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보호자 동행 시 휠체어를 이용해 안전하게 화장실까지 이동할 수 있다.
5일 이내로 대상자는 침상에서 일어날 때 침상난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침상난간을 올려 놓는 것을 습관화한다.
④대상자는 매일 저녁 취침 전 보호자와 함께 화장실을 방문하여 밤중 이동을 최소화한다.
건강
사정
날 짜
주관적 자료
“왼쪽 엉덩이가 아파요”
“수술 한 곳이 너무 아파”
객관적 자료
NRS척도 6점임
찡그린 표정과 함께 무기력한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외과적 수술과 관련 된 급성 통증
간호목표
단기 : 2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통증 척도가 2점까지 내려간다.
장기 : 퇴원 시까지 통증 점수 2점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통증을 시간별로 측정한다.
통증 발생 부위를 확인한다.
지시와 시간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냉요법을 실시한다.
하루에 세 번씩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기본적인 정보와 효과적인 중재 모니터를 제공한다.
기본적인 정보와 효과적인 중재 모니터를 제공한다.
수술 고통을 경감시키고 근육 긴장도와 경련을 감소
시킨다.
수술 부위의 부종과 출혈 감소, 혈관 수축을 증진 시킨다.
활력징후는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 자료이다.
간호수행
통증을 시간별로 측정했다
통증 발생 부위를 확인했다.
지시와 시간에 따른 약물을 투여했다.
날짜
시간
통증위치
평가도구
통증강도
통증양상
빈도 및 기간
중재방법
13 : 00
femur, Lt
NRS
6
쑤심
지속적
iV PCA 적용 함
15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07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5mcg 부착
1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07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07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냉요법을 실시했다.
→ op site ice bag을 적용 했다.
하루에 세 번씩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날짜
시간
혈압
체온
맥박
호흡
날짜
시간
혈압
체온
맥박
호흡
07:00
137/67
36.8
63
20
07:00
138/70
36.4
64
20
16:00
118/60
36.4
63
20
16:00
134/71
36.8
67
20
21:00
129/63
37.1
74
20
21:00
145/75
36.9
64
20
07:00
124/64
36.8
69
20
07:00
137/66
36.9
64
20
16:00
133/74
36.8
71
20
16:00
123/66
36.8
68
20
21:00
144/69
37.0
82
20
21:00
123/63
36.5
62
20
간호평가
단기 : 통증 6점 이후 2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통증 척도가 2점까지 내려갔다.
장기 : 현재까지 계속 2점 유지중이다.
건강
사정
날 짜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ESR과 CRP의 검사결과가 정상수치 보다 높다.
간호진단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 퇴원 시까지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절개 부위의 피부를 사정한다.
간호행위 전 손 위생을 실시한다.
지시에 따라 드레싱을 교체한다.
지시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체온을 측정하고 오한의 유무를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치료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감염의 초기
징후를 정확하게 한다.
교차오염의 위험을 간소시킨다.
오염과 감염의 위험성을 줄인다.
감염을 예방한다. 감염 시에는 수주에 걸쳐서 항생 제를 투여하는 중재가 요구된다.
오한이 있을 때에는 대개 패혈증, 겋수염, 조직
괴사나 삽입의 실패 등 더욱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재가 요구된다.
간호수행
절개 부위의 피부를 사정했다.
→ 절개부위 색, 온도, 상태, 홍반 등을 관찰 했다.날짜
색
온도
상태
홍반
붉은 색
뜨거움
깨끗함
없음
붉은 색
보통
깨끗함
없움
약간 붉은 색
보통
깨끗함
없음
간호행위 전 손 위생을 실시했다.
→ 간호행위 전엔 항상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 한 후 대상자와 접촉 전 손 소독제로 한 번 더 손 위생을 실시했다.
지시에 따라 드레싱을 교체했다.
→ 3일에 한번 오전 중에 무균술을 사용하여 드레싱을 교체 하였다.
(4/1, 4/4, 4/7에 외과의사 김석의 지시에 따라 드레싱 교체)
지시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했다.
→ IV로 항생제를 투여했다.
체온을 측정하고 오한의 유무를 사정했다.
날짜
시간
체온
날짜
시간
체온
07:00
36.8
07:00
36.4
16:00
36.4
16:00
36.8
21:00
37.1
21:00
36.9
07:00
36.8
07:00
36.9
16:00
36.8
16:00
36.8
21:00
37.0
21:00
36.5
간호평가
장기 : 대상자가 현재까지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경험하지 않았다.
<참고 문헌>
김금순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제 8판)1.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제 8판)2. 수문사
박은영 외 공저(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5일 이내로 대상자는 침상에서 일어날 때 침상난간을 사용할 수 있으며, 침상난간을 올려 놓는 것을 습관화한다.
④대상자는 매일 저녁 취침 전 보호자와 함께 화장실을 방문하여 밤중 이동을 최소화한다.
건강
사정
날 짜
주관적 자료
“왼쪽 엉덩이가 아파요”
“수술 한 곳이 너무 아파”
객관적 자료
NRS척도 6점임
찡그린 표정과 함께 무기력한 모습을 보임
간호진단
외과적 수술과 관련 된 급성 통증
간호목표
단기 : 2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통증 척도가 2점까지 내려간다.
장기 : 퇴원 시까지 통증 점수 2점을 유지한다.
간호계획
통증을 시간별로 측정한다.
통증 발생 부위를 확인한다.
지시와 시간에 따른 약물을 투여한다.
냉요법을 실시한다.
하루에 세 번씩 활력징후를 측정한다.
이론적 근거
기본적인 정보와 효과적인 중재 모니터를 제공한다.
기본적인 정보와 효과적인 중재 모니터를 제공한다.
수술 고통을 경감시키고 근육 긴장도와 경련을 감소
시킨다.
수술 부위의 부종과 출혈 감소, 혈관 수축을 증진 시킨다.
활력징후는 신체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본적 자료이다.
간호수행
통증을 시간별로 측정했다
통증 발생 부위를 확인했다.
지시와 시간에 따른 약물을 투여했다.
날짜
시간
통증위치
평가도구
통증강도
통증양상
빈도 및 기간
중재방법
13 : 00
femur, Lt
NRS
6
쑤심
지속적
iV PCA 적용 함
15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07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5mcg 부착
1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iV PCA, 저니스타
07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07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18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23 : 00
Lt, hip
NRS
2
쑤심
간헐적
노스판 부착중, 저니스타
냉요법을 실시했다.
→ op site ice bag을 적용 했다.
하루에 세 번씩 활력징후를 측정했다.
날짜
시간
혈압
체온
맥박
호흡
날짜
시간
혈압
체온
맥박
호흡
07:00
137/67
36.8
63
20
07:00
138/70
36.4
64
20
16:00
118/60
36.4
63
20
16:00
134/71
36.8
67
20
21:00
129/63
37.1
74
20
21:00
145/75
36.9
64
20
07:00
124/64
36.8
69
20
07:00
137/66
36.9
64
20
16:00
133/74
36.8
71
20
16:00
123/66
36.8
68
20
21:00
144/69
37.0
82
20
21:00
123/63
36.5
62
20
간호평가
단기 : 통증 6점 이후 2시간 이내에 대상자의 통증 척도가 2점까지 내려갔다.
장기 : 현재까지 계속 2점 유지중이다.
건강
사정
날 짜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ESR과 CRP의 검사결과가 정상수치 보다 높다.
간호진단
외과적 수술과 관련된 감염 위험성
간호목표
장기 : 퇴원 시까지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경험하지 않는다.
간호계획
절개 부위의 피부를 사정한다.
간호행위 전 손 위생을 실시한다.
지시에 따라 드레싱을 교체한다.
지시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한다.
체온을 측정하고 오한의 유무를 사정한다.
이론적 근거
치료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감염의 초기
징후를 정확하게 한다.
교차오염의 위험을 간소시킨다.
오염과 감염의 위험성을 줄인다.
감염을 예방한다. 감염 시에는 수주에 걸쳐서 항생 제를 투여하는 중재가 요구된다.
오한이 있을 때에는 대개 패혈증, 겋수염, 조직
괴사나 삽입의 실패 등 더욱 심각한 합병증을
예방하기 위해 중재가 요구된다.
간호수행
절개 부위의 피부를 사정했다.
→ 절개부위 색, 온도, 상태, 홍반 등을 관찰 했다.날짜
색
온도
상태
홍반
붉은 색
뜨거움
깨끗함
없음
붉은 색
보통
깨끗함
없움
약간 붉은 색
보통
깨끗함
없음
간호행위 전 손 위생을 실시했다.
→ 간호행위 전엔 항상 물과 비누로 손 위생을 실시 한 후 대상자와 접촉 전 손 소독제로 한 번 더 손 위생을 실시했다.
지시에 따라 드레싱을 교체했다.
→ 3일에 한번 오전 중에 무균술을 사용하여 드레싱을 교체 하였다.
(4/1, 4/4, 4/7에 외과의사 김석의 지시에 따라 드레싱 교체)
지시에 따라 항생제를 투여했다.
→ IV로 항생제를 투여했다.
체온을 측정하고 오한의 유무를 사정했다.
날짜
시간
체온
날짜
시간
체온
07:00
36.8
07:00
36.4
16:00
36.4
16:00
36.8
21:00
37.1
21:00
36.9
07:00
36.8
07:00
36.9
16:00
36.8
16:00
36.8
21:00
37.0
21:00
36.5
간호평가
장기 : 대상자가 현재까지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경험하지 않았다.
<참고 문헌>
김금순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제 8판)1. 수문사
김금순 외 공저(2018). 성인간호학(제 8판)2. 수문사
박은영 외 공저(2015). 간호진단 중재 및 결과 가이드. 현문사
차영남 외 공저(2018).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강미정 외 공저(2020). 간호과정 실무지침.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추천자료
정형외과실습 대퇴경부 대퇴골 골절 케이스 스터디 femur neck fx fracture case study
(A+) 대퇴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성인간호학실습] [A+받은과제] Fracture of femur 대퇴골절 CASESTUDY(케이스스터디)
정형외과 병동 케이스 스터디.오른쪽대퇴부경부골절.THRA<인공고관절대치술>
대퇴골절 컨퍼런스
대퇴 경부 골절
대퇴골두골절 Femoral head fx 케이스 스터디 A+
[A+] 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Fracture of base of neck of femur 대퇴골 경부 바닥의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8개 간호중재
수술실 케이스 스터디- 수술 중 간호 및대퇴골절의 수술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