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외환위기의 경과
Ⅱ. 외환위기 10년의
Ⅲ. 외환위기 10년의 종합평가
Ⅳ. 새로운 10년을 위한 과제
Ⅱ. 외환위기 10년의
Ⅲ. 외환위기 10년의 종합평가
Ⅳ. 새로운 10년을 위한 과제
본문내용
락했으나 말레이시아의 인도네시아는 각각 3.8%p, 2.5%p 하락
- 외환위기가 없었던 아시아 국가와 비교할 때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중국과 인도에 비해서 는 낮지만 싱가포르, 대만 등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은 아님
외환위기 전후 동아시아 국가간 성장률 비교
(단위: %, %p)
구분
1991~1997년
1999~2006년
증감
위기발생國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9.2
6.9
6.9
5.4
4.4
4.9
-3.8
-2.5
-2.0
한국
7.2
5.7
-1.5
非 위기발생國
싱가포르
대만
중국
인도
일본
8.6
7.0
11.5
5.4
1.7
5.6
4.0
9.4
6.8
1.4
-3.0
-3.0
-2.1
1.3
-0.3
자료: IMF 『World Economic Out look DB』
2. 한국경제의 좌표분석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좌표를 ‘양적 성장 , ‘질적 성장’, ‘안정성’ 등 세 가지 기준에서 평가
- 과거의 성장패턴이던 양적 성장의 변화 여부, 글로벌 스탠더드 도입에 따른 질적 성장을 측정하고 위기의 재발 가능성을 안전성 기분으로 측정
한국경제의 좌표 분석 방법
▷ 위의 세 가지 기준과 관련하여 거기경제, 기업 및 금융 등 각 부문별로 지표들을 선 정. 해당 항목에 해당하는 각 지표들을 표준화한 후 각 표준화된 수치들을 결합하여 항목별 지수를 산출. 각 표준화 변수의 결합 시 가중치는 없이 단순평균
▷ 분석기간 : 외환위기 이전은 1991~1997년으로 설정 외환위기 이후는 구조개혁 전반 기인 1999~2002년(1998년은 제외)과 구조개혁 후반기인 2003~2006년으로 설정
▷ 항목별 구성 지표
√양적 성장 : ①노동투입, ②자본투입, ③일반은행 1인당 금융자산, ④전 산업 매출액 증가율, ⑤전 산업 총자산 증가율
√질적 성장 : ①노동생산성, ②총 자산 순 이익률(ROA), ③전 산업 매출액 영업 및 경 상 이익률
√안전성 : ①외환보유고, ②가계, 정부 및 기업 부채, ③BIS 자기자본비율, ④소비자물 가 상승률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좌표
항목
1991~1997년
1999~2002년
2003~2006년
양적성장
1.50
0.69
0.45
질적성장
1.20
0.83
1.42
안정성
0.82
1.23
1.27
한국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양적 성장’의 약화
- 2003~2006년 양적 성장指數는 0.45로 1991~1997년 대비 1.05p 하락
- 기업의 투자부진에 따른 자본축척 감소, 노동투입 둔화, 매출증가세 약화가 하락의 주요 원인
노동투입 증가율 : 1.9%(1991~1997년) → 0.5%(2003~2006년)
질적 성장지수는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0.22p(1.20 → 1.42) 소폭 개선
- 부실기업 정리와 수익성 위주의 경영 등으로 기업 및 금융기관의 실적(매출액 경상이익 률, 총자산 순 이익률)이 개선
- 그러나 노동생산성의 증가세 둔화, 새로운 시스템의 정착 미흡 등이 질적 성장의 확대를 제약
노동생산성 증가율 : 4.8%(1991~1997년) → 3.1%(2003~2006년)
안전성 지수의 경우 외환위기 초반에는 빠르게 상승(0.82 → 1.23)했으나 후반기(1.23 → 1.27)에는 답보
- 개혁 전반기에는 기업의 건전성 제고, 외환보유고 확대 등에 힘입어 경제가 급속히 안정
기업의 부채 비율 : 332.9%(1991~1997년 → 199.1%(1999~2002년)
- 개혁 후반기에는 가계 및 정부의 부채부담이 확대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 : 54.0%(1991~1997년) → 75.5%(2003~2006년)
Ⅳ. 새로운 10년을 위한 과제
새로운 10년을 준비 : 수비에서 공격으로
한국경제는 지난 10년간 구조개혁이라는 成長痛을 극복
- 경제패러다임의 무게중심이 성장우선주의에서 건전성으로 이동하고 대내외 경쟁을 통해 경제체질이 개선
- 한계기업들의 정리 및 경쟁력의 강화 과정에서 IT등 산업구도가 고도화되고 글로벌화도 다소 진전된 것으로 평가
한국 IT시장은 세계적인 신제품의 테스트베드로 부상
-특히 지난 5년간은 수출증가세가 지속적으로 두 자리 수를 기록하는 등 한국기업의 경쟁 력을 확인
최근 서브 프라임 사태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의 상승세가 지속될 정도로 경제의 내성이 강화
이제 한국경제는 외환위기의 상흔에서 벗어나 새로운 10년을 준비하여 한 단계 도약할 시점
- 중국 등 아시아의 급성장으로 새로운 ‘아시아시대’가 열리고 있어 그 중심에 자리한 한국에게는 새로운 기회
성장잠재력의 확충
한국경제가 재도역하기 위해서는 ‘量’과 ‘質’이 균형을 이루는 성장을 모색할 필요
- 지난 10년간 한국경제는 보수적 기업경영 등으로 양적 성장(요소투입 확대에 의한 성장) 이 과도하게 위축
1998~2007년 연평균 투자증가율은 1.6%로 1998~1997년(10.7%)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
획기적인 규제완화 등을 통해 투자를 활성화
- 한국의 규제 수준은 조사 대상 175개국 중 23위로 싱가포르(1위), 홍콩(5위), 태국(18 위)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높은 수준
- 한국의 강점과 미래 유망성 등을 고려해 新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고용유발효과가 큰 서 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
금융, 통신, 사업서비스 등 생산자 서비스산업의 대형화, 전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을 배양
성과가 미흡했던 부문은 지속적으로 혁신
노사관계가 법과 원칙의 테두리에서 이루어지고 노동부문의 유연성이 강화될 필요
- 불법 노사분규에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여 합리적인 노사 관계를 정착
- 유연화를 기치로 내세웠던 노동부문은 구조개혁의 성과가 취약해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
한국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혁신을 모색할 필요
- 중소기업의 제반 상황을 제대로 판단할 수 있는 ‘Relation Manager'를 양성하여 재무 개선지원, 경영자문 등을 수행
- 유망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자생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원정책을 강화
기술제휴나 해외진출의 적극 지원 등을 통해 세계적인 기술경쟁이 가능한 기업군으로 육성
산학클러스터 뿐만 아니라 대 중소기업간 클러스터를 육성하여 중소기업의 역량을 강 화
- 외환위기가 없었던 아시아 국가와 비교할 때 한국의 경제성장률은 중국과 인도에 비해서 는 낮지만 싱가포르, 대만 등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은 아님
외환위기 전후 동아시아 국가간 성장률 비교
(단위: %, %p)
구분
1991~1997년
1999~2006년
증감
위기발생國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태국
9.2
6.9
6.9
5.4
4.4
4.9
-3.8
-2.5
-2.0
한국
7.2
5.7
-1.5
非 위기발생國
싱가포르
대만
중국
인도
일본
8.6
7.0
11.5
5.4
1.7
5.6
4.0
9.4
6.8
1.4
-3.0
-3.0
-2.1
1.3
-0.3
자료: IMF 『World Economic Out look DB』
2. 한국경제의 좌표분석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좌표를 ‘양적 성장 , ‘질적 성장’, ‘안정성’ 등 세 가지 기준에서 평가
- 과거의 성장패턴이던 양적 성장의 변화 여부, 글로벌 스탠더드 도입에 따른 질적 성장을 측정하고 위기의 재발 가능성을 안전성 기분으로 측정
한국경제의 좌표 분석 방법
▷ 위의 세 가지 기준과 관련하여 거기경제, 기업 및 금융 등 각 부문별로 지표들을 선 정. 해당 항목에 해당하는 각 지표들을 표준화한 후 각 표준화된 수치들을 결합하여 항목별 지수를 산출. 각 표준화 변수의 결합 시 가중치는 없이 단순평균
▷ 분석기간 : 외환위기 이전은 1991~1997년으로 설정 외환위기 이후는 구조개혁 전반 기인 1999~2002년(1998년은 제외)과 구조개혁 후반기인 2003~2006년으로 설정
▷ 항목별 구성 지표
√양적 성장 : ①노동투입, ②자본투입, ③일반은행 1인당 금융자산, ④전 산업 매출액 증가율, ⑤전 산업 총자산 증가율
√질적 성장 : ①노동생산성, ②총 자산 순 이익률(ROA), ③전 산업 매출액 영업 및 경 상 이익률
√안전성 : ①외환보유고, ②가계, 정부 및 기업 부채, ③BIS 자기자본비율, ④소비자물 가 상승률
외환위기 이후 한국경제의 좌표
항목
1991~1997년
1999~2002년
2003~2006년
양적성장
1.50
0.69
0.45
질적성장
1.20
0.83
1.42
안정성
0.82
1.23
1.27
한국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양적 성장’의 약화
- 2003~2006년 양적 성장指數는 0.45로 1991~1997년 대비 1.05p 하락
- 기업의 투자부진에 따른 자본축척 감소, 노동투입 둔화, 매출증가세 약화가 하락의 주요 원인
노동투입 증가율 : 1.9%(1991~1997년) → 0.5%(2003~2006년)
질적 성장지수는 외환위기 이전에 비해 0.22p(1.20 → 1.42) 소폭 개선
- 부실기업 정리와 수익성 위주의 경영 등으로 기업 및 금융기관의 실적(매출액 경상이익 률, 총자산 순 이익률)이 개선
- 그러나 노동생산성의 증가세 둔화, 새로운 시스템의 정착 미흡 등이 질적 성장의 확대를 제약
노동생산성 증가율 : 4.8%(1991~1997년) → 3.1%(2003~2006년)
안전성 지수의 경우 외환위기 초반에는 빠르게 상승(0.82 → 1.23)했으나 후반기(1.23 → 1.27)에는 답보
- 개혁 전반기에는 기업의 건전성 제고, 외환보유고 확대 등에 힘입어 경제가 급속히 안정
기업의 부채 비율 : 332.9%(1991~1997년 → 199.1%(1999~2002년)
- 개혁 후반기에는 가계 및 정부의 부채부담이 확대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 : 54.0%(1991~1997년) → 75.5%(2003~2006년)
Ⅳ. 새로운 10년을 위한 과제
새로운 10년을 준비 : 수비에서 공격으로
한국경제는 지난 10년간 구조개혁이라는 成長痛을 극복
- 경제패러다임의 무게중심이 성장우선주의에서 건전성으로 이동하고 대내외 경쟁을 통해 경제체질이 개선
- 한계기업들의 정리 및 경쟁력의 강화 과정에서 IT등 산업구도가 고도화되고 글로벌화도 다소 진전된 것으로 평가
한국 IT시장은 세계적인 신제품의 테스트베드로 부상
-특히 지난 5년간은 수출증가세가 지속적으로 두 자리 수를 기록하는 등 한국기업의 경쟁 력을 확인
최근 서브 프라임 사태에도 불구하고 한국경제의 상승세가 지속될 정도로 경제의 내성이 강화
이제 한국경제는 외환위기의 상흔에서 벗어나 새로운 10년을 준비하여 한 단계 도약할 시점
- 중국 등 아시아의 급성장으로 새로운 ‘아시아시대’가 열리고 있어 그 중심에 자리한 한국에게는 새로운 기회
성장잠재력의 확충
한국경제가 재도역하기 위해서는 ‘量’과 ‘質’이 균형을 이루는 성장을 모색할 필요
- 지난 10년간 한국경제는 보수적 기업경영 등으로 양적 성장(요소투입 확대에 의한 성장) 이 과도하게 위축
1998~2007년 연평균 투자증가율은 1.6%로 1998~1997년(10.7%)에 비해 큰 폭으로 하락
획기적인 규제완화 등을 통해 투자를 활성화
- 한국의 규제 수준은 조사 대상 175개국 중 23위로 싱가포르(1위), 홍콩(5위), 태국(18 위) 등 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높은 수준
- 한국의 강점과 미래 유망성 등을 고려해 新 성장 동력을 발굴하고 고용유발효과가 큰 서 비스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
금융, 통신, 사업서비스 등 생산자 서비스산업의 대형화, 전문화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 을 배양
성과가 미흡했던 부문은 지속적으로 혁신
노사관계가 법과 원칙의 테두리에서 이루어지고 노동부문의 유연성이 강화될 필요
- 불법 노사분규에는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응하여 합리적인 노사 관계를 정착
- 유연화를 기치로 내세웠던 노동부문은 구조개혁의 성과가 취약해 지속적인 보완이 필요
한국경제의 허리 역할을 하는 중소기업에 대한 혁신을 모색할 필요
- 중소기업의 제반 상황을 제대로 판단할 수 있는 ‘Relation Manager'를 양성하여 재무 개선지원, 경영자문 등을 수행
- 유망 중소기업에 대해서는 ‘자생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지원정책을 강화
기술제휴나 해외진출의 적극 지원 등을 통해 세계적인 기술경쟁이 가능한 기업군으로 육성
산학클러스터 뿐만 아니라 대 중소기업간 클러스터를 육성하여 중소기업의 역량을 강 화
추천자료
- 외환위기 극복과관련된 조별토론
- IMF외환위기 이후 성공기업과 실패기업 비교분석
- [IMF 경제위기][IMF 외환위기][IMF 금융위기][국제통화기금][한국경제][경제위기]IMF 경제위...
- [IMF 구제금융][IMF 금융위기][IMF 외환위기]IMF 구제금융의 배경, 원인, 본질, 내용, 정부정...
- [IMF경제위기][외환위기][경제위기][금융위기]IMF 경제위기를 경험한 국가를 통해 본 우리나...
- 대기업집단의 외환위기 이후 부채비율 조정속도와 자금조달 행태변화
- [한국경제][한국경제 세계화][경제][IMF]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의 배경, 대응과 IMF경제위...
- 동아시아 일본의 지역협력형성, IMF경제위기(IMF금융위기, IMF외환위기), 동아시아 일본의 통...
- 아시아산업의 정보화, IMF금융위기(IMF외환위기, IMF경제위기), 아시아산업의 기후변화협약, ...
- [정권교체(정부교체), IMF금융위기(IMF경제위기)]정권교체(정부교체)와 민주화, 정권교체(정...
- 동아시아의 의미, 동아시아의 민주주의, 동아시아의 정세, 동아시아의 산업정책, 동아시아의 ...
- [동아시아][동아시아 구조조정][동아시아 기술협력][동아시아 부패]동아시아 경제성장, 동아...
- [대기업 경영전략][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대기업 경영전략의 IMF경제위기(IMF외환위기, I...
- 한국자본시장,금융시장의 기능 분류,한국자본시장의 금융상품(펀드증권 파생상품),IMF 외환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