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결구배추의 채종
1. 생산현황
2. 성상
1). 일반적 특성
2). 개화결실
3. 채종재배환경
1). 토양
2). 온도 및 일장
4.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 (head to seed method)
2). 이식채종
3). 직파채종(seed to seed method)
5.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일대잡종
6. 일대잡종종자의 양산
1). 혼식방법
2). 개화기조절
Ⅱ. 무 (Radish, Raphanus sativus L.)의 채종
1. 성상
1). 특성과 적지
2). 개화.결실
2. 채종재배환경
1). 토양 및 수분
2). 온도 및 일장
3. 채종양식
1). 성숙모본채종 (Root to seed)
2). 이식채종
3). 직파채종 (Seed to seed)
4. 원종채종
1). 일대잡종의 원종채종
2). 고정종의 원종채종
5.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1). 일대잡종의 육성 체계
2). 단교잡에 의한 일대잡종의 양산
6.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Ⅲ. 양배추 (head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의 채종
1. 일반적 특성
2. 성상
1). 특성과 적지
2). 개화결실
3. 채종재배 환경
1). 온도와 일장
4.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head to seed)
2). 불결구모본채종
5. 원종채종
6. 자가불화합성 이용에 의한 일대잡종의 채종
1. 생산현황
2. 성상
1). 일반적 특성
2). 개화결실
3. 채종재배환경
1). 토양
2). 온도 및 일장
4.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 (head to seed method)
2). 이식채종
3). 직파채종(seed to seed method)
5.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일대잡종
6. 일대잡종종자의 양산
1). 혼식방법
2). 개화기조절
Ⅱ. 무 (Radish, Raphanus sativus L.)의 채종
1. 성상
1). 특성과 적지
2). 개화.결실
2. 채종재배환경
1). 토양 및 수분
2). 온도 및 일장
3. 채종양식
1). 성숙모본채종 (Root to seed)
2). 이식채종
3). 직파채종 (Seed to seed)
4. 원종채종
1). 일대잡종의 원종채종
2). 고정종의 원종채종
5.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1). 일대잡종의 육성 체계
2). 단교잡에 의한 일대잡종의 양산
6.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Ⅲ. 양배추 (head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의 채종
1. 일반적 특성
2. 성상
1). 특성과 적지
2). 개화결실
3. 채종재배 환경
1). 온도와 일장
4.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head to seed)
2). 불결구모본채종
5. 원종채종
6. 자가불화합성 이용에 의한 일대잡종의 채종
본문내용
성 체계 → 홈페이지 참조 (http://bh.knu.ac.kr/~bskim/hortseed)
2). 단교잡에 의한 일대잡종의 양산
파종: 9월 25일 - 30일
정식: 11월 10일경 (남부지방)
3월 15일경 (중부지방)
양친을 1:1로 정식
6.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일대잡종을 채종할 수 있으나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면 주로 노화위임에 의해 나오는 내혼계를 완전히 없앨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가불화합성과 함께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아직은 연구 단계에 있으나 앞으로 이를 이용한 품종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홈페이지 화보 참조
Ⅲ. 양배추 (head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의 채종
양배추는 배추에 비해 추위와 더위에 모두 견디는 힘이 강하다. 즉 내서성과 내한성이 강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봄무와 봄배추의 재배가 일반화되기 전에는 봄철의 신선채소로서 소비가 많았다. 그러나 시설재배와 봄무와 봄배추 품종의 발달로 그 재배면적은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 품종육성도 국내의 육성 역사가 짧아 수입종자가 주로 재배되고 있다. 재배면적은 전체 4,529 ha (노지 4,440, 시설 89), 생산액은 354억원, 종자대가 생산액의 약 1.5-2%로 보면 종자시장의 규모는 약 5-7원 정도이다.
유럽에서 12-16세기부터 재배, 처음에는 착유용 종실의 수확과 꽃대의 식용을 목적으로 재배하다가 Brassica oleracea (n=9)은 결구양배추(var capitata), 케일과 콜라드(var. acephara), 카일란(var. alboglabra), 브루셀스프라우트(var. gemmifera), 콜리플라워(var. botrytis), 브로콜리(var. italica), 콜라비(var. gongylodes) 등으로 분화하게 된다. 양배추류는 홈페이지를 참조바람. 홈페이지 참조: http://bh.knu.ac.kr/~bskim로 들어가 >강의자료>채종원예학>양배추류로 들어감.
1. 일반적 특성
1) 양배추는 다음 3군으로 분류된다.
보통 양배추
빨간 양배추
사보이 양배추
2) 양배추는 숙근성이 있다. 꽃대가 올라오고 씨가 맺혀도 영양생장하는 눈이 남아 있어서 이것을 떼어 다시 영양번식할 수 있다.
3) 개화결실
2. 성상
1). 특성과 적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2년생 초본으로 내한성이 강하여 생육최저한계가 5℃정도이다. 녹식물체춘화형(green plant vernalization type) --- 어느정도 생육이 진전된 것이 저온에 감응하여 화아분화한다. 즉 기본영양생장상이 있다. 화아분화후는 고온에 의하여 추대 개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상적발육단계는 기본영양생장상 - 제1상(저온감응상) - 제2상(고온감응상)으로 되어 있다. 제1상과 제2상의 요구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다.
채종지는 따뜻한 곳으로서 개화기에는 온화하고 그뒤 개화 등숙기에는 비가 적으며 겨울부터 봄에 이르는 생육초기에는 난동으로 봄에 이르면서 적당량의 비가 내리는 곳이 적당하다.
화아분화는 15-30장의 엽수를 확보한 상태에서 10℃이하의 저온에 1개월 이상 노출되면 일어난다.
넓은 교잡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B. oleracea 군에 속하는 모든 채소가 교잡위험식물이다. 즉 콜리프라워, 브로콜리, 방울다다기양배추, 콜라비, 캐일, 그러나 무, 배추, 고추냉이, 유채 등과는 자연교잡하지 않는다. 격리거리 일반채종 500 m 이상, 원종채종 1,000 m 이상
2). 개화결실
개화적온은 평균 20도 정도로 고온장일에 의하여 촉진된다. 총상화서, 하위로 부터 상위로 1일 2-4화식 피어 오른다. 자방상위의 양전화, 담황색의 4화변, 자예 1본, 2심피, 웅예 6본, 4강웅예, 화분은 타원형으로 황색, 수정능력은 개화후 3-4일간 보유, 수분후 48시간내에 수정, 과실은 협과, 선단에 부리를 달고 있으며 협과는 내부에 가막이 있어 종으로 2실로 되어 있다. 1개의 협과에는 22-24립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배추와 같이 무배유종자, 부정원형, 적갈색-흑갈색 100립중은 3그람정도, 발아년한은 2년, 발아적온은 15-20 도,
3. 채종재배 환경
1). 온도와 일장
생육적온 15-20도
저온요구도는 평균 14℃, 최저 10℃에서 30일
개화촉진처리 4-5℃에서 2개월간 처리
충분한 저온을 받아 추대 개화하도록 한다. 충분한 저온을 받아 개화하는 품종이어야 추대성이 안정되어 보통재배에서 유리하다.
4.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head to seed)
원종, 원원종채종에 이용된다. 또 집단선발법에 의한 고정종채종에도 이용된다. 청과재배하여 결구한 개체로 부터 채종한다. 결구하면 노화가 진전되어 고온과 병충해에 약하게 된다. 결구모본채종은 청과재배와 같이 재배하여 우량 모본을 선발하여 자식 채종하므로, 청과재배의 양식에 따라 춘파, 하파, 추파의 3작형이 있다. 결구모본채종에서는 결구모본의 월하가 가장 문제로 된다.
(1) 춘파채종: 6월경 파종, 10월 모구선발-결구부 잘라내고 그루터기내고 망실의 폿트에 정식, 그루터기 액아로부터 자라나온 식물체로부터 채종한다.
(2) 하파채종: 7월하-8월상 파종, 12월-2월 모구선발 결구엽 절제, 망실재식, 주화경 채종(2년자 채종)
(3) 추파채종: 가을(9하-10상) 파종, 4-6월 모본선발. 결구부 잘라내고 1-1.5개월 동안 액아 생장 유도 3-4엽, 9월 액아 떼어 삽목 발근 유도, 정식 결구하면 결구엽 절제하여 망실에 정식, 다음 여름 채종 (3년자 채종)
2). 불결구모본채종
7월하순 - 8월상순 파종 - 9월중하순 정식 (75 x 40), 월동, 이른 봄 결구엽 절제, 개화결실, 일대잡종채종에 이용된다.
5. 원종채종
고정종의 원종채종 --- 집단선발법
일대잡종의 원종채종 --- 뇌수분 CO2 처리
6. 자가불화합성 이용에 의한 일대잡종의 채종
혼식비율 1:1, 3:1
개화기일치
개화기조절--- 개화지연: 적심, 비료증시
개화촉진: GA처리
2). 단교잡에 의한 일대잡종의 양산
파종: 9월 25일 - 30일
정식: 11월 10일경 (남부지방)
3월 15일경 (중부지방)
양친을 1:1로 정식
6. 웅성불임성을 이용한 일대잡종의 양산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여 일대잡종을 채종할 수 있으나 자가불화합성을 이용하면 주로 노화위임에 의해 나오는 내혼계를 완전히 없앨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가불화합성과 함께 웅성불임성을 이용하는 방안을 찾고 있다. 아직은 연구 단계에 있으나 앞으로 이를 이용한 품종이 나올 것으로 기대된다. 홈페이지 화보 참조
Ⅲ. 양배추 (head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의 채종
양배추는 배추에 비해 추위와 더위에 모두 견디는 힘이 강하다. 즉 내서성과 내한성이 강하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봄무와 봄배추의 재배가 일반화되기 전에는 봄철의 신선채소로서 소비가 많았다. 그러나 시설재배와 봄무와 봄배추 품종의 발달로 그 재배면적은 크게 늘어나지 않고 있다. 품종육성도 국내의 육성 역사가 짧아 수입종자가 주로 재배되고 있다. 재배면적은 전체 4,529 ha (노지 4,440, 시설 89), 생산액은 354억원, 종자대가 생산액의 약 1.5-2%로 보면 종자시장의 규모는 약 5-7원 정도이다.
유럽에서 12-16세기부터 재배, 처음에는 착유용 종실의 수확과 꽃대의 식용을 목적으로 재배하다가 Brassica oleracea (n=9)은 결구양배추(var capitata), 케일과 콜라드(var. acephara), 카일란(var. alboglabra), 브루셀스프라우트(var. gemmifera), 콜리플라워(var. botrytis), 브로콜리(var. italica), 콜라비(var. gongylodes) 등으로 분화하게 된다. 양배추류는 홈페이지를 참조바람. 홈페이지 참조: http://bh.knu.ac.kr/~bskim로 들어가 >강의자료>채종원예학>양배추류로 들어감.
1. 일반적 특성
1) 양배추는 다음 3군으로 분류된다.
보통 양배추
빨간 양배추
사보이 양배추
2) 양배추는 숙근성이 있다. 꽃대가 올라오고 씨가 맺혀도 영양생장하는 눈이 남아 있어서 이것을 떼어 다시 영양번식할 수 있다.
3) 개화결실
2. 성상
1). 특성과 적지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는 2년생 초본으로 내한성이 강하여 생육최저한계가 5℃정도이다. 녹식물체춘화형(green plant vernalization type) --- 어느정도 생육이 진전된 것이 저온에 감응하여 화아분화한다. 즉 기본영양생장상이 있다. 화아분화후는 고온에 의하여 추대 개화가 촉진된다. 따라서 상적발육단계는 기본영양생장상 - 제1상(저온감응상) - 제2상(고온감응상)으로 되어 있다. 제1상과 제2상의 요구도는 품종에 따라 다르다.
채종지는 따뜻한 곳으로서 개화기에는 온화하고 그뒤 개화 등숙기에는 비가 적으며 겨울부터 봄에 이르는 생육초기에는 난동으로 봄에 이르면서 적당량의 비가 내리는 곳이 적당하다.
화아분화는 15-30장의 엽수를 확보한 상태에서 10℃이하의 저온에 1개월 이상 노출되면 일어난다.
넓은 교잡범위를 가지고 있어서 B. oleracea 군에 속하는 모든 채소가 교잡위험식물이다. 즉 콜리프라워, 브로콜리, 방울다다기양배추, 콜라비, 캐일, 그러나 무, 배추, 고추냉이, 유채 등과는 자연교잡하지 않는다. 격리거리 일반채종 500 m 이상, 원종채종 1,000 m 이상
2). 개화결실
개화적온은 평균 20도 정도로 고온장일에 의하여 촉진된다. 총상화서, 하위로 부터 상위로 1일 2-4화식 피어 오른다. 자방상위의 양전화, 담황색의 4화변, 자예 1본, 2심피, 웅예 6본, 4강웅예, 화분은 타원형으로 황색, 수정능력은 개화후 3-4일간 보유, 수분후 48시간내에 수정, 과실은 협과, 선단에 부리를 달고 있으며 협과는 내부에 가막이 있어 종으로 2실로 되어 있다. 1개의 협과에는 22-24립의 종자가 들어 있다.
종자는 배추와 같이 무배유종자, 부정원형, 적갈색-흑갈색 100립중은 3그람정도, 발아년한은 2년, 발아적온은 15-20 도,
3. 채종재배 환경
1). 온도와 일장
생육적온 15-20도
저온요구도는 평균 14℃, 최저 10℃에서 30일
개화촉진처리 4-5℃에서 2개월간 처리
충분한 저온을 받아 추대 개화하도록 한다. 충분한 저온을 받아 개화하는 품종이어야 추대성이 안정되어 보통재배에서 유리하다.
4. 채종양식
1). 결구모본채종(head to seed)
원종, 원원종채종에 이용된다. 또 집단선발법에 의한 고정종채종에도 이용된다. 청과재배하여 결구한 개체로 부터 채종한다. 결구하면 노화가 진전되어 고온과 병충해에 약하게 된다. 결구모본채종은 청과재배와 같이 재배하여 우량 모본을 선발하여 자식 채종하므로, 청과재배의 양식에 따라 춘파, 하파, 추파의 3작형이 있다. 결구모본채종에서는 결구모본의 월하가 가장 문제로 된다.
(1) 춘파채종: 6월경 파종, 10월 모구선발-결구부 잘라내고 그루터기내고 망실의 폿트에 정식, 그루터기 액아로부터 자라나온 식물체로부터 채종한다.
(2) 하파채종: 7월하-8월상 파종, 12월-2월 모구선발 결구엽 절제, 망실재식, 주화경 채종(2년자 채종)
(3) 추파채종: 가을(9하-10상) 파종, 4-6월 모본선발. 결구부 잘라내고 1-1.5개월 동안 액아 생장 유도 3-4엽, 9월 액아 떼어 삽목 발근 유도, 정식 결구하면 결구엽 절제하여 망실에 정식, 다음 여름 채종 (3년자 채종)
2). 불결구모본채종
7월하순 - 8월상순 파종 - 9월중하순 정식 (75 x 40), 월동, 이른 봄 결구엽 절제, 개화결실, 일대잡종채종에 이용된다.
5. 원종채종
고정종의 원종채종 --- 집단선발법
일대잡종의 원종채종 --- 뇌수분 CO2 처리
6. 자가불화합성 이용에 의한 일대잡종의 채종
혼식비율 1:1, 3:1
개화기일치
개화기조절--- 개화지연: 적심, 비료증시
개화촉진: GA처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