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전사자료
3. 텍스트분석
3.1 토크쇼의 담화구조
3.2 토크쇼 엠씨의 역할
3.3 토크쇼전략
3.3.1 끼어들기전략
3.3.2 그 이외의 전략
4.결론
*참고문헌
2. 전사자료
3. 텍스트분석
3.1 토크쇼의 담화구조
3.2 토크쇼 엠씨의 역할
3.3 토크쇼전략
3.3.1 끼어들기전략
3.3.2 그 이외의 전략
4.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목차
1. 서론
2. 전사자료
3. 텍스트분석
3.1 토크쇼의 담화구조
3.2 토크쇼 엠씨의 역할
3.3 토크쇼전략
3.3.1 끼어들기전략
3.3.2 그 이외의 전략
4.결론
*참고문헌
1.서론
우리는 흔히 TV에서 수많은 토크쇼를 접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즐거워 하고 밖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곤 한다. 그렇다면 TV 토크쇼의 어떤 특성 때문에 우리가 즐거워하며 웃을 수 있는 것일까?
토크쇼는 말 그대로 토크(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인간적 흥미를 자극하는 의도로 사교적인 대화나 생활주변의 일상사나 화제거리가 주축으로 일상적인 대화체로 진행된다. (이 때 토크쇼는 논증과 논쟁, 시사적 내용, 심층성을 중심으로 하는 토론프로그램과는 구별된다.) 토크쇼를 이끌어나가는 진행자와 초대 손님과의 인터뷰, 토론 등으로 구성되고 그것을 보여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방청객과 시청자와의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토크쇼는 다른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표현수단이 수사적 방식을 토대로 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리얼리티를 강조하게 되고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보다는 객관적 시각에서 시청하도록 하는 특성을 만들어 낸다. 드라마가 허구의 인물과 플롯을 구성하는데 반해 토크쇼는 일반적으로 실제 인물을 출연시켜 실제의 이야기를 하도록 전개하여 자연스러움과 사실성을 중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의 토크쇼는 오락적이고 쇼적인 요소를 가미한 버라이어티성이 강조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연예인을 동원한 엔터테인먼트적 성격을 띠고 있고 시청자에게 유용한 정보나 교양, 지식의 제공보다는 웃음과 재미를 전달하려는 더 큰 목적이 있다고 했다.
이러한 토크쇼의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적인 대화체이다. 일상적인 대화체를 통해 우리에게 유대감을 느끼게 하고 그를 통해 사람들이 더욱 스트레스를 풀게끔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상적인 대화체, 즉 이러한 텍스트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을까?
현재 mbc에서 방영중인 토크쇼 ‘놀러와’ 12월 1일자 프로그램을 분석을 통해 일상적 대화체를 사용하는 토크쇼를 분석해 보려 한다.
2. 전사자료
<놀러와 ·12월 1일>
재석: 안녕하세요 놀러와 유재석입니다.
원희: 안녕하세요 김원희입니다.
재석: 오늘도 정말 굉장히 기대가 되는 그런 특집입니다.
바로 70~80년대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정통 멜로스타 네분이 함께해주셨어요
원희(게스트들 함께): 멜라스타?
재석: 멜라스타!
재석: 이 네분을 이렇게 한자리에 모시고 뵌적이 없거든요.
원희: 먼저 대한민국 원조 국민오빠, 국민 여동생이시죠. 노주현, 임예진씨 모셨습니다.
재석: 네~안녕하세요.
원희: 대한민국 멜로영화의 산 증인이시죠. 이영하씨, 유지인씨 놀러오셨습니다.
재석: 네~안녕하세요.반갑습니다.
원희: 이 네분은 한 시대를 가히 그냥 쥐었다 피었다 했던, 한 시대를 포위했던 분들이잖아요~
재석: 그렇죠~
지인: 아니, 근데 바비인형이 줬다 풀었다 막 이러니까 너무 안어울린다.
재석: 아, 또, 그저, 우리 유지인씨께서, 우리 원희양을 바비인형이라, ...
아. 잠깐 잊었었네요~ 바비인형이셨죠!
원희: 자세히보면 아니라고 전달좀...!!,ㅋㅋ
지인: 하하하하하하하하
예진: 푸하하하하 이거 편집하지 마세요~
스웨터로 눈물닦아~아~드러
주현: 드럽긴 뭐가 드럽냐 임마~
재석: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런 얘기도 웃으시면서....zzz
(말이 막 묻힘.,..서로 얘기해서..)
원희: 이 네분은 데뷔하신지가. 평균 한...?
영하: 여기서는 제가 막냅니다.
재석: 아, 이영하씨가요~
영하: 예~제가 77년도에...
재석: 그렇구나!
영하: 예~
재석: 유지인씨는 실례지만 몇 년도에 데뷔를?
지인: 저는 73년도 5월에 입사해서...
원희: 어머,저는요 미용실에서 항상 두분을 뵈니까 언니같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제가 사실 72년생이거든요...
재석: 그렇죠~그렇죠
원희: 저 2살 때 데뷔를 하신거니까...이렇게 하니까 굉장한.....
재석: 그러니까 노홍철씨나, 우리 은지원씨, 김신영씨 같은경우에는 어머니, 아버지께서 연애를 어느 정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만날지 말지, 어떻게 될지 모르는 그 상황에 벌써 데뷔를하신거죠.
재석: 저기 저 임예진씨는 언제 데뷔를 하셨나요?
예진: 저는...
주현: 시원찮은게 데뷔는 일찍했죠~
예진: 하하하하. 저는 74년도에 했어요~
주현: 그거밖에 안
1. 서론
2. 전사자료
3. 텍스트분석
3.1 토크쇼의 담화구조
3.2 토크쇼 엠씨의 역할
3.3 토크쇼전략
3.3.1 끼어들기전략
3.3.2 그 이외의 전략
4.결론
*참고문헌
1.서론
우리는 흔히 TV에서 수많은 토크쇼를 접한다. 그리고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즐거워 하고 밖에서 쌓인 스트레스를 풀곤 한다. 그렇다면 TV 토크쇼의 어떤 특성 때문에 우리가 즐거워하며 웃을 수 있는 것일까?
토크쇼는 말 그대로 토크(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프로그램이다. 인간적 흥미를 자극하는 의도로 사교적인 대화나 생활주변의 일상사나 화제거리가 주축으로 일상적인 대화체로 진행된다. (이 때 토크쇼는 논증과 논쟁, 시사적 내용, 심층성을 중심으로 하는 토론프로그램과는 구별된다.) 토크쇼를 이끌어나가는 진행자와 초대 손님과의 인터뷰, 토론 등으로 구성되고 그것을 보여주는 방식이기 때문에 방청객과 시청자와의 긴밀한 유대감을 형성할 수 있다.
토크쇼는 다른 프로그램들과는 달리 표현수단이 수사적 방식을 토대로 하는 형식이기 때문에 리얼리티를 강조하게 되고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보다는 객관적 시각에서 시청하도록 하는 특성을 만들어 낸다. 드라마가 허구의 인물과 플롯을 구성하는데 반해 토크쇼는 일반적으로 실제 인물을 출연시켜 실제의 이야기를 하도록 전개하여 자연스러움과 사실성을 중시하는 것이 특징이다.
우리나라의 토크쇼는 오락적이고 쇼적인 요소를 가미한 버라이어티성이 강조된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연예인을 동원한 엔터테인먼트적 성격을 띠고 있고 시청자에게 유용한 정보나 교양, 지식의 제공보다는 웃음과 재미를 전달하려는 더 큰 목적이 있다고 했다.
이러한 토크쇼의 가장 중요한 것은 일상적인 대화체이다. 일상적인 대화체를 통해 우리에게 유대감을 느끼게 하고 그를 통해 사람들이 더욱 스트레스를 풀게끔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일상적인 대화체, 즉 이러한 텍스트에는 어떠한 특징이 있을까?
현재 mbc에서 방영중인 토크쇼 ‘놀러와’ 12월 1일자 프로그램을 분석을 통해 일상적 대화체를 사용하는 토크쇼를 분석해 보려 한다.
2. 전사자료
<놀러와 ·12월 1일>
재석: 안녕하세요 놀러와 유재석입니다.
원희: 안녕하세요 김원희입니다.
재석: 오늘도 정말 굉장히 기대가 되는 그런 특집입니다.
바로 70~80년대 최고의 인기를 누렸던 정통 멜로스타 네분이 함께해주셨어요
원희(게스트들 함께): 멜라스타?
재석: 멜라스타!
재석: 이 네분을 이렇게 한자리에 모시고 뵌적이 없거든요.
원희: 먼저 대한민국 원조 국민오빠, 국민 여동생이시죠. 노주현, 임예진씨 모셨습니다.
재석: 네~안녕하세요.
원희: 대한민국 멜로영화의 산 증인이시죠. 이영하씨, 유지인씨 놀러오셨습니다.
재석: 네~안녕하세요.반갑습니다.
원희: 이 네분은 한 시대를 가히 그냥 쥐었다 피었다 했던, 한 시대를 포위했던 분들이잖아요~
재석: 그렇죠~
지인: 아니, 근데 바비인형이 줬다 풀었다 막 이러니까 너무 안어울린다.
재석: 아, 또, 그저, 우리 유지인씨께서, 우리 원희양을 바비인형이라, ...
아. 잠깐 잊었었네요~ 바비인형이셨죠!
원희: 자세히보면 아니라고 전달좀...!!,ㅋㅋ
지인: 하하하하하하하하
예진: 푸하하하하 이거 편집하지 마세요~
스웨터로 눈물닦아~아~드러
주현: 드럽긴 뭐가 드럽냐 임마~
재석: 보시면 아시겠지만 그런 얘기도 웃으시면서....zzz
(말이 막 묻힘.,..서로 얘기해서..)
원희: 이 네분은 데뷔하신지가. 평균 한...?
영하: 여기서는 제가 막냅니다.
재석: 아, 이영하씨가요~
영하: 예~제가 77년도에...
재석: 그렇구나!
영하: 예~
재석: 유지인씨는 실례지만 몇 년도에 데뷔를?
지인: 저는 73년도 5월에 입사해서...
원희: 어머,저는요 미용실에서 항상 두분을 뵈니까 언니같다는 느낌이 들었는데..
제가 사실 72년생이거든요...
재석: 그렇죠~그렇죠
원희: 저 2살 때 데뷔를 하신거니까...이렇게 하니까 굉장한.....
재석: 그러니까 노홍철씨나, 우리 은지원씨, 김신영씨 같은경우에는 어머니, 아버지께서 연애를 어느 정도 하셨는지 모르겠지만 ......만날지 말지, 어떻게 될지 모르는 그 상황에 벌써 데뷔를하신거죠.
재석: 저기 저 임예진씨는 언제 데뷔를 하셨나요?
예진: 저는...
주현: 시원찮은게 데뷔는 일찍했죠~
예진: 하하하하. 저는 74년도에 했어요~
주현: 그거밖에 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