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프로그램
2. 프로그램 목표
3. 프로그램 구성
4. 프로그램별 목표
5. 계획수립(일정, 수립절차 등)
6. 일정계획(주간,월간)
7. 결과 및 평가
2. 프로그램 목표
3. 프로그램 구성
4. 프로그램별 목표
5. 계획수립(일정, 수립절차 등)
6. 일정계획(주간,월간)
7. 결과 및 평가
본문내용
수급자의 인지기능에 맞추어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수급자가 좋아하고 즐겨하는 도구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수급자의 학력, 문해력, 가족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사회적응 프로그램
- 사회적응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활동을 경험해 보고 사회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다는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
-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역할을 적절히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 최대한 자립하여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가족 지지 프로그램
가족지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족들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나아가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 될 수 있도록 한다.
- 수급자 생일잔치 때 가족 초대하여 함께 사진 촬영 및 축하 프로그램 진행
- 송년회, 신년회 등 두 번 정도 가족들과의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 가족지지 프로그램 후 가족들과 수급자와 함께 회의를 통해 개선, 보완한다.
2. 계획수립
수급자의 인지기능, 학력, 가족력 등 전체적인 요소를 파악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인지기능 검사 및 성향 등을 파악하여 계획 수립 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프로그램 일정
유형
대상자
내용
횟수
진행자
인지활동
전체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3회
종사자 전원
5등급, 인지
인지 활동형 프로그램
이용 시
프로그램관리자
신체활동
전체
신체 기능 증진 프로그램
주 2회 이상
종사자 전원
사회적응
전체
내부 사회적응
분기
종사자 전원
전체
외부기관 연계
가족지지
전체
송년행사, 어버이날, 개원기념일 등
연 2회
종사자 전원
전체
생일잔치 (매월 생신일)
매월
종사자 전원
계획수립 절차
- 월간계획을 기반으로 주간계획을 세부적으로 계획한다.
- 회의와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자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시행
맞춤형 프로그램(외부강사) 기간 : 시설 상황에 따라 알맞게 적용
유형
대상자
내용
횟수
진행자
인지활동
전체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4회
월 16회
외부강사
신체활동
전체
신체기능의 유지 증진
외부강사
3. 일정계획
월간계획을 바탕으로 주간계획을 세부적으로 계획하고 분기, 반기, 연별로 나누어 계획을 하기로 한다.
주간프로그램 일정
- 주간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계획 작성 후 매월 적용
월
화
수
목
금
토
건강박수
기체조
생활체조
음악체조
밴딩체조
율동
영화감상
회상놀이
미술교실
시장놀이
문해교실
음악놀이
월간프로그램 일정
- 월간일정 계획
추진내용
세부일정
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생신 잔치
●
●
●
●
●
●
●
●
●
●
●
●
매월
사회적응
●
●
●
●
분기
가족 지지
●
●
반기
4. 결과 평가
프로그램 평가
- 정기적으로 수급자 및 보호자, 종사자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해 평가하고 의견을
들어 본 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수급자 및 보호자의 의견이 만족스러웠다면 진행하던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급자 및 보호자의 의견이 만족스럽지 못했다면 보완 및 수정할 부분을 찾아서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수정하도록 한다.
- 수급자가 좋아하고 즐겨하는 도구 등을 사용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 수급자의 학력, 문해력, 가족력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사회적응 프로그램
- 사회적응 프로그램을 통해 사회활동을 경험해 보고 사회 정보를 습득함으로써 지역 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다는 소속감을 느낄 수 있다.
- 사회 구성원으로써의 역할을 적절히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 최대한 자립하여 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가족 지지 프로그램
가족지지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족들과의 관계를 돈독하게 하고 나아가 심리적, 정서적으로 안정 될 수 있도록 한다.
- 수급자 생일잔치 때 가족 초대하여 함께 사진 촬영 및 축하 프로그램 진행
- 송년회, 신년회 등 두 번 정도 가족들과의 프로그램을 계획한다.
- 가족지지 프로그램 후 가족들과 수급자와 함께 회의를 통해 개선, 보완한다.
2. 계획수립
수급자의 인지기능, 학력, 가족력 등 전체적인 요소를 파악하여 계획을 수립한다.
인지기능 검사 및 성향 등을 파악하여 계획 수립 후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프로그램 일정
유형
대상자
내용
횟수
진행자
인지활동
전체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3회
종사자 전원
5등급, 인지
인지 활동형 프로그램
이용 시
프로그램관리자
신체활동
전체
신체 기능 증진 프로그램
주 2회 이상
종사자 전원
사회적응
전체
내부 사회적응
분기
종사자 전원
전체
외부기관 연계
가족지지
전체
송년행사, 어버이날, 개원기념일 등
연 2회
종사자 전원
전체
생일잔치 (매월 생신일)
매월
종사자 전원
계획수립 절차
- 월간계획을 기반으로 주간계획을 세부적으로 계획한다.
- 회의와 모니터링을 통해 대상자별 맞춤형 프로그램을 시행
맞춤형 프로그램(외부강사) 기간 : 시설 상황에 따라 알맞게 적용
유형
대상자
내용
횟수
진행자
인지활동
전체
인지활동 프로그램
주 4회
월 16회
외부강사
신체활동
전체
신체기능의 유지 증진
외부강사
3. 일정계획
월간계획을 바탕으로 주간계획을 세부적으로 계획하고 분기, 반기, 연별로 나누어 계획을 하기로 한다.
주간프로그램 일정
- 주간프로그램을 기반으로 계획 작성 후 매월 적용
월
화
수
목
금
토
건강박수
기체조
생활체조
음악체조
밴딩체조
율동
영화감상
회상놀이
미술교실
시장놀이
문해교실
음악놀이
월간프로그램 일정
- 월간일정 계획
추진내용
세부일정
주기
1
2
3
4
5
6
7
8
9
10
11
12
생신 잔치
●
●
●
●
●
●
●
●
●
●
●
●
매월
사회적응
●
●
●
●
분기
가족 지지
●
●
반기
4. 결과 평가
프로그램 평가
- 정기적으로 수급자 및 보호자, 종사자 회의를 통해 프로그램에 대해 평가하고 의견을
들어 본 후 수정, 보완할 수 있도록 한다.
수급자 및 보호자의 의견이 만족스러웠다면 진행하던 프로그램은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발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수급자 및 보호자의 의견이 만족스럽지 못했다면 보완 및 수정할 부분을 찾아서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수정하도록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노인장기요양서비스(주야간 보호, 방문요양, 방문가호, 요양원 서비스)가 노인자신과 가족에...
운영규정 ( 장기요양기관 운영규정 / 요양원, 주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재가센터 등)
운영규정 ( 장기요양기관 운영규정 / 요양원, 주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재가센터 등)
급여제공결과평가 3가지 사례(장기요양기관 급여제공결과평가/요양원, 주야간보호센터, 방문...
2025년 프로그램 계획서(신체.인지.사회적응.가족지지 프로그램 계획서)-장기요양기관(요양원...
장기요양기관(요양원, 주야간보호센터,방문요양 등) 신규 수급자 입소 시 기초평가(낙상평가,...
2025년 사업계획서(요양원/공동생활가정)-주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등 장기요양기관 활용가능
보호자 회의록(장기요양기관-요양원, 주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등 활용)-2024년 12월 보호자...
요양원 보호자 회의록(장기요양기관-주야간보호센터, 방문요양 등 활용)-2025년 01월 보호자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