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과정] 주요교육철학이론(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의 주요개념과 강조점들을 설명하시오-항존주의개념강조점 본질주의개념강조점 진보주의개념강조점 재건주의개념강조점-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교육과정] 주요교육철학이론(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의 주요개념과 강조점들을 설명하시오-항존주의개념강조점 본질주의개념강조점 진보주의개념강조점 재건주의개념강조점-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항존주의의 주요개념과 강조점
  1) 항존주의의 주요개념
  2) 항존주의의 강조점
 2. 본질주의의 주요개념과 강조점
  1) 본질주의의 주요개념
  2) 본질주의의 강조점
 3. 진보주의의 주요개념과 강조점
  1) 진보주의의 주요개념
  2) 진보주의의 강조점
 4. 재건주의
  1) 재건주의의 주요개념
  2) 재건주의의 강조점
 5.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의 교육관
  1) 항존주의의 교육관
  2) 본질주의의 교육관
  3) 진보주의의 교육관
  4) 재건주의의 교육관
 6.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의 한계와 의의
  1) 항존주의의 한계와 의의
   ① 항존주의의 의의
   ② 항존주의의 한계
  2) 본질주의의 한계와 의의
   ① 본질주의의 의의
   ② 본질주의의 한계
  3) 진보주의의 한계와 의의
   ① 진보주의의 의의
   ② 진보주의의 한계
  4) 재건주의의 한계와 의의
   ① 재건주의의 의의
   ② 재건주의의 한계
 7.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의 비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응교육에 대한 비판
- 문제해결학습을 통한 생활중심교육에 대한 비판
- 성장진보에 관한 낙관주의에 대한 비판
- 소수의 지도성에 대한 소홀, 다수의 협동심에 대한 지나친 강조에 대한 비판
4) 재건주의의 한계와 의의
① 재건주의의 의의
- 급변하는 사회에 적응하는 교육 : 급변하는 문화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교육
- 미래의 사회가 민주주의에 의해 건설되어야 한다고 주장
- 교육기능에 대한 새로운 시각 : 교육이 사회개조의 가장 큰 수단
- 진보주의가 과정 또는 수단만을 중요시한다면 수단과 목적을 중시하는 교육철학은 재건주의임. 교육의 목적을 사회적 자아실현에 두었으며 교육이 사회개조의 수단이 되어야한다고 주장함.
② 재건주의의 한계
- 다수의 합의에 의한 교육의 한계
- 교육의 힘만으로 새로운 사회질서가 수립이 가능할지 의문
- 어느 정도의 주입식 교육을 허용
- 행동과학 지나치게 맹신
- 민주적인 방식에 대한 지나친 기대
- 너무나 이상주의적
7.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의 비교
구분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
재건주의
개념
실용주의 철학과 실험주의 등을 배 경으로 한 아동중심생활중심 사회중심의 교육철학
지나친 아동중심으로 본질적인 문화유산의 전달을 등한시한진보주의 문제를 보완한 교육철학
급격한 현대문명의 변화 속에 서 영원하고 절대적인 것을 추구하면서 이성의 훈련을 중시하는 교육철학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를비판하면서, 현대 문명의 위기를 통한 이상사회의 건설로극복하고자한 교육철학
철학
루소의 성선설적 아동관
자연주의
Dewey의 실용주의적 경험론
(진화론에 기반)
관념론과 실재론: 모두 우주의 본질을 고정적인 것으로파악
관념론(진리의 절대성과 영원성, 이성)
이상사회 지향적인 사상
배경
Comenius
Rousseau의 자연주의
심리적 계발주의
pestalozziFobelHerbart
Parker, Horace Mann
전통적인 교사중심
미래 준비 교육을 비판
Platon, Erasmus
진보주의를 비판하면서 성장
미국교육 향상을 위한 본질주의자 위원회구성(1938)
Platon, Thomas Aquinas, Aristoteles
현대문명의 무질서와 혼란상황에서항구적인 것을 추구
인문주의
수단과 목적 모두 중시
문화적 위기, 급변하는 사회변화에 대처
발전
실험학교→PEA조직→1920~30년대 전성기→1940년대지역사회학교로 연결
진보주의 비판 → 1930년대
실용주의를 전면 거부
1930년대 발전하기 시작
고대, 중세의 영원한 진리
진보주의, 본질주의, 항존주의를 모두 비판절충(1950년대)
교육
이론
교육목적: 현실생활에 적응할 수 있는 전인적 인간 육성
교육내용: 아동의 필요흥미 사회문제
교육방법: 아동의 흥미중심교육(생활중심아동중심), 자발성에 의한 교육, 협동개별학습중시
교육목적: 문화의 본질적인요소 전달
교육내용: 문화재 중심 교육과정(고전자연과학)
교육방법: 논리적 체계에따른 교사의 지시감독 ⇒ 교사의 권위 회복
교육목적: 정신과 이성의 훈련(계발)
교육내용: 형이상학위대한 고전 중시
교육방법: 훈련강압에 의한 교육
교육목적: 사회적 자아실현 (사회개조를 통한 자아실현)
교육내용: 문화적 현실, 문화적 재건을 위한 제안,목적달성을 위한 방법, 목표추구를 위한 기타 관심사
교육방법: 가치 있는 교육경험, 직접간접적 집단활동
장점
교육의 민주화
(교육에 있어서 아동의 참여)
민주적 교육방법
단선형 학제 도입
본질적 문화유산의 전달
학문중심 교육과정에 영향
실용주의 전면 비판
⇒ 항구성, 영원성 중시
학문의 방향제시
급변하는 현대사회에 적응하는 교육
교육의 기능에 대한 새로운시각
미래사회가 민주주의에 의해 건설되어야 함을 주장
단점
지나친 아동중심 교육
(주장과격, 너무 개인주의적)
사회통제문화전통무시
절대적 진리의 경시
보수적 ⇒ 변화에 靜的 이고 비판력 부족
지적 진보성
창의성 저해 우려
사회과학 경시
참여의식 결여
비민주성
현실의 경시
귀족성
문화에 대한 역행
다수의 합의에 의한 교육의 불가능
주입식 교육
교육의 역할에 대한 과신
행동과학적 지식과 규범성결여
인물
Dewey, Kilpatrick, Parker
Bagley, Briggs, Morrison
Hutchins, Adler, Maritain
Brameld, Counts
Ⅲ. 결론
지금까지 현대의 주요 교육철학이론인 항존주의, 본질주의, 진보주의, 재건주의 주요개념과 강조점들에 대해 살펴보았다. 앞서 살펴보았듯이 현대의 주요 교육철학이론은 어떤 관점이던지 한계점이 발생하기 마련이고 어떤 것이 옳고 그르다는 것을 판단하기 힘들다. 다만 현재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교실의 주체인 교사와 아동은 보다 21세기의 창의적인 인간으로 성장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교사는 현실적으로 강의 위주의 수업을 토대로 주입식 교육 보다는 기자재, 수업 자료, 다양한 활동을 개발하며, 흥미 유발 연수 프로그램 등도 참여하는 능동적인 태도를 가져야 한다. 물론 교수 매체 등이 아동의 흥미를 유발 시키는데 훌륭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역으로 흥미라는 점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자칫 학습과 교육의 의미를 상실하지 않도록 학습방향을 잃지 않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교실의 희망, 나라의 희망인 아동을 위해서 교사는 학습 흥미 유발 전략 개발을 위한 연구가 선행되고, 학습 흥미를 고려한 교육 과정 개발이 뒤따라야 할 것이며, 그것의 사상적인 토대인 철학적 사조에 대해 정확하게 이해하고 이를 반영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노상우, 교육의 역사와 사상, 교육과학사, 2011.
2. 박준영, 교육의 철학적이해, 교육과학사, 2009.
3. 김경희, 김경숙 외, 교육학개론, 집문당, 2009.
4. 강선보, 정영수 외, 교육의 역사와 철학, 동문사, 2009.
5. 신득렬, 현대 교육철학, 학지사, 2003.
6. 신차균, 교육철학 및 교육사의 이해, 학지사, 2006.
7. 한기언, 현대교육사조, 한국학술정보, 2004.
8. 장원동, 교육사 및 교육철학의 이해, 태영출판사, 2008.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2.03.28
  • 저작시기2012.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