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BP(Teaching by Principles) Chapter.01 (제1장) 시작하기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TBP(Teaching by Principles) Chapter.01 (제1장) 시작하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시작하기

목표
교실관찰
수업 분석

■ 마지막 질문 하나:

본문내용

, 범주, would rather 구조를 가르치는 이 수업에서 수십 가지의 가능성을 놓고, 미즈 리는 의식적이건 무의식적이건 강에 어떤 특정한 한 세트의 활동을 선택하였고, 어떤 특정한 순서를 따랐으며, 각각에 대해 어떤 특정한 음색을 사용하였다. 수많은 교수 학습의 원리가 비교적 직선적으로 진행하는 수업을 지지하고 있다. 일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그런 많은 원리들이 논란의 여지가 있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언제 그냥 학생들에게 정보를 줄 것인지(#6) 언제 학생들에 의한 “발견 학습”을 밀어 붙일 것인지를 맥락으로는 분명하게 알 수 없다.
7. 이제 교사는 학생들의 짝 활동을 시작한다. 이 활동은 교과서에서 나온 것은 아니고, 교사 자신의 창의적인 것으로 교과서의 활동과는 먼발치로 유사할 뿐이다. 왜 교사는 여기서 그냥 교과서를 따라 하지 않았을까? 짝 활동을 하라는 지시가 분명하였는가? 일부 교사 지침들은 그런 짝 활동 모형을 보일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왜 교사는 그렇게 하지 않았는가? 짝 활동 시간 중에 교사가 교실을 돌아다니면서 무엇에 귀 기울여 들었다고 생각하는가?
 8. 왜 이 교사는 학생들로 하여금 그렇게 논란의 여지가 없는 활동의 결과에 대해 보고하게 했을까? 그런 보고와 과정이 어떤 목적을 달성하였는가?
9. 교사는 이 시점에서 그날 수업의 시작용 대화(opening dialogue)를 들려주었다. 수업의 첫 10-15분간의 배경 활동이 학생들에게 충분한 맥락과 흥미를 주었는가? 이런 맥락에서 전문가들이 녹음된 디지털 녹임이 주는 장점과 단점은 무엇인가? 그 대화는 뭐 그리 대단하게 흥미진진한 것은 아니었다. 그런 점이 이 수업의 목적에 비추어 괜찮은가?
10. 함께 낭송 연습(choral drilling)을 하는 것은 언어 교육에서 흔히 사용되는 교수 기법이다. 그것이 여기서도 적절하고 유용한가? 여러분은 교사가 그것을 사용한 것을 어떻게 정신적으로 정당화했다고 생각하는가? 왜 그 연습을 여러 번 더 반복하지 않았을까?
11. 이 부분은 교사가 수업 중에 학생들의 관심의 형태, 즉 문법 구조에 쏟게 하는 그런 순간들 중의 하나이다. 교과서의 그 부분이 충분히 그 구조를 설명하는가?
12. 이 시점에서 교사의 설명이 정당화되는가? 아니면 학생들이 would rather 구조에 대한 “감(feel)\"을 그냥 직관적으로 얻어야 하는가? 그리고, 교사가 한 것처럼, 한국어로 설명을 좀 해주는 데 대해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는가? 교사는 그 때 왜 그렇게 하기로 결정했으며, 그런 언어 전환이 정당화되는가? 이 부분에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강의“를 하고 있는 것 같았다. 교사는 학생들로부터 일정 종류의 반응을 명시적으로 요구했어야 할까? 아니면 이 시점에서 그들이 좀 더 합동 낭송이나 유사 의사소통 연습을 했어야 할까?
13. 표는 교과서에 나온 비슷한 것을 응용한 것이지만, 교사는 그것을 면대면 인터뷰(face-to-face interviews)에 사용한다는 요소를 첨가했다. 왜 교사는 이 시점에서, 교과서에서 제안된 대로 학생들이 CD에서 영화 평론을 몇 개 듣고 나서 그들의 추천을 적어 넣는 활동을 하지 않고 다른 하나의 의사소통 활동을 하는 쪽을 선택했을까?
14. 전체 학급이 어울려서 하는 활동은 충분히 단순해보이지만, 학생들은 그 과정을 이해하는데 조금 곤란을 겪었다. 교사가 학생들의 혼란스런 모습을 본 후에 추가로 제시할 수 있었던 지시들은 충분하고 명확했는가? 이 단계의 활동을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해 교사가 무엇을 할 수도 있었을까?
15. 이 활동의 목표는 무엇인가? 학생들에게 하라는 것은 분명해 보인다 : 즉 질문을 만들고, 그 질문에 대답하고 그 대답을 기록하는 것이다. 학생들은 이 활동에 열성적인 것 같았다. 왜? 왜 아주 정규적인 문법 연습을 하는 활동이 그처럼 열성을 불러 일으켰을까? 그 15분은 좋은 목적으로 사용되었는가?
16. 그 비형식적인 집계는 그 활동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했는가, 아니면 그저 약간의 흥미를 주었는가?
17. 이 마지막 활동은 너무 짧은 시간적 공간에 압착되어 들어갔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도 괜찮았나? 교사가 수업의 마지막 부분에서 시간이 없으면 이처럼 활동을 서둘러야 할까? 아니면 대안적인 정리 활동을 주어야 하는가? 여기서 (다른 세 언어 기능에 대한 활동이 아니라) 쓰기 활동은 어떤 목적을 달성하였는가?
18. 때로는 이런 마지막 순간의 말들은 학새들이 교실을 떠날 준비를 하는 와중에 놓쳐 버린다. 그럼에도 어떤 일정한 목적이 달성되었는가? 학생들에게 “숙제”로 영어 영화를 보라고 요구를 한다면, 영화를 보는 동안에 무엇을 할지에 대해 좀 더 조언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될까?
■ 마지막 질문 하나: 여러분이 지금 막 관찰한 수업을 되돌아보면서 여러분은 최초의 목표가 달성되었다고 생각하는가? 여러분이라면 달리 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어떤 것이 있는가? 기억해야 할 것은, 여러분은 진행 중인 학급 수업에 들렀기 때문에 그 전차시나 후차시 수업에 대한 맥락을 알지 못하는 상태에서 이 수업의 효과를 완전하게 판단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여러분은 이제 이런 수업을 가르치는 방법에 관해 왜 이런 저런 선택들을 하는지에 대해 제기할 수 있는 많은 질문들을 몇 가지 훑어보았다. 그 대답 중 일부는 비교적 표준적이고 이론의 여지가 거의 없다. 다른 대답들은 가장 훌륭한 교사들 사이에서도 그 교사의 선택이 가져다 줄 장점과 단점에 대해 논생이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 모든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방대한 제 2언어 연구 결과물과 세계의 방방곡곡에 있는 교사들의 축적된 경험들 속에 이런 저런 형태로 발견될 수 있다. 그리고 많은 해답들이 앞으로 이 책에서 나타나게 될 것이다.
이 책 속으로의 여정을 계속하면서 여러분이 할 일은 연구/이론/원리와 교실/교수/실제를 연결하는 것이다. 여러분이 교육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그런 연결을 함으로써, 여러분은 제멋대로 추측하는 오류를 피하게 되고, 대신에 연구와 이론에 의해 깨우침을 얻고 교수 행위를 하는, 다른 말로 하면 원리에 의한 교수를 하게 될 것이다.

키워드

TBP,   teaching by priciples,   ch1,   chapter1,   제1장,   시작하기,   교실관찰,   수업 분석,   번역,   해석,   교사,   학생들,   수업,   영화
  • 가격1,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1.15
  • 저작시기2015.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403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