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언어][지역어]지역언어(지역어)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공통어와 지역언어(지역어)의 차이점, 경기지역어(지역어), 표준어교육에 있어 고려할 사항, 지역언어(지역어)교육과 표준어교육의 개선 방안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지역언어][지역어]지역언어(지역어)교육의 목표와 필요성, 공통어와 지역언어(지역어)의 차이점, 경기지역어(지역어), 표준어교육에 있어 고려할 사항, 지역언어(지역어)교육과 표준어교육의 개선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지역언어(지역어)교육의 목표

Ⅲ. 지역언어(지역어)교육의 필요성

Ⅳ. 공통어와 지역언어(지역어)의 차이점
1. 음운의 차이
1) 음운 체계의 차이
2) 음운변동의 차이
2. 어휘의 차이
1) 어형의 차이
2) 의미의 차이
3) 특정 지역에만 사용되는 어휘
3. 문법의 차이
1) 문법 형태소의 차이
2) 문법 기능의 차이

Ⅴ. 경기지역어(지역어)
1. 음운론적 특성
1) 음운체계
2) 음운현상
2. 문법론적 특성
3. 어휘의 의미적 특성

Ⅵ. 표준어교육에 있어 고려할 사항 - 표준문법개발
1. 문법 술어 문제
2. 문법 체계 문제

Ⅶ. 지역언어(지역어)교육과 표준어교육의 개선 방안

Ⅷ.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누어 기술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도 이들 둘에 관해 살펴보기로 한다. 음운은 음소와 운소로 나누고, 음소는 다시 자음과 모음으로 나누어 살펴볼 것이며, 운소는 경상도 방언에 남아 있는 고저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경남 방언의 자음 체계는 표준어의 자음 체계와 거의 같으나, 동부 경남 지역에서만 /s/()와 ()와 대립이 없고, 그 밖의 지역은 표준어의 자음 체계와 같다. 이 이외에도 경남 방언에는 ()이 음소로 설정될 가능성이 있다. 경남 방언의 단모음은 지역과 세대에 따라 표준어와 상당히 다른 체계를 가지고 있어, 어형의 변별에 어려움이 있다. 표준어의 단모음은 10개인데, 비해 경남 방언은 6개8개의 단모음 체계를 가지고 있다. 표준어는 전설 이중 모음이 /ja/, /jo/, /ju/, /je/ 등 7개, 원순 이중 모음이 /wa/, /we/ 등 4개로 모두 11개의 단모음이 있다. 그런데 경남 방언에는 전설 이중 모음은 /ja/, /jo/, /ju/, /jE/ 등 5개가 있고, 원순 이중 모음은 /wa/, /wE/ 등 3개가 있다. 이중모음 앞에 자음이 올 경우에는 단모음으로 실현된다. 우리말에서 소리의 높낮이가 말의 뜻을 분화하는 방언은 경상도 방언과 함경도 방언 두 방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음은 경남 방언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인데, 고저로 최소대립어를 형성하고 있다.
2) 음운변동의 차이
경남 방언에는 체언에 부사격조사 -에가 결합할 때 부사격조사는 체언의 말음이이 이응 음이면 체언의 마지막 모음에 완전 동화되는 음운 변동 규칙이 있다. 예. 장+에→장아, 성+에→성어, 지붕+에→지붕우, 고동+에→고동오 등. 이런 음운 변동은 공통어에는 없는 경남 방언(경상도 방언)이 가지고 있는 특징 중의 하나이다. 그리고 공통어의 용언 중에서 어간 말음이 인 것은 규칙 활용을 하는 것도 있고, 불규칙 활용을 하는 것들도 있다. 그러나 경상도 방언에서는 불규칙활용이 없다. 예컨대 공통어의 더워는 더버로, 미워는 미버로, 구워는 꾸버로 발음하는 등 모두 규칙 활용을 한다. 이와 같이 지역언어는 음운 변동에 있어서도 공통어와 다른 지역언어 나름의 음운 변동 형상을 가지고 있어, 이것이 지역언어의 특색을 드러내고 있다.
2. 어휘의 차이
1) 어형의 차이
첫째는 지역언어의 어형 중에는 공통어와 어형이 다른 것들이 많이 있다. 동일한 의미에 언어 형식인 어형만 다른 것들이 많이 있다. 『한국방언자료집』(1987)에 보면 공통어 가위라는 말이 지역에 따라 다음과 같이 다양한 어형을 갖고 있음을 보여 주고 있다.
<경기> 가위, 가우, 가새
<강원> 가위, 가새, 까새, 깍개, 가우
<충북> 가위, 가우, 가새, 가웨, 가이
<충남> 가위, 가새
<전북> 가위, 가우, 가새, 까새
<전남> 가위, 가새, 가시개
<경북> 가위, 까위, 가이, 가새, 가왜, 가이개, 가시개, 까시개
<경남> 가위, 가이, 가새, 가시개
<제주> 가새, 가세
이처럼 지역에 따라 어형이 다른 것은 그 지역의 언어 사용 관습에 따른 것으로 그 지역의 언어 특색을 드러내는 것이다. 지역언어의 가장 큰 단위가 방언인데, 각 방언들은 방언 나름의 독특한 어형들이 있어, 이 다른 어형들이 방언의 특색을 드러낸다.
2) 의미의 차이
지역언어의 뜻넓이와 공통어의 뜻넓이 다른 경우도 있다. 예컨대, 공통어에는 물기나 때를 제거하는 행위를 나타내는 동사에 단순 동작을 나타내는 훔치다와 반복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닦다가 분화되어 있다. 그러나 경상도 방언에는 닦다가 이 두 뜻넓이를 모두 어우르고 있다. 이처럼 공통어와 뜻넓이가 다른 낱말들의 뜻넓이를 정확하게 가르쳐 주는 것도 지역언어 어휘교육에서 해야 할 일이다. 또 지역언어의 어형 중에는 공통어와 뜻넓이가 달라진 것들도 있어 이들에 대한 것도 각별히 주의해 가르칠 필요가 있다. 예컨대, 경상도 방언의 부석과 공통어의 부엌은 어원이 같아 그 뜻넓이도 같은 아궁이라는 뜻의 말이었으나, 경상도 방언의 부석은 원래의 의미대로 쓰이고 있으나, 공통어의 부엌은 주방(廚房)으로 뜻이 바뀌어 쓰이고 있다. 따라서 지금 공통어와 경상도 방언에서는 부엌 : 정지, 아궁이 : 부석이 대응되어 쓰이고 있다. 이처럼 공통어와 뜻넓이에 차이가 있는 지역언어 어형들도 그 뜻넓이를 대응시켜 가며 지도해야 가르쳐야 할 것이다.
3) 특정 지역에만 사용되는 어휘
다음으로는 지역언어들 중에는, 옛말 중에서 공통어에는 없어졌으나 지역언어에서만 살아남아 있는 어휘들이 있다. 예컨대, 전일(前)이라는 뜻을 가진 :아래라는 어형은 형태 변화 없이 그대로 경상도 방언에 사용되고 있다. 이처럼 방언 어형 중에는 옛말에 쓰이던 것이 특정한 방언에만 남아 있는 것들이 있다. 이런 어휘들은 옛말에 관한 정보를 알려 줄 뿐만 아니라 국어 어휘를 확대하기 위해 매우 소중한 것들이다. 이런 소중한 지역언어 어휘를 발굴하고 이들 어휘의 뜻넓이를 잘 규명하도록 교육하는 것도 지역언어 어휘 교육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이다. 마지막으로는 옛말에서도 그 자취를 찾을 수 없고, 공통어에도 없는 특정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어휘들을 가르치는 일도 지역언어 어휘 교육이 맡아 해야 할 일이다. 경상도 방언에는 지역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으나, 정구지/소풀(=부추), 에나(=정말, 정말로), 쑥쑥다(무질서하다, 지저분하다), 칼컬타(=깨끗하다, 깔끔하다), 조푸/조포(=두부) 같은 말들이 쓰이고 있다. 이런 말들도 특정 지역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말인 동시에 국어 어휘를 밝히고, 국어 어휘를 확대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말들이다. 그러므로 이런 말들을 발굴하고, 그 뜻넓이를 규명하도록 교육하는 일도 지역언어 어휘 교육에서 마땅히 해야 할 몫이 아닐 수 없다.
3. 문법의 차이
1) 문법 형태소의 차이
국어에는 조사와 어미가 문법적 기능을 표시하는 형태소들인데, 이 문법 형태소들도 지역에 따라 각기 다른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경남 지역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음 문법형태소들도 공통어와 다른 형태를 지니고 있다.
○ 조사 : -에/-으/-우(←의), -로(←을/를), -아/-으/-어/-오/-우(←에), -맨치로/맹커로/매이로(←처럼), -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2.11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86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