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곡물가격상승이 시사하는점과 애그플레이션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국제곡물가격상승이 시사하는점과 애그플레이션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도 입 - 2

Agflation에 관한 만화 - 3

Agflation이란?
1. 애그플레이션과 식량위기 -5

2. 세계곡물가격 급등 - 6
1) 세계 식품 가격 추이
2) 세계 곡물 수급 및 동향

3. 세계곡물가격 급등의 원인 - 8

4. 곡물가격상승의 영향과 전망 - 10
1) 곡물가격상승과 소요사태
2)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
3) 국제곡물가격 전망

5. 식량위기에 대한 의견 - 13

참고문헌 - 15

본문내용

국제 곡물가격 상승이 시사하는 점과
애그플레이션이 세계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진단
2006년 이후 국제 곡물가격에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음. 옥수수 가격은 2005년 (톤당 72.1달러)부터 지속적인 상승세를 나타내기 시작해 2008년 2월 톤당 156.3달러로 2005년 대비 116.8% 급등. 대두는 2008년 2월 톤당 404.4달러로 2005년 (톤당 218.8달러)에 비해 84.8%증가, 소맥은 2005년(123.5달러) 하반기부터 상승세를 나타내 2006년 2월382.4달러로 2005년 대비 209.6% 급등.
국제 곡물가격의 급등은 곡물 생산감소와 그에 따른 재고감소, 바이오 연료용 옥수수 수요증가 등이 주된 요인으로 지목됨. 세계 곡물가격은 2008년에 최고치를 기록학 다소 안정적일 것으로 전망되나 2001~05년 평균(옥수수 톤당 104달러, 밀 톤당 152달러) 보다는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최근 빵 등 주요식품의 재료인 밀 가격이 하루만에 22%나 급등하고, 2008년 연초대비로는 83%가 급등하였으며, 옥수수, 대두, 팜오일 가격도 급등하고 있다. 이에 따라 라면과 스낵 등의 제조업체들이 농산물을 주 원료로하는 제품가격을 인상하고 있어, 농산물발 인플레이션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또한 이러한 농산물 가격 상승추세는 곡물의 수요증가와 자원민족주의가 맞물려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앞으로 농산물 가격상승에 따른 글로벌 인플레이션 우려는 더욱 커지고 있다. 이에 농산물 가격상승과 관련하여 애그플레이션이란 무엇인지, 그리고 이러한 현상의 원인과 향후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조사해보겠다.
Agflation 이란?
애그플레이션(Agflation)이란 농업을 뜻하는 Agriculture(농업)과 Inflation(인플레이션 :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의 합성어로 농산물가격상승에 따른 물가상승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국제유가가 배럴당 100달러를 넘은 가운데, 밀, 대두, 옥수수 등이 잇따라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설탕가격도 강세를 보임에 따라 에너지 비용과 식비에 이르기까지 가계의 부담이 더욱 커져만 가고 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농산물에 대한 소비수요는 급격하게 증가하는데 비해, 공급이 이를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인데 현재로서는 이러한 초과수요에 따른 가격상승 양상을 제어할 뽀족한 방법이 없다는데 그 심각성이 더욱 크다고 볼 수 있다.
1. 애그플레이션과 식량위기
세계 곡물가격이 급등하면서 발생한 애그플레이션은 이제 점점 식량전쟁의 위기로 번져 지구촌을 강타하고 있다. 세계적인 곡물수급 불균형으로 2006년부터 급등하기 시작한 밀, 콩, 옥수수, 쌀 등 주요 곡물가격은 2~3배로 뛰어 사상최고 수준이 되었다. 곡물 재고율은 사상최저 수준으로 떨어지고 있다. 최근 아이티, 이집트, 필리핀 등 많은 개발도상국들은 식량난으로 소요사태를 빚고 있고, 사회적 불안에 직면한 국가가 최소한 33개국이 넘는 것으로 세계은행이 보고한 바 있다.
우리나라는 다행히 녹색혁명 개발도상국의 식량생산력의 급속한 증대 또는 이를 위한 농업상의 여러 개혁을 일컫는 말로서 한국에서는 자원민족주의와 더불어 대두한 ‘식량무기화’의 새로운 물결 속에서 식량자급의 숙원달성을 위하여 마닐라시(市) 교외에 본부를 둔 국제벼연구소(IRRI)에서 개발한 ‘기적의 볍씨(miracle rice) IR 8’을 들여와 연구를 거듭한 결과, 한국 실정에 맞는 통일벼 계통의 신품종 육성에 성공, 1974년 이래 이의 보급에 주력함으로써 미곡증산에 다대한 실적을 올렸다.
을 통해 주곡인 쌀만큼은 자급하고 있기에 최근의 곡물대란에서 비교적 안정을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전체 식량자급도는 07년 조사 자료로 25.9%이지만, 밀은 0.2%, 옥수수는 0.7% 등으로 주요 곡물은 해외시자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세계5위의 곡물 수입국이다.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상이변 등으로 공급은 불안정하고, 중국과 인도 등의 신흥국가의 식량 및 사료곡물의 수요증가와 고유가에 따른 바이오 에너지의 곡물수요는 증가하고, 카길 등 메이저의 곡물시장 영향력 확대 등 앞으로도 국제 식량전망은 밝지 않다.
밀, 콩, 옥수수, 쌀 등 세계 곡물가격이 급상승하면서 각국의 물가상승 압박도 그만큼 커지고 있다. 애그플레이션은 초기에는 곡물가격이 급등하는 현상 정도로 이해하다가, 이제는 곡물 수출국들의 수출제한으로 이어져 식량을 구하기 어려워지는 식량위기로 치닫고 있다.
결과적으로 애그플레이션에 따른 세계 식량위기는 유가 급등에 금융위기와 함께 세계 3대 위기(Globak crisis)의 하나가
  • 가격2,5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