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훈민정음』그리고 ‘해례본’
2. 해례본의 발견
3. 해례본의 내용 구성
4. 특이점
5. 해례본 풀어쓰기 (붙임)
Ⅲ.결론
Ⅳ.참고문헌
Ⅱ.본론
1. 『훈민정음』그리고 ‘해례본’
2. 해례본의 발견
3. 해례본의 내용 구성
4. 특이점
5. 해례본 풀어쓰기 (붙임)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째, 합자해는 초·중·종성 문자를 합해서 표기하는 예(25개 단어)를 보이고, 중세 국어의 성조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고 있다. 여섯째, 용자례는 초·중·종성별로 중세국어에서 단어의 표기 예를 보이고 있으며 94개 단어를 예시하고 있다.
정인지의 서문에는 한글 창제의 이유와 창제자, 새로운 문자의 우수성, ‘해례본’의 편찬자와 편찬일 책의 완성과 출간 날짜는 남북의 한글 기념일과 관련이 있는데, 북한은 창제일 1443년 12월 30일(『조선왕조실록』)을 기준으로 하여 ‘조선글 기념일’을 양력 1444년 1월 15일로 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집필 완성일인 144년 9월 상순(『훈민정음 해례본』정인지서문)을 기준으로 양력 1446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하고 있다. 김슬옹, 앞의 책, p.20 참고
등을 명기하고 있다.
4. 특이점
-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이전 문헌과는 달리 처음으로 구두점에 해당하는 문장부호가 사용되었다. 글자의 오른쪽 밑에 찍은 점(우권점)은 지금의 마침표에 해당하며, 글자의 아래쪽 중앙에 찍은 점(중권점)은 지금의 쉼표에 해당한다.
- 책의 한자음과 그 방점은 1447(세종 29)에 이루어진 『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에 어긋나게 ‘
정인지의 서문에는 한글 창제의 이유와 창제자, 새로운 문자의 우수성, ‘해례본’의 편찬자와 편찬일 책의 완성과 출간 날짜는 남북의 한글 기념일과 관련이 있는데, 북한은 창제일 1443년 12월 30일(『조선왕조실록』)을 기준으로 하여 ‘조선글 기념일’을 양력 1444년 1월 15일로 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집필 완성일인 144년 9월 상순(『훈민정음 해례본』정인지서문)을 기준으로 양력 1446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하고 있다. 김슬옹, 앞의 책, p.20 참고
등을 명기하고 있다.
4. 특이점
-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이전 문헌과는 달리 처음으로 구두점에 해당하는 문장부호가 사용되었다. 글자의 오른쪽 밑에 찍은 점(우권점)은 지금의 마침표에 해당하며, 글자의 아래쪽 중앙에 찍은 점(중권점)은 지금의 쉼표에 해당한다.
- 책의 한자음과 그 방점은 1447(세종 29)에 이루어진 『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에 어긋나게 ‘
추천자료
신뢰의 관점에서 본 여성 정책
FIFA를 통해 본 글로벌 스포츠 시스템
무속신앙을 통해 본 민중의식
토지문제를 통해 본 부의 불균형의 문제
구비문학개론-처용문화제를 통해 본 <처용가>
패권전쟁론을 통해서 본 미국.중국 간 환율전쟁
그레꼬-로마적 관점에서 본 목회서신의 결혼 문제
성호사설을 통해 본 현대사회
소리바다사건을 통해서 본 P2P와 인터넷서비스제공자의 책임
초등학교 국어과 본 차시에 적합한 수업 모형은 무엇인가
초등학교 미술교과서로 본 외래어 표기법(외래어와외래어표기법 소개)
개인(본인)의 성장과 발달을 통해 우리가 배운 성격이론을 접목시켜 본인의 성격을 분석하여 ...
최근 자신이 본 TV광고 혹은 신문광고 중 광고를 3개를 선정하여 광고 분석을 하시오.
발달이론을 통해서 본 나 - 프로이드(프로이트/Freud), 에릭슨(Erikson), 메슬로(매슬로우/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