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윤리의 정의
2. 윤리의 내용
3. 윤리의 세 가지 요건
4. 윤리와 연관된 학문들
※기독교 윤리의 의의
1. 기독교윤리를 연구하는 학문 기독교 윤리학
2. 기독교윤리의 필요성
3. 기독교윤리의 이중성
4. 기독교 윤리학의 동향
5. 기독교 윤리를 왜 연구해야 하는가?
※ 배우고 연구하는 방식
2. 윤리의 내용
3. 윤리의 세 가지 요건
4. 윤리와 연관된 학문들
※기독교 윤리의 의의
1. 기독교윤리를 연구하는 학문 기독교 윤리학
2. 기독교윤리의 필요성
3. 기독교윤리의 이중성
4. 기독교 윤리학의 동향
5. 기독교 윤리를 왜 연구해야 하는가?
※ 배우고 연구하는 방식
본문내용
기독교 윤리
1. 윤리의 정의
2. 윤리의 내용
3. 윤리의 세 가지 요건
4. 윤리와 연관된 학문들
※기독교 윤리의 의의
1. 기독교윤리를 연구하는 학문 기독교 윤리학
2. 기독교윤리의 필요성
3. 기독교윤리의 이중성
4. 기독교 윤리학의 동향
5. 기독교 윤리를 왜 연구해야 하는가?
※ 배우고 연구하는 방식
인간을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윤리적으로 정의하라면 우리는 단순히 인간은 행동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인간은 그의 행동 속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고 또한 행동 속에서 삶의 목적을 구현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행동이 자기 자신과 이웃을 위해 옳은 것인가를 생각할 수는 없다. 어떤 행동이 자기 자신과 이웃을 위해 옳은 것인가를 생각하고 사고하는 데 윤리적 상찰이 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 다시 말해 사람이 사람답게 행동하는 데 윤리적 과제가 있다. 인간은 개인적 존재인 동시에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이 개인으로서 어떻게 바르게 살 것이냐 하는 문제는 동시에 인간이 이웃과 더불어 어떻게 잘 어울려 살 것이냐 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이것이 윤리의 두가지 기본이다. 인간의 삶은 공동체적 삶이기 때문에 순전히 개인? ?행동이란 것은 있을 수가 없다. 예수님께서는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네몸과 같이 사랑하라(마22:37~40)고 말씀 하셨다. 루터의 말을 빌린다면 하나님 앞에 서 있는 개인과 이웃 앞에 서 잇는 우리는 기독교윤리의 두 개의 중요한 기초이다. 리처드 니버가 주장하는 대로 하나님, 나, 이웃 사이의 삼중적인 관계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하나님과 나와의 관계는 절대적이고 중신적인 가치에 대한 충성으로 나타나고 이웃에 대한 관계는 신뢰로 나타나는데 그 절대적 가치에 대해 자기자신을 위임하는 개인들의 횡적인 관계로 형성되는 공동체가 보편적인 공동체가 된다. 즉 하나님을 떠나 개인을 생각할 수 없고 공동체를 떠나 개인이 존재할 수 없다. 어느 한편에 치우쳐서도 안 되고 올바른 사랑의 관계에서 관계론적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기독교윤리의 목표는 참으로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것이라면 그 과정에서 개인이 비인간화되거나 비인격화되어서는 안 된다. 공동체가 개인을 강제해서도 안 되고 개인이 자기 이익만을 무조건 주장 해도 안 된다.
1. 윤리의 정의
윤리라는 말은 그 문자적 의미에 있어서 이간 사이의 이치라는 뜻이다. 학문적으로는 윤리 도덕이라는 말은 습관되어 있다는 뜻이다. 또한 안전성을 뜻하기도 한다. 습관이 곧 윤리일 수는 없다. 습관이란 일단 형성되면 윤리적 사고 없이도 저절로 행동화되기 때문이다. 칸트그는 의무감에서 기인되지 않는 행동은 윤리적인 행동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윤리적이란 말은 어떤 사건 앞에서 자기가 일단 옳고 그릇됨을 가려보고 의식적으로 옳은 것을 택하여 행동하는 것이어야 한다. 습관과 윤리의 차이점이 있다. 습관은 윤리적 의식 없이도 될 수 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반드시 윤리적 판단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습관을 간접적 윤리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에 와서는 후자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것을 학문적으로 규명한 것이 만델바움의 도덕현상학이다. 이것이 옳기 때문에 ? 解痼?버리고 이것을 택한다는 자유가 전제 되어야 한다. 습관이 윤리의 기초가 되어야 하고 윤리가 법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희랍의 스토익 철학자 디오게네스가 이를 구분하여 윤리는 인간행동의 기본을 논하는 것이고 도덕은 그것에 기초한 구체적 행동이라고 하였다. 기독교윤리를 정의한다면 윤리란 인간행동의 관습을 이성적으로 검토 비판하여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사랑의 공동체 안에서
1. 윤리의 정의
2. 윤리의 내용
3. 윤리의 세 가지 요건
4. 윤리와 연관된 학문들
※기독교 윤리의 의의
1. 기독교윤리를 연구하는 학문 기독교 윤리학
2. 기독교윤리의 필요성
3. 기독교윤리의 이중성
4. 기독교 윤리학의 동향
5. 기독교 윤리를 왜 연구해야 하는가?
※ 배우고 연구하는 방식
인간을 여러 가지로 정의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윤리적으로 정의하라면 우리는 단순히 인간은 행동하는 존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인간은 그의 행동 속에서 그 의미를 발견하고 또한 행동 속에서 삶의 목적을 구현한다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어떤 행동이 자기 자신과 이웃을 위해 옳은 것인가를 생각할 수는 없다. 어떤 행동이 자기 자신과 이웃을 위해 옳은 것인가를 생각하고 사고하는 데 윤리적 상찰이 있다. 사람이 사람답게 사는 것 다시 말해 사람이 사람답게 행동하는 데 윤리적 과제가 있다. 인간은 개인적 존재인 동시에 사회적 존재이다. 인간이 개인으로서 어떻게 바르게 살 것이냐 하는 문제는 동시에 인간이 이웃과 더불어 어떻게 잘 어울려 살 것이냐 하는 문제와 직결된다. 이것이 윤리의 두가지 기본이다. 인간의 삶은 공동체적 삶이기 때문에 순전히 개인? ?행동이란 것은 있을 수가 없다. 예수님께서는 마음과 뜻과 정성을 다하여 주 너희 하나님을 사랑하고 이웃을 네몸과 같이 사랑하라(마22:37~40)고 말씀 하셨다. 루터의 말을 빌린다면 하나님 앞에 서 있는 개인과 이웃 앞에 서 잇는 우리는 기독교윤리의 두 개의 중요한 기초이다. 리처드 니버가 주장하는 대로 하나님, 나, 이웃 사이의 삼중적인 관계로 이해될 수도 있다. 즉 하나님과 나와의 관계는 절대적이고 중신적인 가치에 대한 충성으로 나타나고 이웃에 대한 관계는 신뢰로 나타나는데 그 절대적 가치에 대해 자기자신을 위임하는 개인들의 횡적인 관계로 형성되는 공동체가 보편적인 공동체가 된다. 즉 하나님을 떠나 개인을 생각할 수 없고 공동체를 떠나 개인이 존재할 수 없다. 어느 한편에 치우쳐서도 안 되고 올바른 사랑의 관계에서 관계론적으로 성립되는 것이다. 기독교윤리의 목표는 참으로 인간을 인간되게 하는 것이라면 그 과정에서 개인이 비인간화되거나 비인격화되어서는 안 된다. 공동체가 개인을 강제해서도 안 되고 개인이 자기 이익만을 무조건 주장 해도 안 된다.
1. 윤리의 정의
윤리라는 말은 그 문자적 의미에 있어서 이간 사이의 이치라는 뜻이다. 학문적으로는 윤리 도덕이라는 말은 습관되어 있다는 뜻이다. 또한 안전성을 뜻하기도 한다. 습관이 곧 윤리일 수는 없다. 습관이란 일단 형성되면 윤리적 사고 없이도 저절로 행동화되기 때문이다. 칸트그는 의무감에서 기인되지 않는 행동은 윤리적인 행동이 될 수 없다고 하였다. 윤리적이란 말은 어떤 사건 앞에서 자기가 일단 옳고 그릇됨을 가려보고 의식적으로 옳은 것을 택하여 행동하는 것이어야 한다. 습관과 윤리의 차이점이 있다. 습관은 윤리적 의식 없이도 될 수 있지만 도덕적 행동은 반드시 윤리적 판단이 있어야 한다는 말이다. 습관을 간접적 윤리판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근래에 와서는 후자가 중요시되고 있다. 이것을 학문적으로 규명한 것이 만델바움의 도덕현상학이다. 이것이 옳기 때문에 ? 解痼?버리고 이것을 택한다는 자유가 전제 되어야 한다. 습관이 윤리의 기초가 되어야 하고 윤리가 법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는 말이다. 희랍의 스토익 철학자 디오게네스가 이를 구분하여 윤리는 인간행동의 기본을 논하는 것이고 도덕은 그것에 기초한 구체적 행동이라고 하였다. 기독교윤리를 정의한다면 윤리란 인간행동의 관습을 이성적으로 검토 비판하여 그리스도인으로 하여금 사랑의 공동체 안에서
추천자료
안락사에 대한 윤리적 고찰
성(性)윤리 -혼전 성 관계와 동성애를 중심으로
상대주의와 절대주의 윤리설
[기독교적 인간][기독교적 인간관][기독교적 인간회복][바르트의 신학적 인간관]기독교적 인...
기독교(그리스도교)의 발전, 기독교(그리스도교)의 교리형성과 언어, 기독교(그리스도교)의 ...
기독교(그리스도교) 배경과 개혁적 사고, 기독교(그리스도교) 헬레니즘화, 기독교(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 그리스도교(기독교) 역사관, 그리스도교(기독교) 은총, 그리스도교...
그리스도교(기독교)의 경제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인간관, 그리스도교(기독교)의 영지주의...
그리스도인의 구원과 하나님 나라 그리고 윤리
헬라(그리스)윤리학 전통
[기독교철학개론] 기독교철학의 개관 요약 (기독교 철학의 정의와 본질, 기독교철학의 성격 ...
[기독교 교훈 사례, 요한 웨슬리, 기독교간 협력]기독교 교훈의 사례1(요한 웨슬리), 기독교 ...
[기독교 기도][기독교 기도 침묵][기독교 기도 기도회][기독교 기도 목회]기독교 기도의 형태...
정보화 사회와 윤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