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소련도시 우크라이나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소련도시 우크라이나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국가 개요

2. 자연 지리적 환경

3. 인문 지리적 환경
1) 역사
2) 문화 (1) 인종,민족
(2) 종교
(3) 음식
(4) 정치, 경제

4. 항공노선

5. C I Q(출입국 절차)
1) 출입국 시 유의사항 (1) 사증 발급 신청
(2) 출입국 심사
(3) 외환 신고
(4) 통 관

6. 관광정보
1) 통화
2) 시차
3) 통신
4) 복장
5) 공공시설의 이용과 요금
6) 위생
7) 전압

7. 숙박과 교통
1) 숙박시설
2) 교통

8. 관광위락적 자원
1) 주요도시
2) 세계문화유산
3) 축제 및 행사

9. 여행준비와 주의사항

10. 한국과의 관계

본문내용

내리기 시작한다.
(※출처 :
http://kin.naver.com/db/detail.php?d1id=13&dir_id=131202&eid=itNtFUmV8qmTIF10S0NrKxPIwWHHVQ0P&qb=v+zFqbbzwMyzqiCx4sjE)
3. 인문지리적 환경
1) 역사
우크라이나는 역사는 기원전 7-4세기 스키티아인(Scythias)에 의해 스텝지대부터 흑해 북부지역을 지배받으며 시작됐다. 스키티아 문화의 흔적은 동물과 인간을 자세히 묘사한 뛰어난 금 세공품이 남아있는 키에브의 동굴 수도원(Cave Monastry)에서 찾을 수 있다. 스키티아인에 이어 오스트로고스(Ostrogoths), 훈(Huns), 투르크-이란 카자(Turko-Iranian Khazars)의 지배를 받는다. 스칸디나비아인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를 장기간 지배했는데, 키에브는 기원전 882년 러시아에게 점령당한 후 10세기까지 다뉴브강 서쪽의 볼가(Volga)에서 발틱해의 남부에 이르는 영토였던 키에브인 러시아(Kievan Rus)의 중심도시 역할을 했다. 키에브인 러시아의 지도자인 볼로드미르(Volodmir)는 988년 콘스탄티노플(Constantinople, 현재의 이스탄불)로부터 기독교를 받아들여 정치와 문화적으로 비잔틴의 영향을 받기 시작했다. 1520년에는 오스만 제국이 우크라이나의 해안지역을 통제했다. 15세기에 전쟁과 전염병의 많은 인구가 사망했으며, 인접 국가의 카작인(kazaks, 코삭 인Cossacks) 농노와 정교도 피난민들의 우크라이나로 이주해왔다. 우크라이나인 코삭(Ukrainian Cossacks)은 공식적으로 폴란드의 통제를 받고 있었으나 결국 국가를 만들어 자치를 했으나 20년 후 폴란드와 러시아로 분리됐다. 1940년대 우크라이나 민족주의의 대두로 러시아는 학교에서 우크라이나 언어 교육, 언론과 책을 금지시켰다. 1차대전 후 전제군주제가 붕괴돼 우크라이나는 독립의 기회를 얻었으나 당파로 인해 내전이 발발하고 6개의 군대가 키에브를 일년동안 다섯 번이나 바꿔 통제하는 무정부상태를 야기했다. 러시아와 폴란드가 개입한 우크라이나의 정치적, 인종적 당파간의 연속적인 전쟁의 결과로 폴란드가 우크라이나의 서부를 러시아가 나머지 우크라이나를 차지하게됐고 1922년에 공식적으로 러시아의 한 부분으로 편입됐다. 스탈린이 권력은 잡은 1927년 우크라이나에 억압을 가했고 1932-33년의 기근으로 7백만명이 사망했다. 지식인에 대한 사형과 강제출국은 인구감소를 심화시켰고, 스탈린은 종교정책으로 250개의 교회와 성당이 파괴됐다. 1937-39년의 숙청기간동안 백만명이 사형을 당하거나 소련의 강제 노동수용소로 보내졌으며, 2차 대전동안 소련과 독일군의 전쟁으로 6백만명이 추가로 사망하거나 강제출국 당했다. 20세기 초반 50년 동안의 전쟁, 기근, 숙청은 우크라이나 남자의 50%, 여자의 25%에 해당하는 사람이 죽는 대가를 치뤘다. 1989년 발생한 체르노빌 사고에 대한 소련의 느린 보상으로 인해 광범위한 반소련 감정이 일어났다. 키에브의 지식인과 작가가 중심이 되 일어나 재건설을 위한 우크라니아 민족운동은 1990년 선거에서 다수석을 차지하게 했다. 7월에 국회는 자치권을 선포했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으며 91년 8월에 발생한 소련 쿠테타의 실패로 우크라이나 공산당(Commist Party of Ukraine, CPU)의 활동이 금지됐고 12월에 국민의 지지를 얻어 독립해 우크라이나 공산당의 의장이었던 레오니드 크라브훅(Leonid Kravchuk)이 대통령에 당선됐다. 당파주의로 인해 92년 9월 정부는 사임을 하게되고 러시아의 핵무기와 흑해 함대(크림 반도의 항구인 세바스토폴Sevastopol) 문제로 인해 양국간에 긴장이 고조됐고, 높은 인플레이션과 기름 부족, 구매력 감소로 경제 위축과 더불어 지역간, 인종간 격차가 더욱 심화됐다. 친 러시아 인사인 러오니드 쿠차마(Reonid Kuchma)가 94년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됐고 우크라이나 공산당이 다수당이 됐다. 9년대 후반은 우크라이나와 NATO의 외교관계로 인해 러시아와 긴장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출처 : http://www.shoestring.co.kr/destinations/europe/uke-text.htm)
2) 문화
(1) 인종, 민족
우크라이나의 주민은 우크라이나인이 77.8%, 러시아인이 17.3%이다. 종교는 대부분 우크라이나 정교회를 믿는 그리스도인이며 가톨릭교회이지만, 동방정교회 전례 즉,예배방식을 따르는 동방전례가톨릭과 선교사들에 의해 들어온 개신교가 있다.
언어는 67%가 공용어인 우크라이나어를, 24%가 러시아어를 쓴다. 루마니아어·폴란드어·헝가리어등 소수민족어도 쓰인다. 러시아어는 하르키우와 도네치크, 루한시크 등의 동부, 오데사 등의 남부, 크림 반도 전역에서 주로 쓰인다. 리비우 등 서부는 우크라이나어만 쓰인다. 수도 키예프는 러시아어와 우크라이나어가 모두 쓰인다. 대부분의 우크라이나인들이 우크라이나어와 러시아어를 모두 이해한다. 우크라이나어, 러시아어는 둘 다 동슬라브어군에 속하지만 우크라이나어는 폴란드어나 체코어 등 서슬라브어와도 가까운 면이 있다.
한편, 우크라이나는 2006년부터 프랑코포니의 참 관 국이 되었다.
(※출처 : 
http://ko.wikipedia.org/wiki/%EC%9A%B0%ED%81%AC%EB%9D%BC%EC%9D%B4%EB%82%98#.EC.A3.BC.EB.AF.BC)
(2) 종교
우크라이나에 기독교는 10세기에 전래돼 천주교와 정교도로 1054년 분리된 후 정교도는 러시아 정교와 로마 천주교의 다른 영향을 받아 3개의 큰 종파로 나뉘어졌다. 교회건물은 나무로 만든 독특한 양식으로 박공구조와 지붕 널로 된 돔과 큐폴라스(반구 천장)가 못을 쓰지 않고 만들어져있다. 우크라이나 민족주의를 막기 위해 소련은 12세기의 성당을 포함해 백여개의 신성한 건물을 1930년대 파괴시켰다.
(※출처 : http://ukraine.com.ne.kr/)
(3) 음식
우크라이나 음식은 곡물과 감자, 배추, 콩, 버섯 같은 채소가 주요산물로 채식이 주를 이루며 고기는 대부분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08.12.29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06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