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구세군의 유래
Ⅲ. 구세군 자선냄비의 유래
Ⅳ. 구세군의 활동역사
Ⅴ. 한국 구세군의 전개
Ⅵ. 한국 구세군의 사회복지사업
1. 영·유아 사회사업
2. 아동·청소년 사회사업
3. 가정·부녀 사회사업
4. 노인 사회사업
5. 지역 사회사업
6. 특수 사회사업
1) 실직자 센타
2) HIV/AIDS 대책팀 운영
3) 탈북자 수용소
4) 긴급 구호팀 운영
5) 의료봉사 실시
Ⅶ. 결론
참고문헌
Ⅱ. 구세군의 유래
Ⅲ. 구세군 자선냄비의 유래
Ⅳ. 구세군의 활동역사
Ⅴ. 한국 구세군의 전개
Ⅵ. 한국 구세군의 사회복지사업
1. 영·유아 사회사업
2. 아동·청소년 사회사업
3. 가정·부녀 사회사업
4. 노인 사회사업
5. 지역 사회사업
6. 특수 사회사업
1) 실직자 센타
2) HIV/AIDS 대책팀 운영
3) 탈북자 수용소
4) 긴급 구호팀 운영
5) 의료봉사 실시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구세군의 유래, 구세군 자선냄비의 유래와 구세군의 활동역사 및 한국 구세군의 전개 그리고 한국 구세군의 사회복지사업 심층 분석
Ⅰ. 서론
Ⅱ. 구세군의 유래
Ⅲ. 구세군 자선냄비의 유래
Ⅳ. 구세군의 활동역사
Ⅴ. 한국 구세군의 전개
Ⅵ. 한국 구세군의 사회복지사업
1. 영·유아 사회사업
2. 아동·청소년 사회사업
3. 가정·부녀 사회사업
4. 노인 사회사업
5. 지역 사회사업
6. 특수 사회사업
1) 실직자 센타
2) HIV/AIDS 대책팀 운영
3) 탈북자 수용소
4) 긴급 구호팀 운영
5) 의료봉사 실시
Ⅶ.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어느 날 William Booth는 아침식사를 받고 계란을 만지며 이렇게 말했다. 많은 여인들과 어린이들이 굶주리고 있는데 어떻게 나만 계란을 먹을 수 있겠느냐? 이것은 구세군의 창립자 William Booth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예화라고 할 수 있겠다. 무엇을 하든지 먼저 자신이 돌보아야 할 사람을 바라보며 염려했던 따뜻한 사회복지사 William Booth. 물론 이것들이 William Booth와 구세군 사회사업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회사업이 명예와 부귀를 가져온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진 현대인에게는 좋은 모범으로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요한계시록 3장 7 - 13절에 나타난 빌라델비아 교회에 향하신 하나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내가 네 행위를 아노니 네가 적은 능력을 가지고도 내 말을 지키며 내 이름을 배반치 아니하였도다(계3:8). 이것은 빌라델비아 교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 교회는 적은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끝까지 예수님의 명령을 순종함으로 칭찬을 받았다. 이제 우리는 William Booth와 구세군의 사회사업의 모습이 작은데서 시작되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이 인간을 사랑하고 실천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음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감히 빌라델비아 교회에 주신 하나님의 칭찬을 William Booth와 구세군 사회사업의 가지는 가치 위에 적용해 보았으면 한다. 물론 이러한 적용이 무리일수도 있다. 그러나 한 영혼의 굶주림을 생각하며 하나의 계란을 앞에 두고 눈물을 흘린 William Booth에게 이러한 칭찬은 가능하리라 본다. 그리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 중에 그의 열정과 실천을 따르는 모든 사회사업가들에게도 이러한 칭찬을 돌리고 쉽다. 오늘과 같이 불안과 혼란된 일들이 많은 세상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비젼을 가지고 거리로 나가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 주님은 이사야의 입술을 통하여 지금도 말씀하신다.
주 여호와의 신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우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나를 보내사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고,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갇힌 자에게 놓임을 전파하여 여호와의 은혜의 해와 우리 하나님의 신원의 날을 전파하며, 모든 슬픈 자를 위로하되 무릇 시온에서 화관을 주어 그 죄를 대신하며, 희락의 기름으로 그 슬픔을 대신하며 찬송의 옷으로 그 근심을 대신하고 그 영광을 나타낼지라 일컬음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사61:1-3) 마음은 하나님께, 손길은 이웃에게를 외치며 하나님의 선하신 사역을 감당하는 구세군의 사회사업은 앞으로도 더욱 귀중한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 그리고 주어질 면류관을 굳게 잡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며 전진할 것이다.
Ⅱ. 구세군의 유래
구세군은 1865년 영국 런던에서 윌리암 뿌드(William Booth) 목사에 의해 창립된 기독교 교회로서 현재 전 세계 104개국에서 영혼구원을 위한 전도사업과 이웃사랑을 위한 사회사업을 인종, 종교, 피부색, 지역을 초월하여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국제적인 교회이다. 창립 당시 영국의 사회현실은 산업혁명 후기증상으로 많은 실업자와 빈민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정신적 타락과 알콜중독, 윤락행위 성행 등의 제반 사회문제가 심각해지는데도 교회가 아무런 제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당사자들도 교회에 무관심하자 윌리암 뿌드 목사는 가난한 사람을 위한 교회운동을 펼치게 되었고 그것이 구세군의 효시가 되었다. 당시 구세군의 표어인 3S 운동을 중심으로 런던 빈민가에서 시작한 이 선교운동은 많은 가난한 사람들과 소외당한 사람들에게 새힘을 불러 일으켜, 기독교 정신 그대로 영혼이 구원받고 자립된 시민으로 살아가게 하는 생명력 있는 기독교 선교운동이 되었다. 3S운동이란 Soup(
Ⅰ. 서론
Ⅱ. 구세군의 유래
Ⅲ. 구세군 자선냄비의 유래
Ⅳ. 구세군의 활동역사
Ⅴ. 한국 구세군의 전개
Ⅵ. 한국 구세군의 사회복지사업
1. 영·유아 사회사업
2. 아동·청소년 사회사업
3. 가정·부녀 사회사업
4. 노인 사회사업
5. 지역 사회사업
6. 특수 사회사업
1) 실직자 센타
2) HIV/AIDS 대책팀 운영
3) 탈북자 수용소
4) 긴급 구호팀 운영
5) 의료봉사 실시
Ⅶ.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어느 날 William Booth는 아침식사를 받고 계란을 만지며 이렇게 말했다. 많은 여인들과 어린이들이 굶주리고 있는데 어떻게 나만 계란을 먹을 수 있겠느냐? 이것은 구세군의 창립자 William Booth의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예화라고 할 수 있겠다. 무엇을 하든지 먼저 자신이 돌보아야 할 사람을 바라보며 염려했던 따뜻한 사회복지사 William Booth. 물론 이것들이 William Booth와 구세군 사회사업의 전체적인 모습을 보여준 것은 아니다. 그러나 사회사업이 명예와 부귀를 가져온다는 잘못된 인식을 가진 현대인에게는 좋은 모범으로 제시되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요한계시록 3장 7 - 13절에 나타난 빌라델비아 교회에 향하신 하나님의 음성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내가 네 행위를 아노니 네가 적은 능력을 가지고도 내 말을 지키며 내 이름을 배반치 아니하였도다(계3:8). 이것은 빌라델비아 교회의 모습을 보여준다. 그 교회는 적은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끝까지 예수님의 명령을 순종함으로 칭찬을 받았다. 이제 우리는 William Booth와 구세군의 사회사업의 모습이 작은데서 시작되었음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그들이 인간을 사랑하고 실천하기 위해서 최선을 다했음도 기억해야 한다. 그리고 감히 빌라델비아 교회에 주신 하나님의 칭찬을 William Booth와 구세군 사회사업의 가지는 가치 위에 적용해 보았으면 한다. 물론 이러한 적용이 무리일수도 있다. 그러나 한 영혼의 굶주림을 생각하며 하나의 계란을 앞에 두고 눈물을 흘린 William Booth에게 이러한 칭찬은 가능하리라 본다. 그리고 오늘을 살아가는 우리들 중에 그의 열정과 실천을 따르는 모든 사회사업가들에게도 이러한 칭찬을 돌리고 쉽다. 오늘과 같이 불안과 혼란된 일들이 많은 세상에서 사회복지에 대한 비젼을 가지고 거리로 나가는 모든 이들에게 우리 주님은 이사야의 입술을 통하여 지금도 말씀하신다.
주 여호와의 신이 내게 임하셨으니 이는 여호와께서 내게 기름을 부우사 가난한 자에게 아름다운 소식을 전하게 하려 하심이라. 나를 보내사 마음이 상한 자를 고치고, 포로된 자에게 자유를, 갇힌 자에게 놓임을 전파하여 여호와의 은혜의 해와 우리 하나님의 신원의 날을 전파하며, 모든 슬픈 자를 위로하되 무릇 시온에서 화관을 주어 그 죄를 대신하며, 희락의 기름으로 그 슬픔을 대신하며 찬송의 옷으로 그 근심을 대신하고 그 영광을 나타낼지라 일컬음을 얻게 하려 하심이니라(사61:1-3) 마음은 하나님께, 손길은 이웃에게를 외치며 하나님의 선하신 사역을 감당하는 구세군의 사회사업은 앞으로도 더욱 귀중한 가치를 발견하기 위해 그리고 주어질 면류관을 굳게 잡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경주하며 전진할 것이다.
Ⅱ. 구세군의 유래
구세군은 1865년 영국 런던에서 윌리암 뿌드(William Booth) 목사에 의해 창립된 기독교 교회로서 현재 전 세계 104개국에서 영혼구원을 위한 전도사업과 이웃사랑을 위한 사회사업을 인종, 종교, 피부색, 지역을 초월하여 적극적으로 전개하는 국제적인 교회이다. 창립 당시 영국의 사회현실은 산업혁명 후기증상으로 많은 실업자와 빈민들이 생겨나게 되었고, 정신적 타락과 알콜중독, 윤락행위 성행 등의 제반 사회문제가 심각해지는데도 교회가 아무런 제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당사자들도 교회에 무관심하자 윌리암 뿌드 목사는 가난한 사람을 위한 교회운동을 펼치게 되었고 그것이 구세군의 효시가 되었다. 당시 구세군의 표어인 3S 운동을 중심으로 런던 빈민가에서 시작한 이 선교운동은 많은 가난한 사람들과 소외당한 사람들에게 새힘을 불러 일으켜, 기독교 정신 그대로 영혼이 구원받고 자립된 시민으로 살아가게 하는 생명력 있는 기독교 선교운동이 되었다. 3S운동이란 Sou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