 일이 이렇게 번져 가니 사정옥은 교녀를 불러 여자가 음률을 하고 노래로 날을 보내면 집안일이 자연히 어지러워진다고 조용히 타일렀다. 이에 교녀는 지당한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척하고, 유한림 앞에서는 사부인이 다시 노래를 부르며 그냥 두지 않겠다고 하였다는 말을 하였다. 심지어 자기가 ‘나에게는 혀를 끊는 칼도 있고 벙어리 만드는 약도 있다.’는 말로 대답했노라고 덧붙였다. 이 말을 곧이들은 유연수는 처음으로 사정옥에 대하여 의심을 품게 되었으며, 집안에 무슨 여노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하는 데 이르렀다. 교채란의 투기는 사부인이 임신하게 되니 더욱 심해졌다. 교녀는 사씨가 아들을 낳게 되면 자기는 쓸모없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사부인이 먹는 약에 애기 지우는 약을 타넣게 하는 등 별의별 나쁜 짓을 다하였다. 사씨가 아들 인아를 낳으니, 교녀는 무당 십랑을 또 끌여들여 어떻게 하면 그를 없앨 수 있겠는가 하는 의논을 했고, 유씨 가문에 동청이라는 젊은 사내가 서사로 들어오니 흉계를 꾸미는 데 더욱 골몰했다. 동청은 원래 양반집 자식으로서 부모를 여윈 후 주색과 도박으로 가산을 탕진하고 떠돌이생활을 하면서 권세 있는 집들의 식객이 된 사내였다. 이 자는 인물이 잘나고 권세가 좋은데다 글씨까지 잘 써서, 처음에는 권세의 사랑을 받지만 험상궂은 행실과 여색을 좋아하는 행위로 하여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 같아서 울어 밤길 예놋다
⑤ 욕심 난다 하고 몹쓸 일을 하지 말라
나는 잊어도 남이 내 모습 보느니라
한 번을 악명을 얻으면 어느 물로 씻으리
53. (나)에서 유한림이 못 쓴 \'제문\'을 독자가 대신 쓰 려고 한다. <보기>처럼 초안을 작성하였을 때, ______ 에 들어갈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2점] ▶ ①
<보기>
사월 보름날, 연수는 부인에게 조촐한 음식을 차려 놓고 고하오. 부인이 죽었다니 그것이 정말이오? 아직도 그것이 믿어지지 않소. 돌이켜 보니 우리 처음 혼인 했을 때가 제일 화평했던 때가 아니었던가 싶소. 그 좋았던 시절도 이제는 추억이 되고 말았구료. ___________________________ 내 잠시 혼미하고 용렬하여 요망한 말을 듣고 부인을 쫓아냈으니 차마 볼 면목이 없소. 생각해 보면 얼마나 어리석은 일이었는지. 그러나 이제 후회한들 어쩌겠소. 부인이 이제 세상에 없으니 내 무슨 낯으로 살겠소. 부인을 따라 죽고 싶은 심정이오. 저승에서 다시 만날 때까지 명복을 비오.
① 부인의 현숙한 덕행을 칭송함
② 부인이 쫓겨난 후의 행적을 기술함
③ 부인을 모함한 자에 대한 분노를 표출함
④ 부인과 헤어진 후의 경제 사정을 회고함
⑤ 부인을 죽도록 한 불합리한 제도를 비판함
54. 위 소설을 \'우리 고전 다시 읽기 운동\'의 대상 작품으로 추천하고자 한다. 윗글을 바탕으로 할 때, 추천의 이유로 가장 설득력이 있는 것은? [2점] ▶ ①
① 가족의 소중함을 일깨우는 전통적인 가치 인식과 함께 속도감과 박진감을 한 축으로 삼는 현대적 서사성을 두루 갖추고 있다.
② 한국 문학의 세계화를 지향해야 하는 시점에서, 중국을 공간적 배경으로 삼은 국제적 감각과 권선징악이라는 보편적 주제가 돋보인다.
③ 당대의 풍속을 사실적으로 반영하며, 유교적 가치관을 실감 있게 형상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온고이지신( 溫故而知薪)\'의 대상으로 적절하다.
④ 독백을 통한 인물의 내면 묘사가 탁월하고, 집단의 고뇌와 갈등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고전 소설의 특징을 잘 보여 주고 있다.
⑤ 쫓고 쫓기는 행위, 위기 일발의 상황, 극적인 조력자의 출현 등 활극을 연상케 하는 장면들은 요즘의 대중 소설과 견줄 만한 경쟁력을 지니고 있다.
<고전 총서 줄거리>
[명나라 가정 연간에 북경 순천부에 유현이란 명사가 있었으니, 벼슬이 이부시랑참지정사에 이르러 그 명망이 조야에 진동하였다. 일찍이 최시랑의 딸을 취하였는데 만년에야 한 아들을 얻었으니, 이름을 연수라 했다.] 연수는 나이 스물이 되자 우화암의 여승 묘혜의 중매로 인물 곱고 마음씨 착한 본래 대간 벼슬을 하다가 간신들의 모해를 입어 귀양살이를 하다가 죽은 사급사의의 딸이었다. 강직한 아버지의 성품을 이어받은 사정옥이 시집온 후 시아버지와 남편을 정성으로 섬기니, 유씨 가문은 화기가 애애하였다. 유한림과 사정옥이 결혼한 지 어느덧 10년 세월이 흘렀다. 그 사이에 연수의 아버지 유현이 세상을 떠났고, 연수는 정사에 참여하여 이름을 날렸다. 그런데 용모가 아름답고 그 행실이 현숙하다고 칭찬이 자자하던 사정옥의 얼굴에는 날이 감에 따라 수심이 더 짙어만 갔다. 그것은 나이 서른이 가까이 되었으나 가문의 대를 잉을 자식 하나 낳지 못한 것 때문이었다. 그래서 어느날 정옥은 남편에게 첩을 맞아들일 것을 권하였다. 이을 알게 된 연수의 고모 두부인은 정옥을 보고 화를 스스로 취하다니 될 말인가 하며 꾸짖었다. 이에 정옥은 남자의 일처 일첩은 떳떳한 일이므로, 자기는 세속 부녀자들의 투기 같은 것을 피하고, 혹 남편이 본심을 잃어 요색스러운 색에만 현혹되더라도 정성을 다해 간하겠노라고 하였다. 그리고 유한림을 설복하여 끝내 교채란이라는 첩을 데려오게 하였다. 교채란은 본래 벼슬하는 집 딸로서, 일찍 부모를 여의고 형의 집에서 자라며, 제 스스로 가난한 집 선비의 아내가 되느니보다 공후 부귀가의 첩이 되는 것이 좋다고 말한 여인이었다. 교녀는 한림의 비유를 잘 맞추어 주었고, 사씨를 섬기는 것도 자못 극진한 것 같았다. 교녀가 들어온 후 유씨 가문에는 일시적이나마 전에 없던 기쁨과 화기가 떠돌았다. 사씨는 말할 것도 없고 유연수도 이제 자식을 보게 될 앞날을 생각하면서 못내 기쁨을 금치 못하였다. 연수는 채란이 거처하는 집 이름을 백자당이라 짓고 잘 꾸려 주었다. 여종들도 모두 교낭자라고 하면서 채란을 잘 대해 주었다. 교활하고 흉측한 교채란은 임신하게 되니, 시녀 남매를 시켜 십랑이라는 무당을 불러다가 배 안의 아이가 남자인가 여자인가를 분간해 보라고 하면서 분탕을 피웠고, 아들을 낳은 다음에는 몰래 가랑을 끌여들여 거문고며 가곡·음률을 배우고, 노래와 탄금으로 연수의 마음을 유혹하였다. 일이 이렇게 번져 가니 사정옥은 교녀를 불러 여자가 음률을 하고 노래로 날을 보내면 집안일이 자연히 어지러워진다고 조용히 타일렀다. 이에 교녀는 지당한 말씀으로 받아들이는 척하고, 유한림 앞에서는 사부인이 다시 노래를 부르며 그냥 두지 않겠다고 하였다는 말을 하였다. 심지어 자기가 ‘나에게는 혀를 끊는 칼도 있고 벙어리 만드는 약도 있다.’는 말로 대답했노라고 덧붙였다. 이 말을 곧이들은 유연수는 처음으로 사정옥에 대하여 의심을 품게 되었으며, 집안에 무슨 여노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고 생각하는 데 이르렀다. 교채란의 투기는 사부인이 임신하게 되니 더욱 심해졌다. 교녀는 사씨가 아들을 낳게 되면 자기는 쓸모없게 될 것이라고 생각하면서, 사부인이 먹는 약에 애기 지우는 약을 타넣게 하는 등 별의별 나쁜 짓을 다하였다. 사씨가 아들 인아를 낳으니, 교녀는 무당 십랑을 또 끌여들여 어떻게 하면 그를 없앨 수 있겠는가 하는 의논을 했고, 유씨 가문에 동청이라는 젊은 사내가 서사로 들어오니 흉계를 꾸미는 데 더욱 골몰했다. 동청은 원래 양반집 자식으로서 부모를 여윈 후 주색과 도박으로 가산을 탕진하고 떠돌이생활을 하면서 권세 있는 집들의 식객이 된 사내였다. 이 자는 인물이 잘나고 권세가 좋은데다 글씨까지 잘 써서, 처음에는 권세의 사랑을 받지만 험상궂은 행실과 여색을 좋아하는 행위로 하여
추천자료
국어과교과서와 국어과교육에 대한 한계점과 해결 방안
교과서에 수록된 고려가요 ‘동동’ 분석
교과서가 죽인 책들을 읽고
중학교 국어교과서의 소설교육 양상 - 현대소설교육연습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
국어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국어 上 - 1. 읽기의 즐거움과 보람 (2) 그 여자네 집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김유정의「동백꽃」과 황순원의「학」을 중심으로 -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 소설 교육의 실제
-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하근찬의 ‘흰 종이 수염’을 중심으로 -
교과서 수록 현대 소설 교육의 실제 - 조세희,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을 중심으로 -
-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현진건의 ‘운수좋은 날’을 중심으로 -
국어교과서 수록 현대소설 교육의 실제 -황순원의 ‘소나기’을 중심으로
국어교과서 수록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를 중심으로
교과서 수록 현대소설교육의 실제 - 중학교 3학년 1학기 국어 3단원 독서와 사회 - (2) 원미...
교과서 속 근대소설 교육의 실제 주요섭의 『사랑손님과 어머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