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 해례본 정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훈민정음 해례본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1. 『훈민정음』그리고 ‘해례본’
2. 해례본의 발견
3. 해례본의 내용 구성
4. 특이점
5. 해례본 풀어쓰기 (붙임)

Ⅲ.결론

Ⅳ.참고문헌

본문내용

째, 합자해는 초·중·종성 문자를 합해서 표기하는 예(25개 단어)를 보이고, 중세 국어의 성조에 대하여 다시 설명하고 있다. 여섯째, 용자례는 초·중·종성별로 중세국어에서 단어의 표기 예를 보이고 있으며 94개 단어를 예시하고 있다.
정인지의 서문에는 한글 창제의 이유와 창제자, 새로운 문자의 우수성, ‘해례본’의 편찬자와 편찬일 책의 완성과 출간 날짜는 남북의 한글 기념일과 관련이 있는데, 북한은 창제일 1443년 12월 30일(『조선왕조실록』)을 기준으로 하여 ‘조선글 기념일’을 양력 1444년 1월 15일로 하고 있고 우리나라는 집필 완성일인 144년 9월 상순(『훈민정음 해례본』정인지서문)을 기준으로 양력 1446년 10월 9일을 ‘한글날’로 하고 있다. 김슬옹, 앞의 책, p.20 참고
등을 명기하고 있다.
4. 특이점
- 『훈민정음』해례본에는 이전 문헌과는 달리 처음으로 구두점에 해당하는 문장부호가 사용되었다. 글자의 오른쪽 밑에 찍은 점(우권점)은 지금의 마침표에 해당하며, 글자의 아래쪽 중앙에 찍은 점(중권점)은 지금의 쉼표에 해당한다.
- 책의 한자음과 그 방점은 1447(세종 29)에 이루어진 『동국정운』의 한자음 표기에 어긋나게 ‘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1.1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43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