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실습 약물투여법 디스커션포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약리실습 약물투여법 디스커션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소화관 투여
2. 소화관외 투여(비경구 투여)

본문내용

정한 결과 IP, Rectal, SC, IM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onset 시간차가 가장 큰 IP(189.3초)와 IM(565초)의 t-test 결과도 p-value는 0.19991061로 0.05보다 커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다.) 이런 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무엇보다도 실험군의 수가 소수이기 때문이다. 충분히 많은 토끼로 실험을 했다면 각 실험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차를 최소화 할 수 있지만 실험에 실패한 조가 있어 결과에서 제외하다보니 실험의 신뢰도가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실험적 오차로는 첫째, 각 토끼의 개별적 특성을 들 수 있다. pentobarbital은 지방 친화력이 커서 체내 지방이 많은 토끼의 경우 쉽게 흡수되고, 따라서 작용부위까지 충분한 약물이 도달하지 못했을 수 있다. 둘째, 실험자의 미숙 때문이다. 직장투여의 경우는 약물을 투여하는 경우에서 약물이 소실되었을 수 있다. 또, 복강투여의 경우도 복강에 정확히 주사하지 못했을 수 있다.
가장 대표적인 예가 결과에는 포함되지 않은 5조의 결과이다. 5조의 경우는 IP로 투여했는데 onset 시간이 2640초로 나타났다. 5조의 결과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토끼가 약물을 투여 받은 후 800초가량 지나서 하반신의 righting reflex가 소실되었으나 상반신의 경우에는 정상이었다. 전체적으로 보아도 정상 상태보다는 활동성이 많이 감소되어 있었지만 상반신의 righting reflex는 분명히 존재했다. 그 후 2640초 쯤이 되어서 비로소 완전히 righting reflex가 소실되었다. 그런데 IP 주사 과정에서 토끼가 움직여서 바늘이 빠진 적이 있다. regurgitation시 두 번 모두 기체만 따라왔고 배 주위의 출혈은 없었던 것으로 보아 복강주사는 두 번 다 정확히 이루어졌지만, 중간에 바늘이 빠졌을 때 약물이 소실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또, 토끼의 개별적 특성에 의하여 pentobarbital을 잘 대사하거나, 혹은 저항성이 다른 토끼보다 컸을 수 있다.
PO의 경우는 반응성이 아예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역시 실험자의 미숙과 토끼의 개별적 특성을 원인으로 찾을 수 있으며, 특히 생체 이용률에 영향을 많이 받았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약물을 경구 투여할 경우는 IV의 경우보다 더 많은 양을 투여해야 한다.
Reference
- 이우주의 약리학 강의 제5판, 김경환 엮음. 의학문화사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2.17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19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