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압력으로 공기를 불어넣어 조직들이 들러붙어 기도가 막히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코골이나 무호흡을 줄인다. 간단히 말해 공기로 숨구멍을 벌리는 것이다
59.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마비말장애인의 부정확한 자음과 모음 산출, 부적절한 연장, 반복,쉼과 같은 비유창성은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저하를 야기시키며, 여기에 호흡, 발성, 공명, 운율 문제가 동반되면 말명료도는 더욱 낮아지게 된다
60. 상부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상위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은 척수 전각의 운동신경원(anterior horn cell)을 제외한 뇌간 및 피질 운동신경세포들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입니다. 상위운동신경원에 손상을 당하면 초기에는 근육의 긴장도(muscle tone)가 저하되나,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 긴장도는 항진됩니다.
61. 구강하악 근긴장이상(oral mandibular dystonia):국소적인 이상운동증의 한 형태로서 주로 턱의 비정
상적인 위치, 입을 여닫는 기능의 장애나 비정상적인 혀의 운동의 형태로 나타난다
62. 보상적 보철 장치(compensatory prosthetic devices):이완형 마비말장애치료에 해당되며 호흡치료로서 사용된다.
63. 과소운동형마비말장애:파킨슨증을 위한 약물치료로 L-dopa도파민대체와 항아세틸콜린약물,파킨슨증을 위한 행동치료로 말 속도 감소와 스트레칭연습, 전통적인 조음 치료가 있다.
64. 담창구 절단술(pallidotomy):언어장애 소견이 20%에서 보인 것 이외에 특별한 합병증이 관찰되지 않고, 시상파괴술에 효과가 없는 서동, 보행 및 평행장애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
65. 시상절단술(thalamotomy):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의 치료로서 파킨슨증을 위한 수술치료로 정의된다.
66.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의 치료로서 파킨슨증을 위한 수술치료중의 하나이다.
67. 리 실버만 음성치료(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목소리 크기를 증가시키는데에만 집중하고 환자에게 힘주어 발성하는 것을 수차례반복한다. 매일 반복하며 정상적인 음성크기를위하 환자의 음성이 측정되어야 한다.
68. 실조형마비말장애(ataxic):운율로서 속도조절과 강세와 억양이 필요하다.
69. 운동구어장애(motor speech disdorder):뇌손상으로 인하여 구어의 장애를 뜻한다.
70. 혼합형마비말장애(mixed):이 장애는 실조형, 경직형, 이완형, 과소운동형, 과다운동형 등의 구어 특징들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나타난다. 구어운동시스템에서 한 개 이상의 손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71. 과대비성(hypernasality):공명이 과도하게 비성양성을 보인다.
72. 과소비성(hyponasality):공명이 과소비성과 비성제거인denasal상태이다.
73. 근육이상증(dystonia):모음이 왜곡되고 거친 음질과 불규칙적인 조음파열, 억압되고 꽉 쪼여진듯한음성이 특징이다.
74. 비성성(nasality):비강 공명 왜곡은 후두 기능과 관련이 없는 공명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과비음 또는 심한 비음에서는 구개-인두 판막의 잘못된 제어가 있어 모음과 비음 자음이 과도하게 비음화된다.
75. 언어발달지체(Retaration of speech disorder):연령집단에 비해 언어발달이 느려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영유아시기의 신체적발달지체가 원인이되어서 아이들이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이 있다.
76. 내전 경련성 발성 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이것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입니다. 그것은 성대를 뻣뻣하게 만들고 닫히게 하는 갑작스러운 비자발적 경련을 일으킵니다.
77. 납치범 경련성 발성 장애(Abductor spasmodic dysphonia):이 유형은 흔하지 않으며 성대가 열리도록 유발하는 갑작스러운 비자발적 경련을 일으킵니다. 코드가 열린 상태에서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소리를 내기가 어렵습니다.
78. 혼합 경련성 발성 장애(Mixed spasmodic dysphonia):이것은 매우 드물며 내전경련성발성장애와 납치범경련성발성장애유형의 발성 장애의 혼합 증상입니다.
79. 말산출(Speech Production Skills):말산출시 근육의 움직임의 속도, 힘, 범위, 시간, 정확성, 시기의 적절성 등의 문제를 보인다.
80. 약한(때때로 비성화됨) 압력 자음( weak pressure consonants):파열음/압력 자음이 음향학적인 변별성이 부족하고, 또는 비강 기류가 과도하여 약하거나 또는 산출하면허 불완전한 조음 접촉 때문에 발생함. 비성의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참고문헌>
1. Freed.D.B.저.권민선 외역.말운동장애진단과 치료(제2팡).2017
2. 김향희.신경언어장애.학지사.2022
3. 김향희(2012). 『신경언어장애』. 시그마프레스.
4. 권미선 외 4명(2017). 『말운동장애. 진단과 치료』. 박학사
5. 경직형과 이완형 마비말장애의조음음운오류 읽기 과제에서.연세대학교대학원언어병리학협동과정.박지현
6. 발달성말실행증.박서린.김향희.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삼성서울병원신경과
7. 취학전 조음장애와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Comparison i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between Preschool Articulatory Disordered and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김기범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언어치료 전공 국내석사)
8. 실행증의 신경해부학 기초.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정 용
9. 후두적출술 환자의 발성법에 따른 음향학적 특성.장효령.심희정.고도흥.2005
10. 이영미, 김용운.(2016).말소리장애 아동의 말 산출 능력 향상을 위한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 개발.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4(2),77-96.
11. [출처] [신경학적평가]상위운동신경과 하위운동신경병변의 평가|작성자 밸런스멘토
59.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마비말장애인의 부정확한 자음과 모음 산출, 부적절한 연장, 반복,쉼과 같은 비유창성은 말명료도(speech intelligibility)저하를 야기시키며, 여기에 호흡, 발성, 공명, 운율 문제가 동반되면 말명료도는 더욱 낮아지게 된다
60. 상부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상위운동신경원(upper motor neuron)은 척수 전각의 운동신경원(anterior horn cell)을 제외한 뇌간 및 피질 운동신경세포들을 총칭하여 일컫는 말입니다. 상위운동신경원에 손상을 당하면 초기에는 근육의 긴장도(muscle tone)가 저하되나, 시간이 지날수록 근육 긴장도는 항진됩니다.
61. 구강하악 근긴장이상(oral mandibular dystonia):국소적인 이상운동증의 한 형태로서 주로 턱의 비정
상적인 위치, 입을 여닫는 기능의 장애나 비정상적인 혀의 운동의 형태로 나타난다
62. 보상적 보철 장치(compensatory prosthetic devices):이완형 마비말장애치료에 해당되며 호흡치료로서 사용된다.
63. 과소운동형마비말장애:파킨슨증을 위한 약물치료로 L-dopa도파민대체와 항아세틸콜린약물,파킨슨증을 위한 행동치료로 말 속도 감소와 스트레칭연습, 전통적인 조음 치료가 있다.
64. 담창구 절단술(pallidotomy):언어장애 소견이 20%에서 보인 것 이외에 특별한 합병증이 관찰되지 않고, 시상파괴술에 효과가 없는 서동, 보행 및 평행장애에도 좋은 효과를 보인다.
65. 시상절단술(thalamotomy):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의 치료로서 파킨슨증을 위한 수술치료로 정의된다.
66. 뇌심부자극술(deep brain stimulation):과소운동형 마비말장애의 치료로서 파킨슨증을 위한 수술치료중의 하나이다.
67. 리 실버만 음성치료(Lee Silverman Voice Treatment, LSVT):목소리 크기를 증가시키는데에만 집중하고 환자에게 힘주어 발성하는 것을 수차례반복한다. 매일 반복하며 정상적인 음성크기를위하 환자의 음성이 측정되어야 한다.
68. 실조형마비말장애(ataxic):운율로서 속도조절과 강세와 억양이 필요하다.
69. 운동구어장애(motor speech disdorder):뇌손상으로 인하여 구어의 장애를 뜻한다.
70. 혼합형마비말장애(mixed):이 장애는 실조형, 경직형, 이완형, 과소운동형, 과다운동형 등의 구어 특징들이 다양하게 결합되어 나타난다. 구어운동시스템에서 한 개 이상의 손상이 있음을 의미한다.
71. 과대비성(hypernasality):공명이 과도하게 비성양성을 보인다.
72. 과소비성(hyponasality):공명이 과소비성과 비성제거인denasal상태이다.
73. 근육이상증(dystonia):모음이 왜곡되고 거친 음질과 불규칙적인 조음파열, 억압되고 꽉 쪼여진듯한음성이 특징이다.
74. 비성성(nasality):비강 공명 왜곡은 후두 기능과 관련이 없는 공명 장애로 인해 발생한다. 과비음 또는 심한 비음에서는 구개-인두 판막의 잘못된 제어가 있어 모음과 비음 자음이 과도하게 비음화된다.
75. 언어발달지체(Retaration of speech disorder):연령집단에 비해 언어발달이 느려 수용언어와 표현언어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영유아시기의 신체적발달지체가 원인이되어서 아이들이 언어발달지체를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 주장이 있다.
76. 내전 경련성 발성 장애(Adductor spasmodic dysphonia):이것은 가장 일반적인 유형입니다. 그것은 성대를 뻣뻣하게 만들고 닫히게 하는 갑작스러운 비자발적 경련을 일으킵니다.
77. 납치범 경련성 발성 장애(Abductor spasmodic dysphonia):이 유형은 흔하지 않으며 성대가 열리도록 유발하는 갑작스러운 비자발적 경련을 일으킵니다. 코드가 열린 상태에서는 진동이 발생하지 않아 소리를 내기가 어렵습니다.
78. 혼합 경련성 발성 장애(Mixed spasmodic dysphonia):이것은 매우 드물며 내전경련성발성장애와 납치범경련성발성장애유형의 발성 장애의 혼합 증상입니다.
79. 말산출(Speech Production Skills):말산출시 근육의 움직임의 속도, 힘, 범위, 시간, 정확성, 시기의 적절성 등의 문제를 보인다.
80. 약한(때때로 비성화됨) 압력 자음( weak pressure consonants):파열음/압력 자음이 음향학적인 변별성이 부족하고, 또는 비강 기류가 과도하여 약하거나 또는 산출하면허 불완전한 조음 접촉 때문에 발생함. 비성의 특성을 보일 수 있다.
<참고문헌>
1. Freed.D.B.저.권민선 외역.말운동장애진단과 치료(제2팡).2017
2. 김향희.신경언어장애.학지사.2022
3. 김향희(2012). 『신경언어장애』. 시그마프레스.
4. 권미선 외 4명(2017). 『말운동장애. 진단과 치료』. 박학사
5. 경직형과 이완형 마비말장애의조음음운오류 읽기 과제에서.연세대학교대학원언어병리학협동과정.박지현
6. 발달성말실행증.박서린.김향희.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삼성서울병원신경과
7. 취학전 조음장애와 음운장애 아동의 음운인식능력 비교 Comparison in Phonological Awareness Ability between Preschool Articulatory Disordered and Phonological Disordered Children김기범 (고신대학교 보건대학원 임상언어치료 전공 국내석사)
8. 실행증의 신경해부학 기초.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정 용
9. 후두적출술 환자의 발성법에 따른 음향학적 특성.장효령.심희정.고도흥.2005
10. 이영미, 김용운.(2016).말소리장애 아동의 말 산출 능력 향상을 위한 음성인식 어플리케이션 개발.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4(2),77-96.
11. [출처] [신경학적평가]상위운동신경과 하위운동신경병변의 평가|작성자 밸런스멘토
추천자료
[실어증][신경언어장애][K-BNT][실어증 치료][언어치료][언어장애]실어증의 역사, 실어증의 ...
[실어증][언어치료][신경언어장애][웨스턴실어증검사(WAB)]실어증 개념, 실어증 원인, 실어증...
AOS
Apraxia (실행증) 이란 무엇인가?
실행증(apraxia)
제06장. 신경 말 언어장애 - 실어증, 운동말장애의 유형
[의사소통장애]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및 임상특성(의사소통장애 개념정의, 의사소통장애의 임...
[조음음운장애] 조음 음운장애의 정의(개념)와 특성(특징), 조음음운장애 원인(요인)
Aphasia & Apraxia & Agnosia 정의 종류 평가 치료에 대해
생활과건강 기말] 1.위의 해부생리적 특성 2.위염의 예방 및 관리를 위한 방안 3.뇌졸중 증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