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등가사의 정의
2. 사회등가사의 형성과정
3. 사회등가사의 특징
4. 사회등가사의 유형
5. 주요 작품
6. 그 밖의 작품들에 관한 내용
7. 사회등가사의 주제의식
8. 사회등가사의 의의
2. 사회등가사의 형성과정
3. 사회등가사의 특징
4. 사회등가사의 유형
5. 주요 작품
6. 그 밖의 작품들에 관한 내용
7. 사회등가사의 주제의식
8. 사회등가사의 의의
본문내용
당시의 독립 신문,대한 매일 신보 등에 발표되었다.
③ 항일 의병 가사 ― 1905년의 을사강제조약과 1907년의 군대해산 등을 고비로 일 어난 의병운동의 과정에서 의병들의 신념과 투쟁 경험을 담은 내용을 비롯하여, 구한말과 국권 상실 후에 일본의 침략에 저 항하고 자주 독립을 지키려는 의병들의 항쟁을 찬양, 고무한 내용이다.
5. 주요 작품
① <춘하월원>
오늘날이하일(何日)인고
음력세수상원(陰曆歲首上元)이라
만리벽공(萬里碧空)바라보니
천연(天然)할사저명월(明月)은
두우간(斗牛間)에배회(徘徊)하고
장안만호(長安萬戶)살펴보니
입춘대길황홀(立春大吉恍惚)하다.
쌍명가절(雙名佳節)인아닌가
방가종주(放歌從酒)하여보세
달도밝고봄도왔네
사회상(社會上)의지사(志士)들아
상호시기(相互猜忌)하지말고
무도진경단합(務圖進競團合)하며
자만자족(自滿自足)하지말고
부식방침연구(扶植方針硏究)하여
일대단체(一大團體)되려거든
춘일(春日)같이화창(和暢)하고
망월(望月)같이원만(圓滿)하소
달도밝고봄도왔네
교육계(敎育界)의청년(靑年)들아
나태습관(懶怠習慣)다버리고
근자열심주공(勤孜熱心做工)하여
독립사상분발(獨立事象奮發)하여
완전국민(完全國民)되려거든
의뢰성질(依賴性質)두지말고
춘일(春日)같이화창(和暢)하고
망월(望月)같이원만(圓滿)하소
<춘월가사>는 계몽적인 성격이 짙은 작품 중의 하나이다. 사회의 각 계층과 구성원들, 즉 지사, 교육자, 부녀자, 탐정, 공인들은 호명해 각성을 촉구하고 나아가 훌륭한 국가 건설의 역군이 되기를 독려하는 내용의 가사다. 개화기 가사의 일반적 주제로서 애국계몽과 현실 비판 및 문명개화에 대한 소망이 잘 표현되어 있다. 형식상 이 시에서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연 구분이 되어 있고 후렴구와 매연의 첫머리에 민요 어구 ― 예켠대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의 전통가사에는 없었던 것으로 전통적인 가사와 민요가 상호 침투되어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 가고 있는 예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② <애국하는 노래>
깁흔잠을 어셔여 부국강병(富國强兵) 진보세.
(합가) 의쳔 밧게되니 후회막급 업시세.
합심고 일심되야 셔셰동졈(西勢東漸) 막아 보세.
(합가) 롱공샹(士農工商) 진력야 사마다 유세.
남녀업시 입학야 셰계학식 화보자.
(합가) 교휵 야화되고, 화야사 되네.
팔괘국긔(八卦國旗) 놉히달아 륙쥬에 횡세.
(합가) 산이놉고 물이깁게 우리 음셰세.
개화기 시대에 우리 민족의 역사적 과제는 대내적으로는 반봉건(개화, 계몽), 대외적으로는 반외세(애국)였다. <애국하는 노래>는 이 중에서 개화 의식을 고취하는 외에도 외세의 침략을 경계하는 내용까지를 담고 있다. 이 노래의 특징적인 점은 \'합가\' 부분으로, 한 사람이 선창을 하면 여러 명이 합창으로 후창을 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져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민요의 가창 방식 중 앞소리와 뒷소리가 있는 선후창을 본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애국가>
대죠션국 건양원년 쥬독닙 깃버셰
텬디간에 사되야 신충보국 뎨일이니
님군 츙셩고 졍부 보호셰
인민들을 랑고 나라긔 놉히 달세
나라도을 각으로 시죵여일 동심세
부녀경식 교휵 사마다 거시라
집을각기 흥랴면 나라몬져 보젼셰
우리나라 보젼기 자나나 각세
나라위죽 죽엄 영광이제 원한업네
국가태평 가안락은 롱공샹 힘을쓰세
우리나라 흥기를 비이다 하느님
문명지화 열닌세샹 말과일과 게세
<애국가>는 독립에 대한 의지와 애국 정신 고취를 주제로 삼고 있는 노래이다. 1896년에 이르러서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고 독립의 상징으로 삼았다는 말부터 하고 새 시대를 맞이한 기쁨과 각오를 노래했다. 임금에게 충성을 하자고 한 다음, 정부를 보호하고, 나라를 보전하고자 했다. 임금이 곧 정부이고 나라라고 하지 않았으며, 나라를 보전하는 것이 가장 긴요한 과업이므로 그렇게 하는 데 모든 노력을 다 바치자고 했다. 인민들을 사랑하고, 부녀자를 공경하면서 대하고, 자식을 교육시킴으로써 나라의 구성원이 모두 다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했으며, 사농공상이 함께 힘을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 모든 사람들이 화합하는 질서가 무엇을 의미하며 어째서 위기에 이르렀는가는 밝히지 않고 나라를 위해 죽을 각오를 하자하고, \'하느님\'께 빌라고 했다.
④ <동심가>
잠을 세, 잠을 세
쳔년이 속이라.
만국이 회동(會同)야
사해(四海)가 일가(一家)로다.
구구셰절(區區細節) 다 리고
상하 동심(同心) 동덕(同德)셰.
으 부강 불어고
근본 업시 회빈(回賓)랴.
범을 보고 개 그리고
봉을 보고 그린가.
문명(文明) 화(開化)랴 면
실샹(實狀)일이 뎨일이라.
못셰 고기 불어 말고
그믈 기 잡아 보셰.
그믈 기 어려우랴
동심결(冬心結)로 잡아 보셰.
이 작품은 그 중에서도 초기의 것으로 문명 개화에 대한 낙관적인 희망을 고취하고 있다. 작자는 사해 동포주의의 시기가 도래하였는데도 다툼과 공론만 일삼고 있는 자들에게 잠을 깰 것을 촉구한다. 그러면서 남의 부강을 부러워하지 말고 단결하여 나아갈 것을 \'그물\'과 \'동심결\'의 비유로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은 새로운 현실에 대한 인식과 개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개화의 성취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실에 대한 인식과 개화 성취는 다음의 네 단계로 그려진다. 첫째, 온 세계는 모두가 한 가족이라는 것. 둘째, 우리 민족 모두가 마음을 합치자는 것. 셋째, 개화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시작된다는 것. 넷째, 마음을 합치는 동심결로 개화를 실행하자는 것 등이다.
⑤ <심어사>
어와 슬플시고 슬픈 셜여보
인이 다라야 년이 겨오되니
그 이밤이 이셔잠든 헬것업
년을 반을려 오십년은 잠을자고
슬프고 즐거운 려 반이되니
년을 다면은 이십여년 되건마
오십 겨오면 산동안이 늣겁도다
그둥의 팔조하 부귀공명 게되면
원진 쟝원급제 한님쥬셔 참의참판
군현감 목부와 유수 부운 감병
공명도 거록고 부귀조차 겸젼여
님군이 위고 셩이 우러르니
젼의 장한셩명 후에 그지업셔
죽의 조오고 손이음이 이니
쳔 셰 리도록 그 사을 일면
아모리 죽어셔도 죽어도 사다
사라질제 져러면 죽다하고 늣거우랴.
하 이샤 낼졔팔 가다다니
되롱이에 호
③ 항일 의병 가사 ― 1905년의 을사강제조약과 1907년의 군대해산 등을 고비로 일 어난 의병운동의 과정에서 의병들의 신념과 투쟁 경험을 담은 내용을 비롯하여, 구한말과 국권 상실 후에 일본의 침략에 저 항하고 자주 독립을 지키려는 의병들의 항쟁을 찬양, 고무한 내용이다.
5. 주요 작품
① <춘하월원>
오늘날이하일(何日)인고
음력세수상원(陰曆歲首上元)이라
만리벽공(萬里碧空)바라보니
천연(天然)할사저명월(明月)은
두우간(斗牛間)에배회(徘徊)하고
장안만호(長安萬戶)살펴보니
입춘대길황홀(立春大吉恍惚)하다.
쌍명가절(雙名佳節)인아닌가
방가종주(放歌從酒)하여보세
달도밝고봄도왔네
사회상(社會上)의지사(志士)들아
상호시기(相互猜忌)하지말고
무도진경단합(務圖進競團合)하며
자만자족(自滿自足)하지말고
부식방침연구(扶植方針硏究)하여
일대단체(一大團體)되려거든
춘일(春日)같이화창(和暢)하고
망월(望月)같이원만(圓滿)하소
달도밝고봄도왔네
교육계(敎育界)의청년(靑年)들아
나태습관(懶怠習慣)다버리고
근자열심주공(勤孜熱心做工)하여
독립사상분발(獨立事象奮發)하여
완전국민(完全國民)되려거든
의뢰성질(依賴性質)두지말고
춘일(春日)같이화창(和暢)하고
망월(望月)같이원만(圓滿)하소
<춘월가사>는 계몽적인 성격이 짙은 작품 중의 하나이다. 사회의 각 계층과 구성원들, 즉 지사, 교육자, 부녀자, 탐정, 공인들은 호명해 각성을 촉구하고 나아가 훌륭한 국가 건설의 역군이 되기를 독려하는 내용의 가사다. 개화기 가사의 일반적 주제로서 애국계몽과 현실 비판 및 문명개화에 대한 소망이 잘 표현되어 있다. 형식상 이 시에서 특별히 주목되는 것은 연 구분이 되어 있고 후렴구와 매연의 첫머리에 민요 어구 ― 예켠대 \'달아 달아 밝은 달아\' ― 가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우리의 전통가사에는 없었던 것으로 전통적인 가사와 민요가 상호 침투되어 새로운 형식을 만들어 가고 있는 예를 보여 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② <애국하는 노래>
깁흔잠을 어셔여 부국강병(富國强兵) 진보세.
(합가) 의쳔 밧게되니 후회막급 업시세.
합심고 일심되야 셔셰동졈(西勢東漸) 막아 보세.
(합가) 롱공샹(士農工商) 진력야 사마다 유세.
남녀업시 입학야 셰계학식 화보자.
(합가) 교휵 야화되고, 화야사 되네.
팔괘국긔(八卦國旗) 놉히달아 륙쥬에 횡세.
(합가) 산이놉고 물이깁게 우리 음셰세.
개화기 시대에 우리 민족의 역사적 과제는 대내적으로는 반봉건(개화, 계몽), 대외적으로는 반외세(애국)였다. <애국하는 노래>는 이 중에서 개화 의식을 고취하는 외에도 외세의 침략을 경계하는 내용까지를 담고 있다. 이 노래의 특징적인 점은 \'합가\' 부분으로, 한 사람이 선창을 하면 여러 명이 합창으로 후창을 하는 형식으로 만들어져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민요의 가창 방식 중 앞소리와 뒷소리가 있는 선후창을 본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③ <애국가>
대죠션국 건양원년 쥬독닙 깃버셰
텬디간에 사되야 신충보국 뎨일이니
님군 츙셩고 졍부 보호셰
인민들을 랑고 나라긔 놉히 달세
나라도을 각으로 시죵여일 동심세
부녀경식 교휵 사마다 거시라
집을각기 흥랴면 나라몬져 보젼셰
우리나라 보젼기 자나나 각세
나라위죽 죽엄 영광이제 원한업네
국가태평 가안락은 롱공샹 힘을쓰세
우리나라 흥기를 비이다 하느님
문명지화 열닌세샹 말과일과 게세
<애국가>는 독립에 대한 의지와 애국 정신 고취를 주제로 삼고 있는 노래이다. 1896년에 이르러서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고 독립의 상징으로 삼았다는 말부터 하고 새 시대를 맞이한 기쁨과 각오를 노래했다. 임금에게 충성을 하자고 한 다음, 정부를 보호하고, 나라를 보전하고자 했다. 임금이 곧 정부이고 나라라고 하지 않았으며, 나라를 보전하는 것이 가장 긴요한 과업이므로 그렇게 하는 데 모든 노력을 다 바치자고 했다. 인민들을 사랑하고, 부녀자를 공경하면서 대하고, 자식을 교육시킴으로써 나라의 구성원이 모두 다 대우를 받아야 한다는 주장을 했으며, 사농공상이 함께 힘을 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 모든 사람들이 화합하는 질서가 무엇을 의미하며 어째서 위기에 이르렀는가는 밝히지 않고 나라를 위해 죽을 각오를 하자하고, \'하느님\'께 빌라고 했다.
④ <동심가>
잠을 세, 잠을 세
쳔년이 속이라.
만국이 회동(會同)야
사해(四海)가 일가(一家)로다.
구구셰절(區區細節) 다 리고
상하 동심(同心) 동덕(同德)셰.
으 부강 불어고
근본 업시 회빈(回賓)랴.
범을 보고 개 그리고
봉을 보고 그린가.
문명(文明) 화(開化)랴 면
실샹(實狀)일이 뎨일이라.
못셰 고기 불어 말고
그믈 기 잡아 보셰.
그믈 기 어려우랴
동심결(冬心結)로 잡아 보셰.
이 작품은 그 중에서도 초기의 것으로 문명 개화에 대한 낙관적인 희망을 고취하고 있다. 작자는 사해 동포주의의 시기가 도래하였는데도 다툼과 공론만 일삼고 있는 자들에게 잠을 깰 것을 촉구한다. 그러면서 남의 부강을 부러워하지 말고 단결하여 나아갈 것을 \'그물\'과 \'동심결\'의 비유로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은 새로운 현실에 대한 인식과 개화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개화의 성취 방법까지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현실에 대한 인식과 개화 성취는 다음의 네 단계로 그려진다. 첫째, 온 세계는 모두가 한 가족이라는 것. 둘째, 우리 민족 모두가 마음을 합치자는 것. 셋째, 개화는 현실 인식을 바탕으로 시작된다는 것. 넷째, 마음을 합치는 동심결로 개화를 실행하자는 것 등이다.
⑤ <심어사>
어와 슬플시고 슬픈 셜여보
인이 다라야 년이 겨오되니
그 이밤이 이셔잠든 헬것업
년을 반을려 오십년은 잠을자고
슬프고 즐거운 려 반이되니
년을 다면은 이십여년 되건마
오십 겨오면 산동안이 늣겁도다
그둥의 팔조하 부귀공명 게되면
원진 쟝원급제 한님쥬셔 참의참판
군현감 목부와 유수 부운 감병
공명도 거록고 부귀조차 겸젼여
님군이 위고 셩이 우러르니
젼의 장한셩명 후에 그지업셔
죽의 조오고 손이음이 이니
쳔 셰 리도록 그 사을 일면
아모리 죽어셔도 죽어도 사다
사라질제 져러면 죽다하고 늣거우랴.
하 이샤 낼졔팔 가다다니
되롱이에 호
추천자료
사회와 대중문화 그리고 섹스
루소의 사회계약론을 읽고 내용 요약 및 감상문
2000년대 한국사회 모성 인식: 영화, 드라마 분석을 통해
성이 사회적으로 어떻게 구성되는가
유아들에게 사회적 개념, 기술, 행동들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 그리고 그것들을 가르치기 위한...
사회학입문레포트(13) 북구의아마조네스, 이갈리아의 딸들, 안토니아스라인을 보고 가족과 페...
사회계약론 독후감
사회문제론
루소의 사회계약론에 관한 고찰
사회복지발달사 출제 예상 문제
사회문화비평에 대해 논하시오.
루소의 사회계약론 레포트
문화가 사회통제수단으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 쓰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인간의 발달단계를 설명하고 발달단계별 과업을 논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