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한국어와 방언
2. 방언과 사투리, 그리고 표준어
3. 한국의 방언권
4. 경기도 방언
5. 강원도 방언
6. 충청도 방언
7. 전라도 방언
8. 경상도 방언
9. 제주도 방언
10. 황해도 방언
11. 평안도 방언
12. 함경도 방언
13. 사회방언
2. 방언과 사투리, 그리고 표준어
3. 한국의 방언권
4. 경기도 방언
5. 강원도 방언
6. 충청도 방언
7. 전라도 방언
8. 경상도 방언
9. 제주도 방언
10. 황해도 방언
11. 평안도 방언
12. 함경도 방언
13. 사회방언
본문내용
만들어진 언어이므로, 방언과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없기 때문이다.
표준어
서울방언
돈
둔
흰떡
흔떡
줍는다, 주워
줏는다, 줏어
하고 있어
허구 있어
3. 한국의 방언권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 일찍이 일본인 학자 소창진평은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경상도방언, 전라도방언, 함경도방언, 평안도방언, 경기도방언, 제주도방언의 대방언권으로 나누었다. 강원도, 황해도, 충청남북도는 경기도방언권에 소속시킨 바 있다. 이후 이숭녕은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충청도 방언을 포괄하여 중부방언이라 하였다. 또한 이기문은 동북·서북·중부·동남·서남·제주도방언의 6 방언권으로 나누었다.
한편, 전체를 한 번에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지 않고 몇 가지 중간 층위를 두고 나누는 방식도 가능하다. 최학근은 우리나라의 방언을 크게 북부방언군과 남부방언군으로 나누고 나서, 북부방언군에는 경기·강원·황해·충북·평안도 방언을, 남부방언군에는 경상·전라·함경·충남·제주도방언을 포함시켰다. 김병제와 이병근은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먼저 동서로 나누어, 동부방언과 서부방으로 구분하고, 동부방언에는 동남방언과 동북방언을, 서부방언에는 서북방언, 중부방언, 서남방언, 제주도방언을 포함시켰다.
방언권 구분 자체는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다. 우리는 각 방언권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기 때문에 편의상 도 단위로 방언권을 구분하고, 각 방언권의 몇몇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기술은 『방언학사전』의 설명을 요약한 것이다.
4. 경기도 방언
모음은 ‘이, 에, 애, 위, 외, 으, 어, 아, 우, 오’의 10개가 쓰이는데, 청소년층에서는 ‘위, 외’가 이중모음으로 실현되고, ‘에, 애’가 구별되지 않는다. 또한 표준어와 달리 ‘ㅿ’이 ‘ㅅ’으로 나타나는 ‘가새(가위), 푸성기~푸성귀, 아시본다~아수본다(아우본다), 마실간다(마을간다)’ 등이 넓은 지역에서 쓰인다. ‘ㅁ, ㅂ’ 등 뒤에서 ‘오’가 ‘어’로 바뀐 변화의 영향으로, ‘버리(보리), 번바탕(본바탕), 머처럼(모처럼)’ 등이 폭넓게 쓰인다. 또한 ‘어’의 긴소리는 ‘으’에 가깝게 실현되어, ‘으:른(어른), 그:지(거지), 그:머리(거머리, 드:럽다(더럽다)’ 등으로 나타난다.
평서문에서는 ‘갑니다, 가우, 가네, 간다’와 같은 경어법 형식과 함께 ‘가유, 가’ 등이 쓰인다. 의문문에서도 일상적인 말투에서는 ‘가유?, 가우?, 가나?, 가니?’ 등이, 명령문에서는 ‘가유!, 가우!, 가!, 가라/가거라!’ 등이 쓰인다.
특징적인 어휘로는 ‘망죄다/망하다, 그렇다, 내훑는다, 무허다, 장난놀다, 바람치다’ 등을 들 수 있다. ‘망죄다/망허다’는 ‘나쁘다’(‘좋다’의 반대말)는 의미이며, ‘그렇다’는 ‘맞다’(‘틀리다’의 반대말)의 의미이다. ‘내훑는다’는 ‘도망치다’, ‘무허다’는 ‘자손이 없다’, ‘장난놀다’는 ‘장난치다’, ‘바람치다’는 ‘바람피우다’의 의미로 쓰인다.
5. 강원도 방언
모음은 경기도 방언과 마찬가지로 10개인데, ‘에, 애’는 첫 번째 음절에서만 잘 구별된다. 높낮이로 의미가 구별되는 성조는 강원도의 강릉·삼척·영월 지역에만 존재한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길고 짧음으로 의미가 구분된다. 명사의 마지막 음절에 ‘이’가 첨가되는 현상은 주로 영동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감재(감자), 허패(허파), 남재(남자), 고등에~고등애(고등어), 도매(도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활용에서도 특이한 모습이 나타나는데, 삼척 지역에서는 ‘던제(던지-어), 훔체(훔치-어)’ 등으로 나타난다. 한편, 영동 지역과 영서 지역이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영동 지역에서 나타나는 ‘갈강비, 입
표준어
서울방언
돈
둔
흰떡
흔떡
줍는다, 주워
줏는다, 줏어
하고 있어
허구 있어
3. 한국의 방언권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다양하다. 일찍이 일본인 학자 소창진평은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경상도방언, 전라도방언, 함경도방언, 평안도방언, 경기도방언, 제주도방언의 대방언권으로 나누었다. 강원도, 황해도, 충청남북도는 경기도방언권에 소속시킨 바 있다. 이후 이숭녕은 경기도, 황해도, 강원도, 충청도 방언을 포괄하여 중부방언이라 하였다. 또한 이기문은 동북·서북·중부·동남·서남·제주도방언의 6 방언권으로 나누었다.
한편, 전체를 한 번에 여러 개의 조각으로 나누지 않고 몇 가지 중간 층위를 두고 나누는 방식도 가능하다. 최학근은 우리나라의 방언을 크게 북부방언군과 남부방언군으로 나누고 나서, 북부방언군에는 경기·강원·황해·충북·평안도 방언을, 남부방언군에는 경상·전라·함경·충남·제주도방언을 포함시켰다. 김병제와 이병근은 우리나라의 방언권을 먼저 동서로 나누어, 동부방언과 서부방으로 구분하고, 동부방언에는 동남방언과 동북방언을, 서부방언에는 서북방언, 중부방언, 서남방언, 제주도방언을 포함시켰다.
방언권 구분 자체는 고려해야 할 부분이 많다. 우리는 각 방언권의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기 때문에 편의상 도 단위로 방언권을 구분하고, 각 방언권의 몇몇 특징을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기술은 『방언학사전』의 설명을 요약한 것이다.
4. 경기도 방언
모음은 ‘이, 에, 애, 위, 외, 으, 어, 아, 우, 오’의 10개가 쓰이는데, 청소년층에서는 ‘위, 외’가 이중모음으로 실현되고, ‘에, 애’가 구별되지 않는다. 또한 표준어와 달리 ‘ㅿ’이 ‘ㅅ’으로 나타나는 ‘가새(가위), 푸성기~푸성귀, 아시본다~아수본다(아우본다), 마실간다(마을간다)’ 등이 넓은 지역에서 쓰인다. ‘ㅁ, ㅂ’ 등 뒤에서 ‘오’가 ‘어’로 바뀐 변화의 영향으로, ‘버리(보리), 번바탕(본바탕), 머처럼(모처럼)’ 등이 폭넓게 쓰인다. 또한 ‘어’의 긴소리는 ‘으’에 가깝게 실현되어, ‘으:른(어른), 그:지(거지), 그:머리(거머리, 드:럽다(더럽다)’ 등으로 나타난다.
평서문에서는 ‘갑니다, 가우, 가네, 간다’와 같은 경어법 형식과 함께 ‘가유, 가’ 등이 쓰인다. 의문문에서도 일상적인 말투에서는 ‘가유?, 가우?, 가나?, 가니?’ 등이, 명령문에서는 ‘가유!, 가우!, 가!, 가라/가거라!’ 등이 쓰인다.
특징적인 어휘로는 ‘망죄다/망하다, 그렇다, 내훑는다, 무허다, 장난놀다, 바람치다’ 등을 들 수 있다. ‘망죄다/망허다’는 ‘나쁘다’(‘좋다’의 반대말)는 의미이며, ‘그렇다’는 ‘맞다’(‘틀리다’의 반대말)의 의미이다. ‘내훑는다’는 ‘도망치다’, ‘무허다’는 ‘자손이 없다’, ‘장난놀다’는 ‘장난치다’, ‘바람치다’는 ‘바람피우다’의 의미로 쓰인다.
5. 강원도 방언
모음은 경기도 방언과 마찬가지로 10개인데, ‘에, 애’는 첫 번째 음절에서만 잘 구별된다. 높낮이로 의미가 구별되는 성조는 강원도의 강릉·삼척·영월 지역에만 존재한고, 나머지 지역에서는 길고 짧음으로 의미가 구분된다. 명사의 마지막 음절에 ‘이’가 첨가되는 현상은 주로 영동지역에서 볼 수 있는데, ‘감재(감자), 허패(허파), 남재(남자), 고등에~고등애(고등어), 도매(도마)’ 등이 이에 해당한다. 활용에서도 특이한 모습이 나타나는데, 삼척 지역에서는 ‘던제(던지-어), 훔체(훔치-어)’ 등으로 나타난다. 한편, 영동 지역과 영서 지역이 차이를 보이기도 하는데, 영동 지역에서 나타나는 ‘갈강비, 입
추천자료
[국어학] 국어사의 시대구분, 국어사, 국어학사
[국어교과평가][국어교육평가][수행평가][교수학습평가]국어과교육(국어교육)의 과정과 국어...
[국어]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
국어과교육(국어교육) 협력학습과 소집단토의학습, 국어과교육(국어교육) 창의적교수학습과 ...
국어(국어과교육)의 특징, 국어(국어과교육)의 목표와 내용체제, 국어(국어과교육)의 수준별...
한국 중세문학의 성격, 한국 중세문학의 배경, 한국 중세문학 서사문학, 한국 중세문학 통일...
국어과 부진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수준별교육자료(교수학습자료), 국어과 정신지...
국어(국어과)교과서의 기능, 국어(국어과)교과서의 기본 방향과 지향점, 국어(국어과)교과서...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원칙, 국어과수업(국어교육)의 지향점, 국어과수업(국어교육)과 수준...
[한국어교육]한국어의 특질, 한국어의 음절과 강세, 한국어교육의 성격, 한국어교육의 교재, ...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총체적언어교육과 독해교육, 초등학교 국어과(국어교육)의 독서...
[국어][사잇소리현상][문법][사잇소리현상 표기][사잇소리현상 문법범주]국어의 특질, 국어의...
[국어교육학][기업교육학][교과교육학][학교교육학][교육학][국어교육][기업교육][교과교육][...
[한국어교육론]한국어 교육과정의 구성 요인, 개발 절차를 기술하고, 구체적인 한국어 교육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