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입원상태 및 병력
2. 정신적, 정서적 상태
3. 일반정보
4.건강과 관련된 정보
5. 신체 사정
6. 검사
7. 신경계 사정
8. Doctor order
9. 투여 약물
간호과정
1. 사정자료
2. 자료 분류 및 분석
3. 간호진단 우선순위
4.nursing process
2. 정신적, 정서적 상태
3. 일반정보
4.건강과 관련된 정보
5. 신체 사정
6. 검사
7. 신경계 사정
8. Doctor order
9. 투여 약물
간호과정
1. 사정자료
2. 자료 분류 및 분석
3. 간호진단 우선순위
4.nursing process
본문내용
흔히 발생되는데, 그 이유는 요추가 체중부하를 가장 많이 받고 척주에서 가장 유연성이 많으며 신경근이 포함되며 선천적으로 약한 구조를 지니기 때문이다.
1. 형태
① disc protrusion - 얇아지고 약해진 추간반 섬유륜을 밀고 나온상태
② disc prolapse - 파열되고 찢어진 섬유륜을 통해 수핵이 탈출되어 후종인대 밑에 있거 나 후종인대를 뚫고 완전히 떨어져 나온 상태
2. 원인 및 빈도
추간원판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정상적인 노화과정으로 인한 추간판 퇴행이다.
추간원판 탈출의 1/2은 갑작스런 움직임, 부적절한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자주 추간원판 질환이 생기고 전 추간원판 탈출의 90~95%가
제4~제5요추 사이 제 5요추~제1천추 사이에서 발생한다.
비만도 원인이 될수 있다. ⇒
( 허리 디스크 환자 중 4.4%가 비만임)
3.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수핵이 protrusion이 척추관의 중앙부로 빠져 나오면 요통을 일으키고 외측으로 나오면 좌골신경통을 일으킨다.
30세 이후, 정상적인 노화과정은 추간판의 섬유륜과 추체를 지지하는 횡인대에서 퇴행성적 변화를 일으킨다. 즉 추간원판이 닳거나 찢어지면 자발적인 추간원판의 파열을 유발하고 약해진 부위로 수핵이 탈출 된다.
파열된 추간원판과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이다. 통증은 예리하며 하나의 신경을 따라 일어 난다. 예를들어 환자는 허리에서 시작하여 엉덩이로 내려가고 넓적다리 바깥쪽으로 내려와 무릎에서 엄지발가락으로 전달되는 통증을 호소한다. 이는 제 4요추와 제 5요추 사이의 추간판이 파열되어 신경압박이 일어난 것이다. 통증은 기침이나 재채기 같은 척수경막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구부리는 것 같은 등에 긴장을 일으키는 행동들과 관련이 있다. 종종 증상은 손상 당시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척추근의 경련으로 후에 발현된다.
배뇨장애 - 급성 마미 증후군
6. 진단
① 병력 및 신경학적 검사
- 증상 및 징후
② 감별진단 - 추간반 변성이나 손상과 관계
있는 질환
하지 혈류 장해에 의한 통증
fecet syndrome
pseudospondlyolisthesis
척수 종양
고관절 질환
③ 방사선 소견
요추 단순 X 선 소견 : 특별한 소견을 보이지 않을수 있으며 요추의 정상적 곡선이 소실되 어 직선화 현상을 나타내거나 추간반 간격이 좁아질수 있음
요추 CT : 추간반 탈출 뿐만 아니라 골극 형성과 관절면 비후등 요추골의 변화를 잘 보여줌
요추 MRI : 추간반의 변성과 탈출 방향, 탈출정도를 가장 잘 보여주며 수술로 인한 육아종을 간별 해주어 재수술시 도움을 준다. 섬유륜의 파열여부와 압박성 병변여부를 선명하게 나타낼 뿐만 아니라 수술후 재발된 추간반 탈출과 반흔을 구별하는데 CT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척추강 조영술 : MRI 시행으로 유용성이 떨어지나 신경근 압박을 보여준다
추간반 조영술: 미세한 탈출을 잘 보여주며 다발성 추간반 탈출시 증상을 일으킨 추간반 탈출을 찾는데 유용하다.
7. 치료
1) 보존적 요법 ( 약 90% 환자에게 실시)
보존적 요법으로 추간판에 가해지는 중력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침상안정, 압박된
섬유륜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추간공을 넓혀주기 위한 견인, 근육의 통증과 경직을 감소
시키기 위한 물리치료 및 근력강화 운동을 시행한다.
① 침상안정
② 골반견인
③ 온열요법
④ 가벼운 침상운동
⑤ 운동 요법: 절대적인 침상 안정이 지난 다음, 통증이 이완되자 마다 빨리 시작한다
⑥ 보조기 : 척추운동을 제거하고 비정상적인 자세를 교정하여 요추부위의 기계적 자극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보조기의 장점은 보다 많은 운동제한이 가능하고 요추부 자세조절이 용이하며 측방 및 회전운동 제한도 가능하다
기능의 원리는 한 개의 압점과 적어도 두 개의 반대되는 압점이 있어야 한다는 3일점의 원리이다
2) 수술요법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연령, 임상경과, 신경학적 소견 및 영상 진단소견등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보존요법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때 견딜수 없는 통증이 지속 될때, 신경마비증상이 있을때, 배뇨장애를 동반하는 급성 마미총 증후군이 나타날 때 적용된다.
① 척추 디스크
- 요추후궁절제술 및 추간반 절제술
- 화학적 용해술
- 경피적 수핵 제거술
- 내시경적 수행제거술
8. 척추 수술 후 환자간호
① 일반적 사정 - 활력징후 사정, 신경학적 징후, 상처부위, 통증양상
② 자세 - 단단하고 편편한 침상, 높지 않은 베개, 5~10° head up, 무릎밑에 베개
③ 자세변경 - 처음 48시간동안은 통나무 굴리기 방법을 사용 2시간마다.
④ 순환 호흡 - 심부정맥 혈전증 방지위해 탄력 스타킹 착용
⑤ 방광과 장기능 - 배뇨시간, 배뇨량 기록, 방광 팽만을 촉지, 복부팽만 관찰
⑥ 동통, 불안감- 요추수술시 등하부, 복부 대퇴부 동통과 근육경련 호소
⑦ 운동, 재활 - 전적으로 의사처방에 의한다
: 단순 요추 간판 탈출증 제한적 후궁 절제술은 수술후 1~3일이 지나면 침상에서 내려와 걷도록 한다. 허리를 고정해 줄수 있는 콜셋을 사용한다
환자는 head up 10° 정도가 등의 긴장을 줄일수 있는 좋은 자세이다
⑧ 척추 고정술
⑨ 수술 후 가능한 합병증- 근육경련, 마비성 장, 요정체, 뇌척수 누공, 수술부위 혈종
* 수술후 주의사항
침대는 단단한 침요 사용
무릎 밑에 부드러운 베개를 대고 낮은 베개를 머리 목 어깨 밑에 댄다
통나무 굴리듯이 하여 양쪽으로 자세를 바꾼다. 옆으로 누울 때 다리 사이에 베개를 대고 머리가 어깨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베개로 지지한다
엎드린 자세나 굴곡 상태인 자세를 피하고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일어 날 때 물건을 들때 바람직한 자세를 유지하며 보조기를 꼭 착용하고 움직이도록 한다
아침과 취침 시간에 등을 부드럽게 맛사지 한다
밤에 잠이 오지 않을때 더운 우유와 함께 수면제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더운물 목욕을 자주한다 - 목욕은 퇴원 1주일부터 시작 - S/O 후 1주일
보조기의 착용은 1~3개월 하도록 한다.
안정기간은 1개월간 하고 일상 생활은 1개월부터 할수 있다
양질의 단백질과 칼
1. 형태
① disc protrusion - 얇아지고 약해진 추간반 섬유륜을 밀고 나온상태
② disc prolapse - 파열되고 찢어진 섬유륜을 통해 수핵이 탈출되어 후종인대 밑에 있거 나 후종인대를 뚫고 완전히 떨어져 나온 상태
2. 원인 및 빈도
추간원판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정상적인 노화과정으로 인한 추간판 퇴행이다.
추간원판 탈출의 1/2은 갑작스런 움직임, 부적절한 움직임으로 인한 손상이다.
남성이 여성보다 더 자주 추간원판 질환이 생기고 전 추간원판 탈출의 90~95%가
제4~제5요추 사이 제 5요추~제1천추 사이에서 발생한다.
비만도 원인이 될수 있다. ⇒
( 허리 디스크 환자 중 4.4%가 비만임)
3. 병태생리 및 임상증상
수핵이 protrusion이 척추관의 중앙부로 빠져 나오면 요통을 일으키고 외측으로 나오면 좌골신경통을 일으킨다.
30세 이후, 정상적인 노화과정은 추간판의 섬유륜과 추체를 지지하는 횡인대에서 퇴행성적 변화를 일으킨다. 즉 추간원판이 닳거나 찢어지면 자발적인 추간원판의 파열을 유발하고 약해진 부위로 수핵이 탈출 된다.
파열된 추간원판과 관련된 가장 흔한 증상은 통증이다. 통증은 예리하며 하나의 신경을 따라 일어 난다. 예를들어 환자는 허리에서 시작하여 엉덩이로 내려가고 넓적다리 바깥쪽으로 내려와 무릎에서 엄지발가락으로 전달되는 통증을 호소한다. 이는 제 4요추와 제 5요추 사이의 추간판이 파열되어 신경압박이 일어난 것이다. 통증은 기침이나 재채기 같은 척수경막내 압력을 증가시키거나 구부리는 것 같은 등에 긴장을 일으키는 행동들과 관련이 있다. 종종 증상은 손상 당시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척추근의 경련으로 후에 발현된다.
배뇨장애 - 급성 마미 증후군
6. 진단
① 병력 및 신경학적 검사
- 증상 및 징후
② 감별진단 - 추간반 변성이나 손상과 관계
있는 질환
하지 혈류 장해에 의한 통증
fecet syndrome
pseudospondlyolisthesis
척수 종양
고관절 질환
③ 방사선 소견
요추 단순 X 선 소견 : 특별한 소견을 보이지 않을수 있으며 요추의 정상적 곡선이 소실되 어 직선화 현상을 나타내거나 추간반 간격이 좁아질수 있음
요추 CT : 추간반 탈출 뿐만 아니라 골극 형성과 관절면 비후등 요추골의 변화를 잘 보여줌
요추 MRI : 추간반의 변성과 탈출 방향, 탈출정도를 가장 잘 보여주며 수술로 인한 육아종을 간별 해주어 재수술시 도움을 준다. 섬유륜의 파열여부와 압박성 병변여부를 선명하게 나타낼 뿐만 아니라 수술후 재발된 추간반 탈출과 반흔을 구별하는데 CT보다 우수한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척추강 조영술 : MRI 시행으로 유용성이 떨어지나 신경근 압박을 보여준다
추간반 조영술: 미세한 탈출을 잘 보여주며 다발성 추간반 탈출시 증상을 일으킨 추간반 탈출을 찾는데 유용하다.
7. 치료
1) 보존적 요법 ( 약 90% 환자에게 실시)
보존적 요법으로 추간판에 가해지는 중력을 줄이거나 제거하기 위한 침상안정, 압박된
섬유륜의 압력을 감소시키고 추간공을 넓혀주기 위한 견인, 근육의 통증과 경직을 감소
시키기 위한 물리치료 및 근력강화 운동을 시행한다.
① 침상안정
② 골반견인
③ 온열요법
④ 가벼운 침상운동
⑤ 운동 요법: 절대적인 침상 안정이 지난 다음, 통증이 이완되자 마다 빨리 시작한다
⑥ 보조기 : 척추운동을 제거하고 비정상적인 자세를 교정하여 요추부위의 기계적 자극을 감소시키고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한다. 보조기의 장점은 보다 많은 운동제한이 가능하고 요추부 자세조절이 용이하며 측방 및 회전운동 제한도 가능하다
기능의 원리는 한 개의 압점과 적어도 두 개의 반대되는 압점이 있어야 한다는 3일점의 원리이다
2) 수술요법
수술 방법을 선택하는데 있어서는 연령, 임상경과, 신경학적 소견 및 영상 진단소견등을 고려해야 한다.
수술은 보존요법으로 증상이 완화되지
않을때 견딜수 없는 통증이 지속 될때, 신경마비증상이 있을때, 배뇨장애를 동반하는 급성 마미총 증후군이 나타날 때 적용된다.
① 척추 디스크
- 요추후궁절제술 및 추간반 절제술
- 화학적 용해술
- 경피적 수핵 제거술
- 내시경적 수행제거술
8. 척추 수술 후 환자간호
① 일반적 사정 - 활력징후 사정, 신경학적 징후, 상처부위, 통증양상
② 자세 - 단단하고 편편한 침상, 높지 않은 베개, 5~10° head up, 무릎밑에 베개
③ 자세변경 - 처음 48시간동안은 통나무 굴리기 방법을 사용 2시간마다.
④ 순환 호흡 - 심부정맥 혈전증 방지위해 탄력 스타킹 착용
⑤ 방광과 장기능 - 배뇨시간, 배뇨량 기록, 방광 팽만을 촉지, 복부팽만 관찰
⑥ 동통, 불안감- 요추수술시 등하부, 복부 대퇴부 동통과 근육경련 호소
⑦ 운동, 재활 - 전적으로 의사처방에 의한다
: 단순 요추 간판 탈출증 제한적 후궁 절제술은 수술후 1~3일이 지나면 침상에서 내려와 걷도록 한다. 허리를 고정해 줄수 있는 콜셋을 사용한다
환자는 head up 10° 정도가 등의 긴장을 줄일수 있는 좋은 자세이다
⑧ 척추 고정술
⑨ 수술 후 가능한 합병증- 근육경련, 마비성 장, 요정체, 뇌척수 누공, 수술부위 혈종
* 수술후 주의사항
침대는 단단한 침요 사용
무릎 밑에 부드러운 베개를 대고 낮은 베개를 머리 목 어깨 밑에 댄다
통나무 굴리듯이 하여 양쪽으로 자세를 바꾼다. 옆으로 누울 때 다리 사이에 베개를 대고 머리가 어깨 밑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베개로 지지한다
엎드린 자세나 굴곡 상태인 자세를 피하고 서 있거나 앉아있거나 일어 날 때 물건을 들때 바람직한 자세를 유지하며 보조기를 꼭 착용하고 움직이도록 한다
아침과 취침 시간에 등을 부드럽게 맛사지 한다
밤에 잠이 오지 않을때 더운 우유와 함께 수면제의 도움을 받도록 한다
더운물 목욕을 자주한다 - 목욕은 퇴원 1주일부터 시작 - S/O 후 1주일
보조기의 착용은 1~3개월 하도록 한다.
안정기간은 1개월간 하고 일상 생활은 1개월부터 할수 있다
양질의 단백질과 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