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영화 속에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벌어지는 교육의 문제들로 대두된 점들은 어떤 것들이었는가?
2. “교사와 학생의 관계”라고 하는 차원에서 볼 때 실제 교육상황 속에서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얼마나 부여해 줄 수 있는가? 영화 속에서의 예들 들어 설명해 보시오.
3. 주인공 트레버 소년이 사회과 과제물을 해결하는 가운데 성공한 부분과 실패, 좌절한 부분은 어떤 점들인가?
4. 사회과 교사인 유진 시모넷이 학생들에게 내준 과제물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인 의미는 무엇이었는가?
5.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의 가능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6. 위의 감상 포인트 외에 각자 느낀 점들을 서술하시오.
2. “교사와 학생의 관계”라고 하는 차원에서 볼 때 실제 교육상황 속에서 학생들에게 “자율성”을 얼마나 부여해 줄 수 있는가? 영화 속에서의 예들 들어 설명해 보시오.
3. 주인공 트레버 소년이 사회과 과제물을 해결하는 가운데 성공한 부분과 실패, 좌절한 부분은 어떤 점들인가?
4. 사회과 교사인 유진 시모넷이 학생들에게 내준 과제물이 지니고 있는 교육적인 의미는 무엇이었는가?
5.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의 가능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서술하시오.
6. 위의 감상 포인트 외에 각자 느낀 점들을 서술하시오.
본문내용
사회형성 등에 대한 실현으로 볼 때 우리나라의 교육은 위기를 느낄 절도로 정도가 심각하다.
교육의 위기는 즉 인간의 위기이다.
교육이 추구하는 본질적인 목표는 인간의 생계 수단에 그치지 않고 인격적 성숙을 통한 자아 정체감을 성취하여 인간의 본질이 실현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즉 교육이 지향하는 사회는 인간이 자기실현이 가능한 사회를 말하며 결핍적인 존재인 인간이 서로 의지하고 인간과 사회가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물질적 궁핍을 극복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가 되어 앞뒤 과정 상관없이 결과에만 치중해 이기적인 것을 가르치는 것이 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교육현실에서 무엇이 문제이며, 이것이 왜 바뀌어야하는 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세계의 각 나라마다 교육제도를 발전시킨 이념은 각기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공교육제도의 이념적 배경으로 민족적 자각과 과학적 합리성, 인간적 보편성 등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민주주의 이념과 산업혁명이 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이란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을 만큼 그 의미가 폭넓지만, 교육이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지며, 교육의 대상이 “인간” 이라는 데에서 그 중요성을 알 수가 있다.
다음은 교육이 사회개혁을 할수 있게 하는 이유이다.
교육은 인간이 살고 있는 사회를 개혁할 수 있게 하는 큰 힘이며 수단이다.
우리는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이 가능 하다는 것을 역사속에서 충분히 알고 있으며,
인간의 개개인의 삶, 사회, 경제, 정치 등 각 분야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강조된다. 그런데 공교육은 그 중요성만 강조되고 실제 공교육이 적절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기적인 교육만 강조되어 사회개혁은커녕 오히려 역기능적인 결과를 가져 올 것 이라는 것을 알고있다.
사회의 긍정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가정 교육에서부터 학교교육에 이르기 까지 그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사회적지지 체계를 다시 검토하고 바른 방향으로 다시 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는 올바른 교육방향을 통한 사회개혁의 가능성을 사회적 차원에서 제시하고, 공교육의 사명과 명예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6. 위의 감상 포인트 외에 각자 느낀 점들을 서술하시오.
:이 영화는 슬픈 결말 이지만 한 아이의 죽음을 통해 우리에게 주려는 메시지는 변화, 그리고 깨달음이다. 깨달음을 얻기 전에는 변화 할 수 없고 변화를 위해선 깨달음이 필요하다.
내가 사회를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누군가 해봤을만한 생각이다.
작은 것들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 낸 아이 트레버..그것은 작은 것이 아니었다.
아이의 따뜻하고 순수한 마음이 벌써 LA와 샌프란시스코에 퍼져 가고 있었다.
그의 말처럼 완벽한 성공했다고 보이진 않았지만 마음과 마음이 전해져 사람을 변화시켰고 그건 세상을 변화시켜가고 있다.
아무리 세상이 뒤숭숭하고, 듣고 싶지 않은 뉴스가 방송되고 우리들의 마음을 고통 속으로 내몰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 믿을만하고 의지해야 하는 것은 인간이 아닌가 싶다.
바로 이 영화는 그렇게 힘들고 거친 듯 보이는 세상의 저밖에 여전히 선하고 순수한 의지를 지니고 그것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인물들이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거칠고 메마른 세상의 또 다른 면, 다시 말해 희망을 말하는 것이다.
내가 작년에 근무를 하다가 퇴근을 하는데 병원 1층에서 고열로 어지러워 쓰러지려고 했을 때 병동 환자들이 나를 알아보고 응급실에 데려다 준 기억이 있다.
처음엔 환자들이 데려다 준다는 말에 부끄러워서 거절했지만 같이 가자고 도와주겠다고 하는 한마디에 억지로 갔다. 응급실에 가서 열을 측정해보니 40도..그리고 진단받은 병명은 역격리..
정말 위험할 정도로 백혈구 수치가 떨어져 응급실에 오지 않았으면 큰일 날뻔했다는 의사의 말에 나는 순간 겁이났다. 처음에 나는 집에 가족이 없어 자의 퇴원서를 받고 퇴원하려고 했지만 환자들이 같이 있어주겠다는 말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고 입원을 하였다.
환자들이 아니었으면 정말 큰일 날 뻔했다.
사회적 약자를 도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자라는 영화의 교훈은 언어적으로는 쉽게 내릴 수 있겠지만 그것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은 어렵다.
나를 도와준 환자들 역시 본인의 상황이 어렵고 힘들지만 자신의 앞에 나타난 약자를 위해 서슴없이 도와준 것을 보면 이 영화에 대한 교훈을 행동으로 실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으로 우리들은 마음을 열어 ‘도움주기’를 행한다면 아름다운 사회를 실현 할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의 위기는 즉 인간의 위기이다.
교육이 추구하는 본질적인 목표는 인간의 생계 수단에 그치지 않고 인격적 성숙을 통한 자아 정체감을 성취하여 인간의 본질이 실현되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다.
즉 교육이 지향하는 사회는 인간이 자기실현이 가능한 사회를 말하며 결핍적인 존재인 인간이 서로 의지하고 인간과 사회가 자연스럽게 조화되는 것이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의 교육은 물질적 궁핍을 극복하는 것이 궁극적 목표가 되어 앞뒤 과정 상관없이 결과에만 치중해 이기적인 것을 가르치는 것이 되었다.
그래서 우리는 교육현실에서 무엇이 문제이며, 이것이 왜 바뀌어야하는 가를 살펴보아야 한다.
세계의 각 나라마다 교육제도를 발전시킨 이념은 각기 다르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공교육제도의 이념적 배경으로 민족적 자각과 과학적 합리성, 인간적 보편성 등을 제시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민주주의 이념과 산업혁명이 복합되었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이란 한 마디로 정의할 수 없을 만큼 그 의미가 폭넓지만, 교육이 인간의 전 생애를 통해 이루어지며, 교육의 대상이 “인간” 이라는 데에서 그 중요성을 알 수가 있다.
다음은 교육이 사회개혁을 할수 있게 하는 이유이다.
교육은 인간이 살고 있는 사회를 개혁할 수 있게 하는 큰 힘이며 수단이다.
우리는 교육을 통한 사회개혁이 가능 하다는 것을 역사속에서 충분히 알고 있으며,
인간의 개개인의 삶, 사회, 경제, 정치 등 각 분야에 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강조된다. 그런데 공교육은 그 중요성만 강조되고 실제 공교육이 적절한 힘을 발휘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서 이기적인 교육만 강조되어 사회개혁은커녕 오히려 역기능적인 결과를 가져 올 것 이라는 것을 알고있다.
사회의 긍정적인 개혁을 위해서는 가정 교육에서부터 학교교육에 이르기 까지 그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호작용과 사회적지지 체계를 다시 검토하고 바른 방향으로 다시 잡아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국가는 올바른 교육방향을 통한 사회개혁의 가능성을 사회적 차원에서 제시하고, 공교육의 사명과 명예를 지킬 수 있도록 하는데 소홀함이 없어야 할 것이다.
6. 위의 감상 포인트 외에 각자 느낀 점들을 서술하시오.
:이 영화는 슬픈 결말 이지만 한 아이의 죽음을 통해 우리에게 주려는 메시지는 변화, 그리고 깨달음이다. 깨달음을 얻기 전에는 변화 할 수 없고 변화를 위해선 깨달음이 필요하다.
내가 사회를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을까? 누군가 해봤을만한 생각이다.
작은 것들을 통해 변화를 이끌어 낸 아이 트레버..그것은 작은 것이 아니었다.
아이의 따뜻하고 순수한 마음이 벌써 LA와 샌프란시스코에 퍼져 가고 있었다.
그의 말처럼 완벽한 성공했다고 보이진 않았지만 마음과 마음이 전해져 사람을 변화시켰고 그건 세상을 변화시켜가고 있다.
아무리 세상이 뒤숭숭하고, 듣고 싶지 않은 뉴스가 방송되고 우리들의 마음을 고통 속으로 내몰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 믿을만하고 의지해야 하는 것은 인간이 아닌가 싶다.
바로 이 영화는 그렇게 힘들고 거친 듯 보이는 세상의 저밖에 여전히 선하고 순수한 의지를 지니고 그것을 행동으로 보여주는 인물들이 있음을 상기시키면서 거칠고 메마른 세상의 또 다른 면, 다시 말해 희망을 말하는 것이다.
내가 작년에 근무를 하다가 퇴근을 하는데 병원 1층에서 고열로 어지러워 쓰러지려고 했을 때 병동 환자들이 나를 알아보고 응급실에 데려다 준 기억이 있다.
처음엔 환자들이 데려다 준다는 말에 부끄러워서 거절했지만 같이 가자고 도와주겠다고 하는 한마디에 억지로 갔다. 응급실에 가서 열을 측정해보니 40도..그리고 진단받은 병명은 역격리..
정말 위험할 정도로 백혈구 수치가 떨어져 응급실에 오지 않았으면 큰일 날뻔했다는 의사의 말에 나는 순간 겁이났다. 처음에 나는 집에 가족이 없어 자의 퇴원서를 받고 퇴원하려고 했지만 환자들이 같이 있어주겠다는 말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고 입원을 하였다.
환자들이 아니었으면 정말 큰일 날 뻔했다.
사회적 약자를 도와 아름다운 세상을 만들자라는 영화의 교훈은 언어적으로는 쉽게 내릴 수 있겠지만 그것을 행동으로 실천하는 것은 어렵다.
나를 도와준 환자들 역시 본인의 상황이 어렵고 힘들지만 자신의 앞에 나타난 약자를 위해 서슴없이 도와준 것을 보면 이 영화에 대한 교훈을 행동으로 실천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앞으로 우리들은 마음을 열어 ‘도움주기’를 행한다면 아름다운 사회를 실현 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영화감상-아름다운세상을위하여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Pay It Forward)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Pay it forward) 감상 포인트
아름다운세상을위하여[아름다운세상을위하여 영화감상문][아름다운세상을위하여 감상문][아름...
[교육학개론]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Pay it forward) 감독 : Mimi Leader 을 감상하고...
[영화감상문]아름다운_세상을_위하여(Pay_it_forward)_3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Pay It Forward) 2000』 [교육학 개론 보고서]
[영화감상 포인트] 아름다운 세상을 위하여 (Pay it forward)
영화감상문(pay it forward)-교육심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