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당대불교의 동향
2. 텍스트 분석
Ⅲ. 결론
Ⅱ. 본론
1. 당대불교의 동향
2. 텍스트 분석
Ⅲ. 결론
본문내용
글자를 써서 사람들에게 던지게 해서, 선자를 얻는 자는 길하다 했다. 또 스스로 박참법(撲懺法)(1667) 을 행하여 자신이 지은 죄를 없애게 한다고 했다. 그래서 남녀가 한데 섞여 함부로 그 법을 받아들여 비밀히 행하니 이 일이 청주(靑州)(1668) 에까지 퍼졌다.
관사(官司)가 검찰(檢察)해보고서 이를 요망하다고 했더니 그들은 말했다.
“이 탑참법(搭懺法)(1669) 은 『점찰경』에 따른 것이며 박참법도 여러 경의 내용에 따른 것입니다.”
그들은 온몸을 땅에 털썩 넘어뜨리니 흡사 큰 산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 그때 이 사실을 위에 아뢰니 황제는 내사시랑(內史侍郞) 이원찬(李元撰)을 시켜 대흥사(大興寺)에 가서 여러 고승에게 물었다. 대사문(大沙門)(1670) 인 법경(法經)과 언종(彦琮) 등이 대답했다.
“『점찰경』은 현재 두 권이 있는데, 책 첫머리에 보리등(菩提燈)이 외국에서 번역한 글이라고 씌어 있으니 근대에 나온 것 같사오며, 또한 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는데, 여러 기록을 조사해보아도 바른 이름과 역자와 시일·처소가 모두 없사오며, 탑참법은 여러 경과도 또 다르므로 따라서 시행할 수 없습니다.”
그 때문에 칙명으로 이를 금지시켰다. -삼국유사 텍스트 ‘진표전간’중 당승전이 전하는 참참법의 내용
중국에서도 진표가 했던 수행법 같은 고행적 참회법인 박참법 이라는 것이 성행했음이 나타나 있는데 그 참회법을 수행한 사람들은 그것이 점찰경에 따른 것 이라고 말한 점으로 보아 이 수행법은 진표가 자체적으로 행한 것이 아니라 이미 점찰경에서 근거한 참회법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알 수 있는 점은 점찰경의 성격인데, 단순히 점복신앙과 결부된 민중 교화적 성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참회 수행법을 총체적으로 수록한 경전임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진표는 당시 대승 불교적 흐름의 중심에 서있던 선구자적 역할을 한 승려였고, 자신이 깨달은 바를 실행하고 민중에게 전한 실천적인 자였다. 물론 점찰경이나 수행법을 창시하거나 처음 수용한 것은 아니지만, 가르침을 받아들여 그 당시 사회에 정착 시켰다는 측면에 있어서 조사(祖師)라 칭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깨달음이나 배운바가 있다고 해도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임에도 불구하고 진표의 태도는 상당히 실천적이었다. 더군다나 진표가 익힌 것은 자신의 몸을 버리는 참회법이니 그 실행의 어려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진표의 행적은 높이 평가받을 만한 가치가 충분이 있으며 자신의 몸을 버리면서 까지 중생을 구제 하겠다는 숭고한 의지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해야한다. 참회하는 방법이 상당히 광신도 적인 측면이 많이 있어, 자칫 좋지 못한 오해를 받을 수 있으나 이것은 명백히 중생을 향한 숭고한 희생이며 그리스도의 희생과 같은 맥락에서 평가 받을 수 있다. 비록 내가 기독교인이지만 진표의 이러한 희생적 대중구원 의지는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도 이 발표문을 준비하면서 깨달은 바를 실천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사용해야겠다고 다짐하면서 글을 마친다.
관사(官司)가 검찰(檢察)해보고서 이를 요망하다고 했더니 그들은 말했다.
“이 탑참법(搭懺法)(1669) 은 『점찰경』에 따른 것이며 박참법도 여러 경의 내용에 따른 것입니다.”
그들은 온몸을 땅에 털썩 넘어뜨리니 흡사 큰 산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 그때 이 사실을 위에 아뢰니 황제는 내사시랑(內史侍郞) 이원찬(李元撰)을 시켜 대흥사(大興寺)에 가서 여러 고승에게 물었다. 대사문(大沙門)(1670) 인 법경(法經)과 언종(彦琮) 등이 대답했다.
“『점찰경』은 현재 두 권이 있는데, 책 첫머리에 보리등(菩提燈)이 외국에서 번역한 글이라고 씌어 있으니 근대에 나온 것 같사오며, 또한 사본으로 전하는 것도 있는데, 여러 기록을 조사해보아도 바른 이름과 역자와 시일·처소가 모두 없사오며, 탑참법은 여러 경과도 또 다르므로 따라서 시행할 수 없습니다.”
그 때문에 칙명으로 이를 금지시켰다. -삼국유사 텍스트 ‘진표전간’중 당승전이 전하는 참참법의 내용
중국에서도 진표가 했던 수행법 같은 고행적 참회법인 박참법 이라는 것이 성행했음이 나타나 있는데 그 참회법을 수행한 사람들은 그것이 점찰경에 따른 것 이라고 말한 점으로 보아 이 수행법은 진표가 자체적으로 행한 것이 아니라 이미 점찰경에서 근거한 참회법 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알 수 있는 점은 점찰경의 성격인데, 단순히 점복신앙과 결부된 민중 교화적 성격을 가질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참회 수행법을 총체적으로 수록한 경전임을 알 수 있다.
Ⅲ. 결론
진표는 당시 대승 불교적 흐름의 중심에 서있던 선구자적 역할을 한 승려였고, 자신이 깨달은 바를 실행하고 민중에게 전한 실천적인 자였다. 물론 점찰경이나 수행법을 창시하거나 처음 수용한 것은 아니지만, 가르침을 받아들여 그 당시 사회에 정착 시켰다는 측면에 있어서 조사(祖師)라 칭하기에 충분하다. 또한 깨달음이나 배운바가 있다고 해도 그것을 실천하는 것은 매우 힘든 일임에도 불구하고 진표의 태도는 상당히 실천적이었다. 더군다나 진표가 익힌 것은 자신의 몸을 버리는 참회법이니 그 실행의 어려움은 이루 말할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진표의 행적은 높이 평가받을 만한 가치가 충분이 있으며 자신의 몸을 버리면서 까지 중생을 구제 하겠다는 숭고한 의지 역시 긍정적으로 평가해야한다. 참회하는 방법이 상당히 광신도 적인 측면이 많이 있어, 자칫 좋지 못한 오해를 받을 수 있으나 이것은 명백히 중생을 향한 숭고한 희생이며 그리스도의 희생과 같은 맥락에서 평가 받을 수 있다. 비록 내가 기독교인이지만 진표의 이러한 희생적 대중구원 의지는 인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도 이 발표문을 준비하면서 깨달은 바를 실천하고, 다른 사람을 위해서 사용해야겠다고 다짐하면서 글을 마친다.
추천자료
시의 논리 현실의 논리
『코미디에서 드러나는 여성상』-봉숭아 학당을 중심으로-
프랑스 문학의 이해 - 나치수용소를 중심으로
태평한화골계전의 해학성, 풍자성 고찰
신비평의 핵심원칙 [A+]
[고전문학]구운몽 작품 개관 및 남녀 결연 서사
[향가]향가 심층 고찰(향가 작가, 향가 율격, 향가의 민요적 성격, 향가의 사상적 배경, 서동...
[식품영양학]유전자변형식품(GMO)의 등장과 문제점 및 대응방안
'새로 쓴 현대북한의 이해' 책 요약
만해 한용운론
이상의 오감도 연구
1930년대 소설과 모더니즘 : 지식인의 심리적 갈등
법정 무소유
페미니스트 김일엽 연구 : <신여자>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