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언어로 표현하는 것과는 달리 풍부한 상상력을 동원하여 의미를 전달할 수 있는 방식이다.
⑤ 모의 재판하기 : 작품 속에서 쟁점이 될 만한 내용을 선정하여 재판 형식을 적용시켜 보는 방법이다. 등장인물과 대화를 나누는 방법으로 바꾸어서 시도해 볼 수도 있다.
⑥ 작품에 대한 광고 만들기 : 작품에서 인상 깊었던 장면을 바탕으로 광고 콘티를 작성해 보는 방법이다. 광고 카피를 동원하는 방법도 있다.
⑦ 이야기 덧붙이기 : 특정한 장면에 이야기를 덧붙여 보거나, 작품 속에 없는 장면을 삽입해 보는 방법이다.
⑧ 결말 뒤바꾸기 : 본래 작품의 결과를 다른 방향으로 뒤바꿔 보는 방법이다.
⑨ 작품 속 인물에게 편지 쓰기
⑩ 작품 속 특정 어휘로 삼행시 짓기 : 작품의 핵심 어구를 가려 뽑아 삼행시나 사행시를 짓는 방식이다. 삼행시의 내용은 작품 비평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⑪ 등장인물을 이용하여 독창적인 이야기 쓰기 : 등장인물의 성격만으로 아예 독창적인 이야기를 구성해 보게 하는 방법이다.
⑫ 장르 바꾸기 : 소설을 수필이나 시, 희곡 등으로 바꾸어 본다.
⑬ 독후감 쓰기
4. 마치며
그동안 항상 학습자 입장에서 생각해오다가 이번에 교육실습을 다녀오고 나서 교수자 입장에서 수업을 바라보게 되었다. 교육실습 중에 토끼전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게 되었는데, 내가 학생일 때, 지겨워했던 그 수업방식으로 수업을 이끌어가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연구수업을 할 때에만 내가 여태 진행하던 강의식 방식이 아닌 모둠협력 활동식 수업을 진행했는데, 아이들의 반응이 생각보다 훨씬 뜨거워서 상당히 놀랐다. 강의식 수업을 하면서 스스로 했던 위로가 이 많은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전달하려면 이 수업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연구수업을 하고 나서 그것은 결국 교사를 위한 변명밖에 되지 않는다는 걸 깨달았다. 학생들에게 더 많은 것을 전달하는 것이 올바른 수업이라고 정한 것은 누구인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올바른 수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가. 이런 고민들을 하고 난 결과, 문학 더 나아가 국어 수업에서 학생이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사의 몫이 아닌가하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그러한 깨달음은 바탕에 두고 생각해 본 것이 바로 이 과제물이다. 이 과제를 하기 위해 많은 참고문헌을 살펴보면서 단순히 학습자들의 활동 위주의 수업을 준비하는 것도 많은 문제가 있음을 알았다. 결국 최종적으로 얻은 결론은 이러하다. 문학 교육은 앞서 언급한 모든 수업 방식이 상호 보완적이면서 그것이 다 갖추어짐으로써 비로소 유기적이고 유용한 지식이 될 수 있다는 것 말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소설이라는 장르를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더 잘 교육시킬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해 보았다. 어떻게 생각하면 소설이라는 장르를 교육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학 교육은 문학과 함께 이루어지는 인간의 의미 잇는 성장에 의도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며, 그것이 좀 더 의미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기에 앞으로도 더 좋은 교수학습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3-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국어 3-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김대행 외 (2000),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정구향,최미숙 (1999),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창작교육, 『국어교육』 제100호, 한국국어교육학회
최미숙 외 (2008),『국어 교육의 이해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⑤ 모의 재판하기 : 작품 속에서 쟁점이 될 만한 내용을 선정하여 재판 형식을 적용시켜 보는 방법이다. 등장인물과 대화를 나누는 방법으로 바꾸어서 시도해 볼 수도 있다.
⑥ 작품에 대한 광고 만들기 : 작품에서 인상 깊었던 장면을 바탕으로 광고 콘티를 작성해 보는 방법이다. 광고 카피를 동원하는 방법도 있다.
⑦ 이야기 덧붙이기 : 특정한 장면에 이야기를 덧붙여 보거나, 작품 속에 없는 장면을 삽입해 보는 방법이다.
⑧ 결말 뒤바꾸기 : 본래 작품의 결과를 다른 방향으로 뒤바꿔 보는 방법이다.
⑨ 작품 속 인물에게 편지 쓰기
⑩ 작품 속 특정 어휘로 삼행시 짓기 : 작품의 핵심 어구를 가려 뽑아 삼행시나 사행시를 짓는 방식이다. 삼행시의 내용은 작품 비평이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⑪ 등장인물을 이용하여 독창적인 이야기 쓰기 : 등장인물의 성격만으로 아예 독창적인 이야기를 구성해 보게 하는 방법이다.
⑫ 장르 바꾸기 : 소설을 수필이나 시, 희곡 등으로 바꾸어 본다.
⑬ 독후감 쓰기
4. 마치며
그동안 항상 학습자 입장에서 생각해오다가 이번에 교육실습을 다녀오고 나서 교수자 입장에서 수업을 바라보게 되었다. 교육실습 중에 토끼전을 학생들에게 가르치게 되었는데, 내가 학생일 때, 지겨워했던 그 수업방식으로 수업을 이끌어가는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연구수업을 할 때에만 내가 여태 진행하던 강의식 방식이 아닌 모둠협력 활동식 수업을 진행했는데, 아이들의 반응이 생각보다 훨씬 뜨거워서 상당히 놀랐다. 강의식 수업을 하면서 스스로 했던 위로가 이 많은 아이들에게 더 많은 것을 전달하려면 이 수업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연구수업을 하고 나서 그것은 결국 교사를 위한 변명밖에 되지 않는다는 걸 깨달았다. 학생들에게 더 많은 것을 전달하는 것이 올바른 수업이라고 정한 것은 누구인가. 교사가 학생들에게 전달하는 것이 올바른 수업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인가. 이런 고민들을 하고 난 결과, 문학 더 나아가 국어 수업에서 학생이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교사의 몫이 아닌가하는 깨달음을 얻게 되었다. 그러한 깨달음은 바탕에 두고 생각해 본 것이 바로 이 과제물이다. 이 과제를 하기 위해 많은 참고문헌을 살펴보면서 단순히 학습자들의 활동 위주의 수업을 준비하는 것도 많은 문제가 있음을 알았다. 결국 최종적으로 얻은 결론은 이러하다. 문학 교육은 앞서 언급한 모든 수업 방식이 상호 보완적이면서 그것이 다 갖추어짐으로써 비로소 유기적이고 유용한 지식이 될 수 있다는 것 말이다. 이번 과제를 통해 소설이라는 장르를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더 잘 교육시킬 수 있을 것인지 고민해 보았다. 어떻게 생각하면 소설이라는 장르를 교육한다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문학 교육은 문학과 함께 이루어지는 인간의 의미 잇는 성장에 의도적으로 관여하는 것이며, 그것이 좀 더 의미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노력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기에 앞으로도 더 좋은 교수학습 방법을 찾아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야겠다.
참고문헌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 3-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교육인적자원부, 중학교 국어과 교사용 지도서『국어 3-1』, 교육인적자원부, 2002.
김대행 외 (2000), 『문학교육원론』, 서울대학교출판부
정구향,최미숙 (1999),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과 창작교육, 『국어교육』 제100호, 한국국어교육학회
최미숙 외 (2008),『국어 교육의 이해 (국어 교육의 미래를 모색하는 열여섯 가지 이야기) 』,사회평론
추천자료
국어과 교육 과정과 교과서의 상관성(1)
신문활용교육(NIE) 기원, 신문활용교육(NIE) 의의, 신문활용교육(NIE) 특징, 신문활용교육(NI...
[풍물놀이교육][풍물교육][풍물굿교육]풍물놀이(풍물, 풍물굿)교육의 목적, 풍물놀이(풍물, ...
[진로교육][진로지도]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의미,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영역, 진로교육(진로...
복식통합교육(복식수업)의 개념과 필요성, 국어과와 영어과 복식통합교육과정(복식수업), 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문학 비평, 비교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직업교육의 유형과 필요성, 공업계 고등학교(공고) 직업교육의 지도실...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기본, 유아언어지도(유아언어교육)의 필요성, 유아언어지도(유...
교과재량활동의 목적과 필요성, 교과재량활동의 기능, 국어과교육과 영어과교육의 교과재량활...
[교육과정 재구성][국어과][사회과]교육과정 재구성의 의미, 교육과정 재구성의 필요성, 국어...
초등학교 국어 2007교육과정에 따른 새 교과서 좋은 듣기 제재의 선정과 분석
문학 영역 평가의 이론과 실제 - 제7차 교육 과정,문학영역 평가의 방향, 7차 교육 과정 문학...
국어과 교과서 교육과정과 연계(보기 좋게 다단으로 정리했습니다.)
[고전문학 교육론] 가전 문학 수업하기 -교과서에 실린 주요 가전 작품 (공방전 국순전 국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