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인도의 특징
Ⅱ. 인도의 원시근본불교시대
Ⅲ. 인도 불교의 흥성
Ⅳ. 인도 불교의 쇠퇴
참고문헌
Ⅱ. 인도의 원시근본불교시대
Ⅲ. 인도 불교의 흥성
Ⅳ. 인도 불교의 쇠퇴
참고문헌
본문내용
탈하게 되었으니, 그들은 일반 백성들의 언어인 팔리어를 버리고 지식층의 언어인 산스크리트어를 취했다. 한편 당시 불교는 날란다와 같은 대학을 중심으로 형이상학, 논리학, 문법학 등 불교 이외의 인도고전문화 일반들이 교수되고 있었고, 이러한 \'지식\'위주의 교육은 일종의 대학의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것은 당연히 불교 신도들의 신앙심을 북돋우며 재가신자들의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러 삶의 문제를 감싸주는 측면은 소홀히 하게 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승려들은 대개 대사원을 중심으로 한 교학 연구에 치중하고 있었으므로 대중과의 연결지점은 약화되었고, 불교는 대중과 유리되어 민중 속에서의 지지기반을 상실하였다. 그러므로 대사원들의 파괴는 불교세력의 결정적 제거를 의미 하에 된 것이다.
이것과 연결하여 불교 쇠퇴 이유로 또 하나 들 수 있는 것은 불교와 힌두교가 점차 구별하기 힘들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불교는 인도의 전통적 종교 관념인 윤회와 업사상을 받아들였으며, 힌두교와 가장 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불교가 무신론이며 카스트제도를 배척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대승불교의 출현은 결과적으로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게 된 계기를 만들었고, 동시에 그러한 종교적 변화는 브라만교가 부흥하고 있는 증거이기도 하였다. 석가를 사실상 신격화시킨 대승불교는 힌두교와 너무 공통점이 많아서 전문가마저도 뚜렷이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되어갔다. 또 카스트제도를 배격하고 만민평등을 외치는 불교의 이론이 하층민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는 점이 외국인으로서는 납득이 가지 않는 일이다. 그러나 인도인의 마음속에는 윤회와 업사상이 평등이론을 압도하고 있었다. 현세의 처지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면서 과분한 생각 없이 성실하게 살아갈 때 내세에서 더 좋은 상태로 태어날 수 있다는 업사상이 카스트제도를 철학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었으므로 인도인들은 불교의 혁명적인 평등이론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계급제도를 극복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 류경희(2003), 인도신화의 계보, 살림
○ 불교사의 전개, 인도에서 중국까지(1992), 불교시대사
○ 임혜봉(1994), 한권으로 보는 불교사 100장면, 가람기획
○ 자와할랄 네루, 김종철 역(1991), 인도의 발견, 한길사
○ 찰스 프레비쉬, 박용길 역, 불교 그 현대적인 조명, 고려원
○ 히라카와 아키라, 이호근 역(2004), 인도 불교의 역사, 민족사
○ 히로사찌야 저, 권영택 역(1990), 인도불교사상사, 해인행
이것과 연결하여 불교 쇠퇴 이유로 또 하나 들 수 있는 것은 불교와 힌두교가 점차 구별하기 힘들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불교는 인도의 전통적 종교 관념인 윤회와 업사상을 받아들였으며, 힌두교와 가장 두드러지게 다른 점은 불교가 무신론이며 카스트제도를 배척하고 있다는 점이었다. 대승불교의 출현은 결과적으로 인도에서 불교가 쇠퇴하게 된 계기를 만들었고, 동시에 그러한 종교적 변화는 브라만교가 부흥하고 있는 증거이기도 하였다. 석가를 사실상 신격화시킨 대승불교는 힌두교와 너무 공통점이 많아서 전문가마저도 뚜렷이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되어갔다. 또 카스트제도를 배격하고 만민평등을 외치는 불교의 이론이 하층민의 마음을 사로잡지 못했다는 점이 외국인으로서는 납득이 가지 않는 일이다. 그러나 인도인의 마음속에는 윤회와 업사상이 평등이론을 압도하고 있었다. 현세의 처지를 숙명으로 받아들이면서 과분한 생각 없이 성실하게 살아갈 때 내세에서 더 좋은 상태로 태어날 수 있다는 업사상이 카스트제도를 철학적으로 뒷받침하고 있었으므로 인도인들은 불교의 혁명적인 평등이론에도 불구하고 엄격한 계급제도를 극복하지 못했다.
참고문헌
○ 류경희(2003), 인도신화의 계보, 살림
○ 불교사의 전개, 인도에서 중국까지(1992), 불교시대사
○ 임혜봉(1994), 한권으로 보는 불교사 100장면, 가람기획
○ 자와할랄 네루, 김종철 역(1991), 인도의 발견, 한길사
○ 찰스 프레비쉬, 박용길 역, 불교 그 현대적인 조명, 고려원
○ 히라카와 아키라, 이호근 역(2004), 인도 불교의 역사, 민족사
○ 히로사찌야 저, 권영택 역(1990), 인도불교사상사, 해인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