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교육B형 4학년] 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 - 보건교육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보건교육B형 4학년] 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 - 보건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 [그린의 PRECEDE-PROCEED모형] 적용 -
* [선정된 대상의 인구 사회적 특성]

[1단계] -사회적 사정(Social assessment)
1) 객관적인 지표
2) 주관적인 해석
<설문조사 1>
<설문조사 2>
<설문조사 결과>

[2단계] - 역학적 사정(Epidemiological assessment)
*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의 목표

[3단계] - 행위 및 환경적 사정(Behavioral and environmental assessment)
1) 행위적 요인
2) 비 행위적 요인
3) 변경 가능한 요인
4) 변경 불가 요인
5) 행위목록

[4단계] - 교육 및 생태적 사정(Educational and ecological assessment)
1) 소인성요인(predisposing factors)
2) 강화요인 (reinforcing factors)

[5단계] - 행정 및 정책적 사정(Administrative and policy assessment)

[6단계] - 수행
<1 시간 분량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지도안>

[7단계] - 과정평가

[8단계] - 영향평가

[9단계] - 결과평가

Ⅲ.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아마도 사춘기의 신체적 변화로 인해서 좀 더 매력적인 외모로 변할지도 모른다는 기대 때문인 것 같다.
반면에 매력적인 청소년들은 사춘기의 변화가 자신들의 매력을 위협하지 않을까를 걱정해서 자긍심을 해치고 스트레스의 원인이 될 것이다.
한편,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 시간에 학생들의 생각을 글로 표현하도록 해 보았다.
학생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의 신체형에 대해서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신체형에 대한 문화적인 기준은 청소년들의 신체에 대한 지각에 매우 강한 영향을 준다.
이와 관련하여 이번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시간은 신체형에 관련된 열등감을 극복하고 자아존중감을 함양하는 소중한 시간이 되었던 것이다.
[8단계] - 영향평가
청소년의 자아형성 과정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주제 중의 하나가 바로 외모 콤플렉스이다.
특히, 청소년 초기의 소년 소녀들은 자신의 신체적 이미지에 어느 정도 만족하는지와 자아존중감 사이에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낸다.
그 다음이 해당 또래집단으로부터 친구로서 인정을 받는 일이다. 학업성적 또는 스포츠 분야에서의 재능 정도는 의외로 자아존중감 형성에 그다지 큰 관련성을 보이지는 않는다. 남성보다는 많은 여성의 경우에 있어서 청소년기에 자아존중감이 낮은 것으로 보고되는데 이 또한 본인들의 외모에 대부분의 소녀들이 불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보건교육 및 토론을 통해서 학생들이 스스로 잘못된 신체형을 가지고 있는 경우라면, 사실에 근거한 것인지 단지 가정일 뿐인지 되짚어 보고, 그런 식으로 생각을 하는 것의 이점과 손해를 따져보는 능력이 생긴 것으로 판단된다.
스스로 왜곡된 지각과 해석이 아닌지를 자문해 보고, 객관적으로 생각하도록 노력할 것이며, 자아존중감을 통한 자신감 신장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가 된다.
[9단계] - 결과평가
에릭슨의 발달단계모델 중에서 청소년기는 제 5단계에 속하며, 대략 12세에서 18세에 이르는 이 시기 청소년들의 가장 중요한 과업은 자아정체감의 확립이다. 사회적인 환경 및 관계 내지 상호행동에 있어서 이 시기에 집중적으로 관찰이 되거나 중요시되는 요소로 용모, 학업능력, 운동능력, 친밀한 우정, 사회적 수용, 로맨틱한 행위 등을 들 수가 있다. 헨드릭 콜만 (강영배 외 옮김):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85쪽 참조.
오늘날과 같은 이미지 범람의 시대에 “타인에게 어떻게 보여 질까?”라고 생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사회적인 요소 중의 하나이다. 사람들이 겉으로 드러나게 되는 이미지에 따라 서 타인에 대한 태도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서 행동을 한다.
그 반응이 만약 긍정적인 것이면 우리는 자신을 갖게 되지만 부정적일 때는 쉽게 자신을 잃고 말게 된다. 이처럼 자신의 이미지에 대한 타인의 반응은 또 다시 밖으로 드러나게 되는 이미지에 영향을 준다.
누구나 지니고 있는 이미지, 그 이미지를 자신의 내부에 잠재한 여러 가지의 자질들과 함께 조화시켜, 외적으로 훌륭하게 연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중요한 삶의 과제인 것이다.
바로 이러한 측면을 강조하여 진행 되었던 이번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은 신체형에 관한 청소년의 과제를 풀어나가는 기폭제로 작용 할 것이다.
Ⅲ. 결 론
이상으로 초중고학생의 신체형(body image)에 대한 보건교육을 실시하였다.
신체존중감과 신체만족에 대해서 심리학적으로 볼 때 구분이 필요한데, 최초의 신체존중감 측정도구인 Secord와 Jouard(1953)의 신체고착척도를 살펴보면, 신체기능과 외모에 대한 느낌을 방향과 강도를 동시에 고려를 하여 측정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 척도의 영향을 받아 이후에 신체존중감 측정도구들은 신체기능과 모습에 대한 지각과 느낌을 측정하는 것이 흔히 일반적인데, 연구자에 따라서 이를 신체만족도라 칭하기도 한고(Cash, Winstead & Junda, 1986), 신체존중감이라 부르기도 한다.(Franzoi & Shields, 1984 등). 하지만 만족이라는 개념이 대상에 대한 인지적 판단이라는 정의를 생각해 볼 때(Suh, Diener, Oishi & Triandis, 1998), 자기 신체에 대해 개인이 형성하고 있는 전반적 태도를 지칭하는 신체존중감이 신체만족보다 포괄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신체의 선택된 부위가 자아개념에 어떤 기여를 하는지 알아볼 수 있는 Mohoney & Finch의 연구에서는 얼굴의 특징과 중요하게 생각하는 신체적 요소가 자아존중감에 가장 큰 기여를 한다.(이경희, 1992) Gunderson(1965)은 청소년 등의 조사에서 현실과 이상적인 신체형의 불일치로 부정적 자아나 자아를 평가절하하고 있음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신체형에 대한 현실과 이상간의 일치정도가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임을 말해준다.
평균적인 몸매와 평범한 외형 조건을 지니고 있는 경우는 물론 준수한 외모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신체적 조건에 대하여 불만족하거나 자신감이 부족한 학생들을 보면 많은 안타까움이 들기도 한다. TV, 영화, 잡지 등에서 흔히 접할 수가 있는 팔등신 미녀들의 길쭉하고 매끈한 몸매에 익숙해 있ㅅ져서, 모델이나 영화배우 정도의 빼어난 외형적인 조건을 평균적인 수준 또는 당연히 갖추어야 하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 같다.
결국. 심한 경우에는 자신의 이상적 모습과는 다른 실제 자신의 모습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게 되고, 스트레스와 자신감 결여, 우울증 등으로 연결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자신을 보는 마음의 거울인 신체형에 대해 스스로 점검을 해보고, 자신의 신체에 대해 자신감과 긍정적인 이미지를 갖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참고 문헌]
이수경, 사춘기 여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신존중감, 한국학술정보, 2006
정옥분 저, 발달심리학, 학지사, 2004
헨드릭 콜만, 강영배 역, 청소년과 사회. 성안당 2006,
Sylvia K. Blood. Body Image. Routledge. 2005
Kindes, Marlene V. Body Image (Hardcover). NovaSciencePubInc. 2007
  • 가격3,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4.03.25
  • 저작시기2014.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389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