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담석증 조사의 필요성 및 계기
2. 문헌고찰
1.담석증의 특징
1) 해부생리
2) 원인
3) 특징
2. 담석증의 증상
1) 만성담낭염
2) 급성 담낭염
3. 담석증의 진단
1) 단순 복부 촬영
2) 정맥담관 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3) 경구담낭조영술
4) 초음파 진단
5) 내시경적 역행저락 췌담관 조영술
6) 경피성 간담관 조영술
4. 담석증의 치료
(1) 내과적 관리
(2) 외과적 치료
5. 담석증의 예방
Ⅱ.본론
1.간호력
1)일반정보 : 문○○ / 나이/성별 : 24/M
2)입원과 관련된 정보
3)신체검진
2. 진단검사
1)응급검사
2)진단혈액
3)뇨검경
3. MEDICATION
4.검사결과
1) CT and MRCP(12/29)
2)ERCP (12/28)
3)ERCP (12/31)
5.식이&TPR
1)식이
2)TPR
6. 간호과정
1. 담석으로 인한 통증
.결론
1.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1. 담석증 조사의 필요성 및 계기
2. 문헌고찰
1.담석증의 특징
1) 해부생리
2) 원인
3) 특징
2. 담석증의 증상
1) 만성담낭염
2) 급성 담낭염
3. 담석증의 진단
1) 단순 복부 촬영
2) 정맥담관 조영술(Intravenous cholangiography)
3) 경구담낭조영술
4) 초음파 진단
5) 내시경적 역행저락 췌담관 조영술
6) 경피성 간담관 조영술
4. 담석증의 치료
(1) 내과적 관리
(2) 외과적 치료
5. 담석증의 예방
Ⅱ.본론
1.간호력
1)일반정보 : 문○○ / 나이/성별 : 24/M
2)입원과 관련된 정보
3)신체검진
2. 진단검사
1)응급검사
2)진단혈액
3)뇨검경
3. MEDICATION
4.검사결과
1) CT and MRCP(12/29)
2)ERCP (12/28)
3)ERCP (12/31)
5.식이&TPR
1)식이
2)TPR
6. 간호과정
1. 담석으로 인한 통증
.결론
1.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본문내용
전, fructose sorbitol불내성 환자
Gabexate
당백분해 효소, 혈관내 혈액응고증
혈관통, 정맥염, 발적, 가려움, ALT, AST의 상승, 무과립증, 백혈구 감소, 고칼륨 혈증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Fravasol
8.5% 500ml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 전후의 아미노산 보급
구토, 구역, 흉부 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
중증 신장애, 고질소혈증, 아미노산대사 장애, 폐부종, 핍뇨증, 무뇨증
Urantac
Epocelin
폐렴, 담낭염, 담관염, 복막염, 신우신염
혈전성 정맥염, 통증, 경화, 민감, 발진, 소양증, 켓혈성 빈혈, 간수치상승, 오심, 구토
리도카인등의 아닐리드게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Pethidine HCL 25mg
격렬한 동통시의 진통, 진경, 마취전 투약, 마취시 보조, 무통분
도취감, 불쾌감, 불안,구갈, 오심, 구토, 변비, 발진, 소양감, 호흡억제, 배뇨장애
중증 호흡억제, 중증간장애, 담낭선통 및 수술후의 동통, MAO억제제 투여중인 환잡
Durogesic D-trans 25mcg/h
장시간 지속적인 마약성 진통제 투여를 필요로 하는 만성 통증
이 약이나 이 약에 사용된 접착제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
sodium
chloride 0.9
수분결핍시의 보급,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
고나트륨 혈증, 울혈성 심부전, 부종
Tridol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 진단 및 수술후 동통
발작, 과민증, 심계항진, 냉한,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창백, 졸음, 두통, 우울, 구역, 배뇨장애
급성 알콜중독 환자, 수면제, 진통제, 아편, 향정신성 약물 등 중추신경계 약물중독, 호흡억제, 두부손상, 임부, 수유부
Ursa tab
200mg
육체피로, 벼중병후, 위장장해, 영양장해, 발열성소모성질환, 허약체질
Rowachol soft cap
담석증, 담낭염, 담도염치료의 보조요법, 담석 수술후 결석 재발 방지
트림, 구역, 구토
경구 항응고제를 복용중, 간에서 대사, 배설되는 약물을 복용, 임신 제 1기의 임부
Hepadial tab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치료
설사, 복부통
Mucosta tab
위궤양, 위점막병변의 개선, 만성위염의 급성기
백혈구 감소, 간기능 장애, 가려움, 두드러기, 마비, 어지러움, 미각이상
과민증 병력 환자
Pantoloc tab 20mg
경증의 역류성 식도질환 및 관련 증상
간수치 상승, 오심, 구토, 설사, 부종, 피로, 간효소치 상승, 근육, 고혈당증
이약에 과민증 있는 환자, 임부, 수유부
4.검사결과
1) CT and MRCP(12/29)
☞Bile duct의 dilatation이 있으며 distal CBD에 뚜렷한 obstructive lesion은 관찰되지 않음. GB내에 attenuation이 증가되어 있어 sludge가 있을 것으로 생각됨. S2 duct가 focal하게 좀더 dilatation되어 있으며 뚜렷한 obstructive lesion은 관찰되지 않음
MRCP상에서도 stone에 evidence는 뚜렷하지 않으며 spleen은 약간 커져 있음. P-duct는 늘어나 있지 않음
2)ERCP (12/28)
☞Neddle knife 및 isotom으로 EST시행후 CBD로 guied-wiring하여 ENBD 삽입후 시술 종료
3)ERCP (12/31)
☞ERCP cath 으로 cannulation 후 Balloon sweeping 시행후 olympus papillotone 이용하여 추가 EST 시행후 CRE-balloon(6.7mm*1min)시행후 basket 이용 stone remove(*2)&sludge remove후 시술 종류
12/29
12/30
12/31
40ml
90ml
150ml
ENBD 배액량
5.식이&TPR
12/28
12/29
12/30
12/31
1/1
1/2
1/3
조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중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무지방연식
금식
석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무지방연식
금식
1)식이
12/28
12/29
12/30
12/31
1/1
1/2
1/3
체온
36.8
36.7
36.8
37.8
38.8
38.7
36.7
호흡
20
18
19
20
22
18
20
맥박
82
76
74
68
60
78
76
2)TPR
6. 간호과정
1. 담석으로 인한 통증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가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시면 안될까요?”
-의사가“통증이 좀 어때요?”라고 하자“아직도 정말 아파요.”라고 대답하였다.
-12/28에 ERCP를 시행 하였고 그결과 담석이 있음이 밝혀졌다.
-12/28일 ENBD를 삽입하였다.
-12/31일 ERCP를 통하여 담석을 제거하였다.
-계속적으로 누워있는 모습 보이셨다.
-VA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정도를 사정하였을 때 8점이 나왔다.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1.VAS 척도가
5점이하로
내려감
①통증에 대하여
사정한다.(2시간마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환자에게 통증에 대한 정보를 준다.
④
⑤prn 을 투여한
다. (by NS)
①통증 사정에
통증 척도를
이용한다.
③지속적인 통증과 압박은 순환장애를 의미한다.
④통증에 대한 정보는 통증을 참는 데 도움이 된다.
⑤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킨다.
①VA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 정도와 통증 부위를 사정하였다.
(8~7점 check)
(좌측다리 수술부위 허벅지)
③부목 부위의 통증은 있지만 압박감은 없다고 하셨다.
④환자에게 통증의 원인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PCA가 들어가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⑤환자에게 투여여부를 물어보았더니 더 참으시겠다고 말씀하셔셔 투여하지 않음→16:30분 진통제 원하셔서
prn으로 tridol
1ample IM
injection 함.
17:00분 통증 완화 VAS 척도 3~4점으로 내려감
.결론
1.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각록 김미예외, 수문사 2004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현문사 2003
♣간호진단과 중재, 대한간호협회 1995
♣http://www.nursediary.net
♣http://www.nurscape.net
Gabexate
당백분해 효소, 혈관내 혈액응고증
혈관통, 정맥염, 발적, 가려움, ALT, AST의 상승, 무과립증, 백혈구 감소, 고칼륨 혈증
과민반응이 있는 환자
Fravasol
8.5% 500ml
저단백혈증, 저영양상태, 수술 전후의 아미노산 보급
구토, 구역, 흉부 불쾌감, 심계항진, 빈맥, 혈압상승
중증 신장애, 고질소혈증, 아미노산대사 장애, 폐부종, 핍뇨증, 무뇨증
Urantac
Epocelin
폐렴, 담낭염, 담관염, 복막염, 신우신염
혈전성 정맥염, 통증, 경화, 민감, 발진, 소양증, 켓혈성 빈혈, 간수치상승, 오심, 구토
리도카인등의 아닐리드게 국소마취제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Pethidine HCL 25mg
격렬한 동통시의 진통, 진경, 마취전 투약, 마취시 보조, 무통분
도취감, 불쾌감, 불안,구갈, 오심, 구토, 변비, 발진, 소양감, 호흡억제, 배뇨장애
중증 호흡억제, 중증간장애, 담낭선통 및 수술후의 동통, MAO억제제 투여중인 환잡
Durogesic D-trans 25mcg/h
장시간 지속적인 마약성 진통제 투여를 필요로 하는 만성 통증
이 약이나 이 약에 사용된 접착제 성분에 과민증이 있는 환
sodium
chloride 0.9
수분결핍시의 보급, 전해질 결핍시의 보급
고나트륨 혈증, 울혈성 심부전, 부종
Tridol
중증 및 중등도의 급만성 동통, 진단 및 수술후 동통
발작, 과민증, 심계항진, 냉한, 혈압저하, 부정맥, 안면창백, 졸음, 두통, 우울, 구역, 배뇨장애
급성 알콜중독 환자, 수면제, 진통제, 아편, 향정신성 약물 등 중추신경계 약물중독, 호흡억제, 두부손상, 임부, 수유부
Ursa tab
200mg
육체피로, 벼중병후, 위장장해, 영양장해, 발열성소모성질환, 허약체질
Rowachol soft cap
담석증, 담낭염, 담도염치료의 보조요법, 담석 수술후 결석 재발 방지
트림, 구역, 구토
경구 항응고제를 복용중, 간에서 대사, 배설되는 약물을 복용, 임신 제 1기의 임부
Hepadial tab
소화불량, 구역, 구토 등의 증상치료
설사, 복부통
Mucosta tab
위궤양, 위점막병변의 개선, 만성위염의 급성기
백혈구 감소, 간기능 장애, 가려움, 두드러기, 마비, 어지러움, 미각이상
과민증 병력 환자
Pantoloc tab 20mg
경증의 역류성 식도질환 및 관련 증상
간수치 상승, 오심, 구토, 설사, 부종, 피로, 간효소치 상승, 근육, 고혈당증
이약에 과민증 있는 환자, 임부, 수유부
4.검사결과
1) CT and MRCP(12/29)
☞Bile duct의 dilatation이 있으며 distal CBD에 뚜렷한 obstructive lesion은 관찰되지 않음. GB내에 attenuation이 증가되어 있어 sludge가 있을 것으로 생각됨. S2 duct가 focal하게 좀더 dilatation되어 있으며 뚜렷한 obstructive lesion은 관찰되지 않음
MRCP상에서도 stone에 evidence는 뚜렷하지 않으며 spleen은 약간 커져 있음. P-duct는 늘어나 있지 않음
2)ERCP (12/28)
☞Neddle knife 및 isotom으로 EST시행후 CBD로 guied-wiring하여 ENBD 삽입후 시술 종료
3)ERCP (12/31)
☞ERCP cath 으로 cannulation 후 Balloon sweeping 시행후 olympus papillotone 이용하여 추가 EST 시행후 CRE-balloon(6.7mm*1min)시행후 basket 이용 stone remove(*2)&sludge remove후 시술 종류
12/29
12/30
12/31
40ml
90ml
150ml
ENBD 배액량
5.식이&TPR
12/28
12/29
12/30
12/31
1/1
1/2
1/3
조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중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무지방연식
금식
석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금식
무지방연식
금식
1)식이
12/28
12/29
12/30
12/31
1/1
1/2
1/3
체온
36.8
36.7
36.8
37.8
38.8
38.7
36.7
호흡
20
18
19
20
22
18
20
맥박
82
76
74
68
60
78
76
2)TPR
6. 간호과정
1. 담석으로 인한 통증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가 너무 아파요. 진통제 좀 주시면 안될까요?”
-의사가“통증이 좀 어때요?”라고 하자“아직도 정말 아파요.”라고 대답하였다.
-12/28에 ERCP를 시행 하였고 그결과 담석이 있음이 밝혀졌다.
-12/28일 ENBD를 삽입하였다.
-12/31일 ERCP를 통하여 담석을 제거하였다.
-계속적으로 누워있는 모습 보이셨다.
-VA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정도를 사정하였을 때 8점이 나왔다.
간호목표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1.VAS 척도가
5점이하로
내려감
①통증에 대하여
사정한다.(2시간마다)
②활력징후를 측정한다.
③환자에게 통증에 대한 정보를 준다.
④
⑤prn 을 투여한
다. (by NS)
①통증 사정에
통증 척도를
이용한다.
③지속적인 통증과 압박은 순환장애를 의미한다.
④통증에 대한 정보는 통증을 참는 데 도움이 된다.
⑤진통제를 투여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킨다.
①VAS 척도를 이용하여 통증 정도와 통증 부위를 사정하였다.
(8~7점 check)
(좌측다리 수술부위 허벅지)
③부목 부위의 통증은 있지만 압박감은 없다고 하셨다.
④환자에게 통증의 원인과 통증을 경감시키기 위해PCA가 들어가고 있음을 알려주었다.
⑤환자에게 투여여부를 물어보았더니 더 참으시겠다고 말씀하셔셔 투여하지 않음→16:30분 진통제 원하셔서
prn으로 tridol
1ample IM
injection 함.
17:00분 통증 완화 VAS 척도 3~4점으로 내려감
.결론
1.참고문헌 & 참고사이트
♣최신 아동건강간호학 총론,각록 김미예외, 수문사 2004
♣최신 임상간호 메뉴얼, 현문사 2003
♣간호진단과 중재, 대한간호협회 1995
♣http://www.nursediary.net
♣http://www.nurscape.net
키워드
추천자료
척추관 협착증 (SPINAL STENOSIS) 환자 간호사례 연구
Intracerebral hemorrhage(뇌내출혈)환자에 대한 간호사례 연구
Liver Cirrhosis(간경화증) 환자의 간호사례 연구 예
ICH환자의 간호과정 사례연구 보고서
간호 윤리 사례연구
뇌경색 환자 간호사례 연구
정상분만 환자 간호사례 연구
정상분만 환자 간호사례 연구
[성인간호학]림프종(Lymphoma) 대상자 사례연구 - DLBCL (Diffuse Large B-cell Lymphoma, 미...
[간호학] 뇌경색 (Cerebral infarction)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사례연구
[간호학과] 직장암 (rectal cancer) 사례연구 case study
pleural effusion 흉막삼출증 케이스, 흉수 케이스, 흉막삼출증 간호과정, pleural effusion ...
부비동염 케이스스터디, 부비동염 간호과정, 부비동염 CASE STUDY, 부비동염 사례연구, 부비...
ICH(Intracerebral hemorrhage) 케이스 스터디, ICH 간호과정, ICH 케이스, ICH 케이스 스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