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숙인 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노숙인 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노숙인 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현재 나는 노숙인상담소에 근무하면서 많은 노숙인을 상담해오고 있다. 그러나 IMF 당시 노숙인은 실직 노숙인 이었고, 가시적인 자활을 할 수 있다고 보았지만, 2003년 이후 노숙인의 유형이 점자 노숙이 장기화 되고, 지역사회 내에 복귀를 못하는 장기 노숙인으로 변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상담소에서 하는 주 업무가 쉼터로의 입소인데, 쉼터에 입소해도 자활을 하기 보다는 입 퇴소를 빈번하게 하시는 유형이 늘고 있다. 따라서 노숙인이 쉼터의 본래 목적인 지역사회로의 자활을 하지 못하고 빈번한 입 퇴소를 하는지에 대한 의문을 갖게 되었고, 이로써 노숙인 쉼터의 문제점을 살펴 봄으로써 노숙인들이 자활하지 못하는 요인을 쉼터라는 곳으로 한정하여 노숙인 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과제에서는 노숙인 쉼터의 현황 과 인터뷰를 통한 노숙인쉼터의 문제점의 제시에 중점을 두고 과제를 실시하고, 차후 논문 연구에서는 이를 중점적으로 다루고자 한다.
1. 연구 목적 및 연구문제
1) 연구의 목적
2005년 2월 추운 날씨에 서울역에서 노숙인 두 명이 사망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 설상가상으로 이에 대해 분개한 노숙인 수백명이 시위까지 벌였으며, 이는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노숙인들은 하나같이 차갑고 딱딱한 시멘트 바닥에 누워 신문지나 종이박스를 덮고 새우잠을 청한다. 한편 경기침체가 장기화하면서 서울시내 거리의 노숙인 들이 2003년도에 비해 대폭 늘어ㅏ고 있으며, 노숙인 문제는 IMF의 구제 금융을 받게 된 사태의 발생과 경기침체로 민간 및 공공부문의 광범위한 구조조정에 의한 대량 실업사태가 발생되어 그에 따른 실직자의 증가로 더욱 심각성을 더하고 있다. 즉,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있던 건설일용 노동자나 빈곤 상태에 있던 저소득층 노동자들이 정리해고나 직장 휴폐업으로 인해 일자리를 잃고 재취업을 위해 또는 마땅한 주거지가 없어져서 거리로 나오는 이른바 실직 노숙인이기 때문이다. 이들 실직가정은 극심한 생계곤란을 겪고 있으며, 가족의 기능과 역할이 제대로 수행되지 못함으로써 가족원간의 갈등이 야기되고 있고, 심지어 일부 실업 가구에서는 가족원의 가출, 이혼, 별거 등 가족해체로 이어져 개인, 가족 및 사회에 심각한 영향을 주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겨울철을 맞아 노숙인 보호대책으로, 2004년 10월 15일부터 2005년 2월까지를 특별보호기간으로 지정하고 서울역 등 노숙인 밀집지역에 30명의 상담원을 투입, 노숙인 들에게 쉼터 입소를 설득하고 있지만 상담 자체를 거부하는 경우가 많아 효과는 미미한 실정이라고 한다. 한 관계자는 술을 자주 먹거나 가벼운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보호기관의 단체생활을 견디지 못하고 다시 거리로 나오는 경우가 많고, 쉼터에 가면 신분을 알려야 하기 때문에 신용불량자들이 입소를 기피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시 노숙인 관리 팀장은 노숙인 가운데 알코올 중독자나 정신 병력을 가진 사람이 많아 범죄의 위험이 높은 게 사실이라면서도 노숙인 들을 관계기고나 또는 상담보호센터로부터 보호요청을 받은 자들을 쉼터로 입소시켜야 하나“인구너문제도 있고 해서 우리가 강제로 쉼터로 보낼 수도 없어 사실 관리나 통제가 어렵다”고 말했다. 그러나 노숙인 쉼터가 노숙인의 보호 및 자활을 위해 어느 정도 기여하고 있는지가 의문이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노숙인 쉼터를 이용하고 있는 노숙인의 서비스만족도 및 욕구를 조사하여 노숙인 쉼터운영의 문제점을 분석도출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노숙인 대책을 위한 기초 자료로 공여하고자 한다.
2) 연구 문제
노숙인 쉼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은 무엇인가?
2. 이론적 배경
1) 노숙인의 정의
노숙인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관심을 끌게 되자 가장 많이 가지게 되는 의문이 어떤 사람들이 노숙인 이고 그 수가 얼마나 되는가에 대한 의문이다. 노숙인의 정의는 광범위하다. 노숙인은 말 그대로 “일정한 숙소가 없어 길거리에서 자는 사람을 일컫는다. 그러나 관점이나 연구상의 차이로 학자마다 다르게 정의하고 있다. 노숙인은 좁은 의미로 잠잘곳이 없어 길거리에서 잠을 자는 사람이며, 넓은 의미로는 정규적이고 고정된 적절한 주거시설이 없고 실제로 길거리, 역사, 공원 같은 공공장소, 차안이나 버려진 건물, 부랑인복지시설노숙인 쉼터, 친척이나 친구의 집에 임시로 얹혀사는 사람들로 정의한다.
UN은 노숙인을 매우 광범위하게 정의하고 있는데 첫째, 집이 없는 사람과 옥외나 단기시설 또는 여인숙 등에서 잠을 자는 사람, 둘째, 집이 있으나 UN의 기준에 충족되지 않은 집에 사는 사람. 이러한 기준에는 적절한 보호, 깨끗한 물과 위생적인 환경, 부담 가능한 거주비, 안정된 거주권과 개인적인 안전, 그리고 직업과 교육, 건강관리에 대한 접근성이 포함된다.
미국에서는 홈리스라 지칭하는 경우는 그야말로 노숙 혹은 쉼터에 거주하는 경우로 제한된다. 홈리스란 고정되고 일반적이며 적절한 잠자리를 찾지못하 사람, 또는 일시적인 주거지로서 공공 또는 민간이 운영하는 보호소나 시설, 버려진 빌딩, 차, 공원, 거리와 같이 일반적인 잠자리로 서는 적합하지 않은 장소를 이용하는 사람을 뜻한다.
일본에서는 우리와 마찬가지로 노숙인은 실제 거리에서 잠을 자는 사람만을 의미한다. 그러나 표현의 뉘앙스에는 약간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2.23
  • 저작시기200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0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