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미치므로 교사는 학생들의 모델로서의 역할에 항상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김계현, 2000, 263p) 교사는 교직을 통하여 부를 모을 수도 없고, 요즘에는 교사에 대한 사회적 존경심도 많이 줄어들고 있다. 그러나 실직자의 수가 늘고 사회구조가 불안정해져 많은 사람들이 교사를 하기 위해 애를 쓴다. 단지 교사라는 직업의 안정성 때문에 교사의 길을 선택한다면 학생들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도 불행해 질 것이다. 훌륭한 교사로서의 조건은 위에 언급한 것 이외에도 셀 수 없이 많다. 그러나 나는 이 모든 것을 갖춘 완벽한 교사보다는 조건 하나 하나를 갖춰가기 위해 학생과 함께 노력하는 교사가 가장 ‘좋은’교사라 생각한다.
<참고문헌>
Alexander Sutherland Neill(1994). 섬머힐-진보적인 자녀교육방법-. 배재서관
이경화 외(2004).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정호표(2002). 新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Rober E. Slavin(2004). 교육심리학. 시그마프레스
김계현 외(2000).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오욱환(2003).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교육과학사
신득렬(2003). 현대교육철학. 학지사
<참고문헌>
Alexander Sutherland Neill(1994). 섬머힐-진보적인 자녀교육방법-. 배재서관
이경화 외(2004). 효과적인 교수-학습을 위한 교육심리학. 교육과학사
정호표(2002). 新교육학개론. 교육과학사
Rober E. Slavin(2004). 교육심리학. 시그마프레스
김계현 외(2000).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학지사
오욱환(2003). 교육사회학의 이해와 탐구. 교육과학사
신득렬(2003). 현대교육철학. 학지사
추천자료
[교육학개론] 블룸(B. S. Bloom)의 완전학습을 위한 교수전략
[교육학개론] 잠재적 교육과정(manifest curriculum)의 이해
[교육학개론] 현대 교육사조 실존주의 교육 - 실존주의의 철학적 배경, 실존주의의 인간관, ...
[교육학개론] 캐롤의 학교학습모형의 이해(학습자의 적성, 학습자의 수업 이해력, 학습자의 ...
[교육학개론] 교육의 사회적 기능(학교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교육의 사회적 기능을 ...
[교육학개론] 중세(中世)시대 서양교육의 이해 - 기독교 교육, 가사교육, 대학교육과 시민교육
[교육학개론] 민주적 교육행정의 원리 - 법제면에서 본 기본원리 및 운영면에서 본 기본원리,...
[교육학개론] 좋은 평가도구를 판단하는 기준인 신뢰도(reliability), 타당도, 객관도, 신용...
[교육학개론] 수업, 교수, 학습, 교수(teaching) · 학습에 대한 개념 규명 및 교수와 학습의 ...
[교육학개론] 사회계층과 교육(사회계층의 개념, 사회계층(社會階層)의 결정요인, 사회계층 ...
[교육학개론] 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한 기본 전제(인간에 대한 신념(信念) , 변화에 대한 신...
[교육학개론] 평생교육(平生敎育)의 이해(평생교육의 시대적 요청 및 등장배경을 정리한 후, ...
[교육학개론] 교육평가의 실제 - 인지적 영역의 행동평가(논문형 검사, 객관형 검사)와 정의...
[교육학개론] 교사의 자질과 역할 (좋은 교사는 어떤 자질(資質)을 구비해야 며, 교사가 수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