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뮈의 시지프의신화] 시지프의신화 - 삶의 부조리함과 존재의 무의미성, 카뮈의 생아와 사상, 부조리 의식에의 천착, 인간 존재의 무의미성, 삶과 자살, 반항과 부조리, 희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카뮈의 시지프의신화] 시지프의신화 - 삶의 부조리함과 존재의 무의미성, 카뮈의 생아와 사상, 부조리 의식에의 천착, 인간 존재의 무의미성, 삶과 자살, 반항과 부조리, 희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카뮈의 생애와 사상

2. 부조리 의식에의 천착

3. 인간 존재의 무의미성

4. 삶과 자살, 반항과 부조리

5. 희망

6. 맺음말

본문내용

이라는 희망의 일직선상의 반복구조란 까뮈가 \'우롱적인 영원\' 이라고 말한 \'후손\'에 대한, 즉 인류 역사의 지속성으로서의 이해였던 것이 차이점이라고 하겠다. 사실 이 부분에 있어 까뮈의 주장은 적어도 내게는 설득력 있게 이해되지 않는다. 까뮈의 부조리에 동의한다고 하더라도 그의 논리에 의거했을 때 미래란, 더구나 미래에 대한 희망이란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추락과 재도전의 반복구조--정확히 말해서 동일반복은 아니다.--속에서 그 반복이 가능한 동력이 무엇이냐라고 말한다면 난 \'희망\' 이라고 말할 수밖에 없다. 이 역시 인간역사가 이어진다라는 관점의 결여 또는 그 지속성의 의미부여의 차이에서 비롯되는 것일 수도 있을 것이다. 남아프리카의 한 종족은 현실 외에 미래를 전혀 생각하지 못하는 탓에, 감옥에 가두어두면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고 한다. 그들에게 미래란 없으므로 갇혀있는 현실의 지속밖에는 생각할 수 없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분명 체념이 아니고 절망이 아니더라도 스스로 목숨을 끊을 수밖에 없는 그들과 마찬가지로 단지 현재에 대한 성실성만으로 삶을 살아가라는 것은 극단적인 권유다. 문득 결국 \'비약\' 을 택할 수밖에 없었던 여타 실존주의자들의 입장이 보다 \'인간적\' 이지 않았던가 하는 생각도 든다.--물론 나는 그들의 결론에 동의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그들을 부정하는 편에 서 있지만. 아무튼 \'행복한 시지프를 상상해 보라\' 는 까뮈의 말은 그 엄청난 형벌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 \'가끔은 우리 자신에 대해 연민을 느낀다. 이것이 우리가 받아들일 수 있는 동정이다.\' 라고 말하면서도 \'그러나 우리는 통찰로부터 분리되는 힘을 바라지 않는다\' 라며 끝까지 일관성을 지켜내는 그의 논리성에 감탄을 금할 수가 없으며 한편으로는 무섭다는(?) 생각마저 하게 된다.
두 번째, 부조리로부터의 세 번째 결론은 사실 납득하기 힘들다. 경험의 가치적 판단의 무의미성으로 인해 양적인 판단만이 값어치가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인지. 결국 인간은 경험의 양적 축적을 위해 \'열정\'적이게 된다는 것은 지나친 논리의 비약이 아닌가.
세 번째. 까뮈가 언급한 부조리한 감수성은 인간사회의 \'소외\' 라는 개념과 거의 흡사하다. 다만 인간의 사회적 존재조건과 연관지어 이해했던 소외와는 달리 부조리한 감수성이란 인간존재의 숙명에 따른 것으로 논의를 풀어나간 것이다.
비록 前者의 극복방법으로 전적인 인간소외가 극복되리라고는 생각하지 않지만, 後者의 경우에 있어서는 前者로써 극복이 가능한 부분조차도 전혀 고려치 않고 있다는 사실이 그 한계로서 지적될 만하다.
6. 맺음말
앞서도 밝혔듯이 까뮈가 말한 부조리가 내게 너무도 정확하게 이해된다는 것은 두려운 일이었다.(사랑에 대한 까뮈의 지적--나를 어떤 존재에다 결부시키는 욕망, 애정, 지성의 혼합 그것이 사랑이며 일시적이고 동시에 독자적인 것임을 아는 사랑 외에 고결한 사랑은 없다--에 관한한 나는 아무런 반론도 제기할 수 없다. 숙명처럼 알게 된 OUT OF AFRICA의 데니스. 그에 그토록 집착하는 나 자신을 까뮈는 너무도 적나라하게 밝혀내고 있었다.) 난 이미 내가 원하든 원하지 않든 그에 동의하고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고 있다. 그러나 난 이미 \'희망\'에 관한 한 중독자다. 그리고 그 마취에서 깨어나지 않도록 지속적인 노력도 계속해 나갈 것임을 안다. 근거없는 휴머니스트라는 비난이 있더라도 말이다. 어쩌면 내겐 전적인 비약도, 전적인 부조리도 가능하지 않을런지도 모르겠다. 아니 모두 가능한 것인지도 모른다. 열정적이었으나 고통스러웠던 시간들이었다. 그러나 난 이런 희열을 줄 수 있는, 나를 치열함으로 달아오르게 할 수 있는 그 무엇을 사랑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02.26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