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육의 방법과 실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교육의 방법과 실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하는 낱말을 문장 내에서 주어의 역할을 하게 하는 조사로, 자음 다음에는 ‘-이’를, 모음 다음에는 ‘-가’를, 높임의 경우에는 ‘-께서’를 사용한다
48. “서울에 전화를 했다.”와 “서울에서 전화를 했다.”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서울에 전화를 했다.”는 수신자가 서울에 있다는 의미이고, “서울에서 전화를 했다.”는 발신자가 서울이라는 의미이다. 전자의 ‘-에’는 이동의 도착점을 나타내는 데 비해, 후자의 ‘-에서’는 행위가 어느 특정한 장소에서 일어남을 나타내는 데 쓰인다.
49. “책 그리고 공책을 샀다.”라는 문장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말해 보라. ‘그리고’는 일반적으로 문장과 문장을 연결하는데 사용되고, 낱말과 낱말을 연결할 때에는 ‘-와/-과’를 사용한다.
50. “안방에서 청소를 합니다.”와 “안방부터 청소합니다.”의 차이점을 말해 보라.
‘-에서’도 ‘서울에서 부산까지’에서처럼 ‘-부터’와 같은 ‘from\'의 의미를 갖기도 한다. 그러나 이 조사는 48번에서 본 바와 같이 어떤 행위가 어느 특정한 장소에서 일어날 경우에도 사용된다. ’-에서‘가 ’from\'의 의미를 가질 때는 대체로 그 뒤에 도착지가 나타난다. 물론 도착지가 생략되는 경우도 있지만, 그 의미는 가지고 있다. 따라서 “안방에서 청소한다”는 말은 “안방부터 청소한다.”라는 말과 달리 ‘청소를 안방에서 한다’는 뜻일 뿐 다른 방도 청소를 할지는 모른다.
51. “저는 서울에 갑니다.”와 “제가 서울에 갑니다.”의 차이점을 말해보라.
“제가 서울에 갑니다.”는 “서울에 누가 가니?”라는 말에 대한 대답으로,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이 간다는 의미이고, “저는 서울에 갑니다.”라는 말은 서울에 가는 사람이 또 달리 있는지 모르지만, 자신은 간다는 의미이다. 그리고 ‘서울에’를 강조하면, ‘(당신은) 어디에 갑니다?’라는 물음에 대한 대답이 된다.
52. 우리말에서 용언을 동사, 형용사, 지정사 등과 같이 분류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우리말에서 동사와 형용사, 지정사는 의미적으로 서로 구별될 뿐만 아니라 그들의 활용의 방식에 있어 서로 다른 모습을 보여 주기 때문에 구별되어야 한다.
53. 우리말에서 형용사의 형태-통사론적 특성에 대해서 말하라.
형용사는 동사에 비해 여러 가지 형태-통사론적 제약을 받는다.
① 형용사는 명령법이나 청유법 또는 자원법어미와 함께 쓰이지 못한다.
② 형용사는‘-고 있다’, ‘-어 있다’와 같은 보조용언 구문과 함께 쓰이지 못한다.
③ 우리말 형용사는 그 자체가 계사의 도움 없이 서울어로 독립적으로 쓰일 수 있다.
54. 종결어미 교육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종결어미의 교육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점들에 주의하여야 한다.
① 용언의 부류에 따른 제약이 있을 수 있다. 즉, 특정한 부류의 용언만을 허용한다거나 허용하지 않는다거나 하는 제약의 존재 유무
② 용언의 부류에 따른 이형태소(allomorpheme)들이 있을 수 있다
③ 주어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④ 선어말어미의 출현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55. 선어말어미 교육에 있어서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① 선어말어미들의 결합에는 순서가 있다.
② 선어말어미들의 결합에는 가능한 것들과 불가능한 것들이 있다
ㄱ. ‘-시-’는 다른 선어말어미들과 자유롭게 결합할 수 있다
ㄴ. ‘-었-’과 ‘-겠-’은 결합가능하다
ㄷ. ‘-(느)ㄴ’은 ‘-었-’이나 ‘-겠-’과 결합할 수 없다
③ 용언의 부류에 따른 제약이나 이형태소들이 있을 수 있다
④ 주어에 대한 제약이 있을 수 있다
56. 다음 예문들에서 잘못된 곳을 찾아 고치고,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라.
① *날씨가 추울래? -- ‘-ㄹ래’는 의문문에서 동사와만 결합할 수 있다.
날씨가 추울까?
② *학교에 갔십시오. -- 과거 선어말어미‘-았/었-’은 명령법어미와 함께 쓰일 수 없다. -> 학교에 가십시오 ③ *오늘 날씨가 참 따뜻한다. -- 서술법 현재시제는 형용사의 경우‘-(느)ㄴ-’이 아니라 영형태소에 의해표시
오늘날씨가 참 따뜻하다
④ *나는 어제 학교에 가셨다. -- 객체존대 선어말어미 \'-시-‘는 일인칭 주어와 함께 사용될 수 없다
나는 어제 학교에 갔다
⑤ *나는 학교에 가더라. -- 시상 선어말어미 ‘-더-’는 화자의 행위를 묘사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나는 학교에 갔다
57. 연결어미 교육에 있어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① 선어말어미가 붙을 수 있는지
② 어휘적인 제약이 있는지, 즉 용언의 어떤 부류와 결합할 수 있는지
③ 용언의 종류에 따른 이형태가 있는지
④ 선행절의 주어와 후행절의 주어가 같은지, 다른지
⑤ 서법상의 제약이 있는지, 즉 후행하는 절이 특정한 서법의 형태를 취해야 한다든 지, 아니면 특정한 서법은 올 수 없다든지 하는 제약의 유무
⑥ 어떤 보조동사들과 함께 쓰여서 어떤 의미/통사기능을 나타낼 수 있는지
⑦ 비슷한 의미를 갖는 연결어미들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
58. 보조용언의 교육에 있어 주의할 점은 무엇인가?
① 문제의 보조용언이 어떤 의미기능을 가지는지② 선행용언이 어떤 연결어미를 취할 수 있는지
③ 본용언에 어휘적인 제약이 있는지④ 주어에 인칭제약이 있는지⑤ 얼마나 생산적인지
⑥ 학습자의 모국어에 있는 보조용언이나 대응구문과의 공통점과 차이점의 발견
59. 관형사형어미의 특성은 무엇인가?
① 시상표현에 있어서 직설법과 다른 형태소를 취한다. 즉, 동사의 직설법 형태와 상이한 어미를 취한다.
② 용언의 종류에 따라 형태가 달라진다.
③ 관형절이 수식을 받는 명사의 왼쪽에 온다. ④ 관계대명사가 따로 없다
60. 관형사형어미 ‘-(으)ㄴ’의 의미기능에 대해 설명하라.
관형사형어미 ‘-(으)ㄴ’은 형용사나 지정사와 쓰일 때는 주절의 시점에 비추어 현재/미완료의 시상적 의미를 나타내지만, 동사와 쓰일 때는 과거/완료의 시상적 의미를 나타낸다.
61. 다음 예문들에서 잘못된 곳을 찾아 고치고, 왜 잘못되었는지를 설명하라.
① *철수는 노래를 부르면서 영희는 춤을 추었다. -- 연결어미 ‘-(으)면서’의 선행절과 후행절은 주어가
철수는 노래르 부르면서 춤을 추었다 같아야 한다
② *학교에 갔니까 수업이 벌써

키워드

한국어,   교육,   방법,   실제
  • 가격2,1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12.24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085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