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만 0세 1학기 2학기 관찰일지 8명
본문내용
도구를 두드리며 소리 만들기에 몰입한다. ○○는 △△가 놀이하는 모습을 바라보며 △△에게 천천히 다가간다. 이내, ○○는 △△의 손에 있는 국자와 뒤집개를 빼앗는다. △△가 ○○에게 소리를 지르자 ○○는 국자와 뒤집개를 들고 반대쪽으로 달려간다.
예술경험
/
교사가 노래를 따라 부르며 통을 두들기자, 지켜보던 는 교사가 두들기는 통을 두들긴다. 교사가 의 앞에 통을 놓아주자, 양손으로 통을 두들긴다. 교사가 노래를 따라 부르며 머리를 양 옆으로 번갈아가며 흔들자, 통을 두들기던 가 손을 멈추고 머리를 양 옆으로 흔든다
자연탐구
/
교사가 블록을 세우자, ○○가 공을 던진다. 블록이 그대로이자, 다시 공을 주워 던진다. 블록이 그대로이자, 공을 손에 쥐고 블록을 쳐 넘어뜨린다. 교사가 다시 블록을 세우자, ○○가 손에 쥔 공으로 블록을 쳐 넘어뜨리며 소리 내어 웃는다. 다시 교사가 블록을 세우자, ○○가 손으로 공을 쥐고 블록을 쳐서 넘어뜨리며 소리 내어 웃는다.
2학기 영아 관찰일지 (만 0세)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기본생활
/
새 노래인 인사송을 감상하며 인사하는 모델링을 보여주니 교사의 행동을 유심히 바라본다. 교사가 ○○야, 안녕하세요~라고 말하며 배꼽 인사를 하니 교사를 바라보며 웃는다. 음원이 끝까지 재생된 후 노래가 들리지 않았지만, 교사가 ○○는 어떻게 인사를 해요?라고 물으니 손을 흔들기도 하고 허리를 숙여 인사하기를 시도한다. 교사가 엄마, 아빠, 선생님, 친구를 만날 땐 반갑게 인사할 수 있어요~라고 말하니 고개를 끄덕인다.
신체운동
/
방울 신발을 신은 ○○는 걸음을 걸을 때 방울 소리가 들리자 허리를 숙여 방울 신발을 바라본다. 이내 허리를 세우고 다시 자유롭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걸음을 걷던 ○○는 낮은 매트에 앉는다. ○○는 방울 신발을 발을 구르며 소리 듣기에 몰입한다. ○○는 이내 방울 신발을 벗고 신발을 들고 흔들거나 두드리며 방울 소리가 들리는 곳을 집중하여 바라본다.
의사소통
/
책꽂이에 있는 통통통 작은 공 그림책을 찾아 꺼낸다. ○○는 교사 앞에 다가와 그림책을 교사에게 밀어서 보여준다. ○○는 교사와 함께 반복해서 그림책 장면을 살펴보고 교사가 말해주는 동화 이야기를 듣는다. ○○는 교사와 3번을 반복해서 책을 읽어본다. ○○는 동화장면에 있는 공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고!(공) 하고 말한다. 교사가 격려해주자 ○○는 반복해서 고! 하고 말한다.
사회관계
/
바깥놀이 시 모래 속에 숨은 부모님 인형 찾기에 몰입한다. ○○는 부모님 인형을 찾고 바라보며 엄마, 아빠를 반복적으로 말한다. ○○는 이내 부모님 인형을 품에 안고 놀이터의 기구를 타거나 교사와 함께 놀이터를 거닌다. ○○는 부모님 인형을 손에 놓지 않고 놀이를 지속한다.
예술경험
/
친구 얼굴을 활용해서 만든 인형을 꺼내 놀이용 가방에 담는다. ○○는 역할놀이 영역 매트에 앉더니 가방에 담은 친구 얼굴 인형을 바닥에 내려놓는다. ○○는 친구 인형 옆에 음식을 내려놓기도 하고 숟가락으로 음식을 먹여주는 흉내를 낸다. 교사가 △△ 인형이 졸린 지 하품을 하네요~라고 말하니 ○○는 인형을 토닥여준다.
자연탐구
/
스티커를 붙여 선물 상자를 꾸민다. ○○는 붙이고 싶은 스티커를 손가락으로 가리켰고 교사가 스티커를 떼어주면 스스로 상자에 붙여 꾸미기를 시도한다. 스티커를 모두 붙인 후에는 손가락으로 스티커를 가리키고 옹알이한다. 교사가 스티커 모양 이름을 말해주자 또 다른 모양을 가리킨다. ○○는 교사가 들려주는 모양의 이름을 반복해서 듣는다.
2학기 영아 관찰일지 (만 0세)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기본생활
/
바깥 놀이터에서 놀이하며 다양한 놀이기구를 이용하며 놀이를 즐긴다. ○○는 교사와 함께 놀이기구 뒤에 숨어 까꿍 놀이를 하며 숨바꼭질을 경험한다. ○○는 놀이기구 뒤에 숨기 위해 놀이터를 자유롭게 돌아다닌다. 앞을 보며 걷던 ○○는 바닥을 보고 걷기 시작한다. 교사가 ○○에게 ○○야 조심해요! 놀이기구에 부딪힐 수 있어요.라고 말하자 고개를 들고 교사를 바라본다. 교사가 고개를 들고 앞을 보고 걸어볼까요?라고 말하자 ○○는 앞을 바라보고 걷는다.
신체운동
/
교사가 공을 굴리자, 는 공을 따라 간다. 공을 잡고 팔을 뻗어 던진다. 공이 바닥에 떨어지자, 는 공을 따라 가 다시 잡아서 들어 올린다. 교사가 공을 굴리자, 는 손에 쥐고 있던 공을 떨어뜨리고 교사가 굴린 공을 따라 간다. 교사가 굴린 공을 잡고 들어 올려 팔을 뻗어 던진다.
의사소통
/
부드러운 스카프를 탐색하고 교사와 까꿍 놀이한다. 스카프를 잡고 흔들거나 교사와 마주 보고 스카프를 잡아당기며 신체놀이를 즐긴다. 스카프 잡아당기기 놀이 시 영아가 교사와 점점 가까워져 당기기 놀이를 즐길 수 없게 된다. 교사가 영아에게 ○○야, 엉덩이를 뒤로 움직여볼까요?라고 말하며 엉덩이 걸음마 모델링을 보이자 ○○는 뒤로 엉덩이를 밀며 움직인다.
사회관계
/
어린이집에 등원한 는 교사의 손을 잡고 교실로 들어가던 중 다른 반 교사와 마주친다. 다른 반 교사가 에게 반갑게 인사를 하며 손을 뻗어 안아주려고 하자 에가 담임교사의 다리를 잡고 뒤로 숨은 후 표정을 찡그리며 울음을 보인다.
예술경험
/
색깔 클레이의 색, 촉감을 탐색한 뒤 클레이를 작게 떼어낸다. ○○는 작게 떼어낸 클레이를 다시 손바닥에 쥐고 펴기를 반복한다. 교사는 ○○가 만든 모양을 보고 송편이라고 표현해주며 추석에 먹어보았던 음식에 관해 상호작용하며 그릇을 책상 위에 올려주자 ○○는 빈 접시에 클레이를 가득 올린다. 교사가 송편이 정말 맛있게 생겼네요!라고 말하자 맘마~라고 말한다.
자연탐구
/
표정 맞추기 교구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 ○○는 다양한 모양의 눈, 코, 입 조각을 탐색하며 얼굴판에 조각을 반복해서 붙인다. ○○는 얼굴판에 눈 2개, 코 1개, 입 1개를 붙이고 살펴보더니 자신의 눈, 코, 입을 손가락으로 가리킨다. 눈, 코, 입의 위치는 정확하지 않았지만, 개수는 정확히 표현하였다.
예술경험
/
교사가 노래를 따라 부르며 통을 두들기자, 지켜보던 는 교사가 두들기는 통을 두들긴다. 교사가 의 앞에 통을 놓아주자, 양손으로 통을 두들긴다. 교사가 노래를 따라 부르며 머리를 양 옆으로 번갈아가며 흔들자, 통을 두들기던 가 손을 멈추고 머리를 양 옆으로 흔든다
자연탐구
/
교사가 블록을 세우자, ○○가 공을 던진다. 블록이 그대로이자, 다시 공을 주워 던진다. 블록이 그대로이자, 공을 손에 쥐고 블록을 쳐 넘어뜨린다. 교사가 다시 블록을 세우자, ○○가 손에 쥔 공으로 블록을 쳐 넘어뜨리며 소리 내어 웃는다. 다시 교사가 블록을 세우자, ○○가 손으로 공을 쥐고 블록을 쳐서 넘어뜨리며 소리 내어 웃는다.
2학기 영아 관찰일지 (만 0세)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기본생활
/
새 노래인 인사송을 감상하며 인사하는 모델링을 보여주니 교사의 행동을 유심히 바라본다. 교사가 ○○야, 안녕하세요~라고 말하며 배꼽 인사를 하니 교사를 바라보며 웃는다. 음원이 끝까지 재생된 후 노래가 들리지 않았지만, 교사가 ○○는 어떻게 인사를 해요?라고 물으니 손을 흔들기도 하고 허리를 숙여 인사하기를 시도한다. 교사가 엄마, 아빠, 선생님, 친구를 만날 땐 반갑게 인사할 수 있어요~라고 말하니 고개를 끄덕인다.
신체운동
/
방울 신발을 신은 ○○는 걸음을 걸을 때 방울 소리가 들리자 허리를 숙여 방울 신발을 바라본다. 이내 허리를 세우고 다시 자유롭게 움직이기 시작한다. 걸음을 걷던 ○○는 낮은 매트에 앉는다. ○○는 방울 신발을 발을 구르며 소리 듣기에 몰입한다. ○○는 이내 방울 신발을 벗고 신발을 들고 흔들거나 두드리며 방울 소리가 들리는 곳을 집중하여 바라본다.
의사소통
/
책꽂이에 있는 통통통 작은 공 그림책을 찾아 꺼낸다. ○○는 교사 앞에 다가와 그림책을 교사에게 밀어서 보여준다. ○○는 교사와 함께 반복해서 그림책 장면을 살펴보고 교사가 말해주는 동화 이야기를 듣는다. ○○는 교사와 3번을 반복해서 책을 읽어본다. ○○는 동화장면에 있는 공을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고!(공) 하고 말한다. 교사가 격려해주자 ○○는 반복해서 고! 하고 말한다.
사회관계
/
바깥놀이 시 모래 속에 숨은 부모님 인형 찾기에 몰입한다. ○○는 부모님 인형을 찾고 바라보며 엄마, 아빠를 반복적으로 말한다. ○○는 이내 부모님 인형을 품에 안고 놀이터의 기구를 타거나 교사와 함께 놀이터를 거닌다. ○○는 부모님 인형을 손에 놓지 않고 놀이를 지속한다.
예술경험
/
친구 얼굴을 활용해서 만든 인형을 꺼내 놀이용 가방에 담는다. ○○는 역할놀이 영역 매트에 앉더니 가방에 담은 친구 얼굴 인형을 바닥에 내려놓는다. ○○는 친구 인형 옆에 음식을 내려놓기도 하고 숟가락으로 음식을 먹여주는 흉내를 낸다. 교사가 △△ 인형이 졸린 지 하품을 하네요~라고 말하니 ○○는 인형을 토닥여준다.
자연탐구
/
스티커를 붙여 선물 상자를 꾸민다. ○○는 붙이고 싶은 스티커를 손가락으로 가리켰고 교사가 스티커를 떼어주면 스스로 상자에 붙여 꾸미기를 시도한다. 스티커를 모두 붙인 후에는 손가락으로 스티커를 가리키고 옹알이한다. 교사가 스티커 모양 이름을 말해주자 또 다른 모양을 가리킨다. ○○는 교사가 들려주는 모양의 이름을 반복해서 듣는다.
2학기 영아 관찰일지 (만 0세)
교사
원장
이름
000
성별
0
생년월일
년 월 일
표준보육과정
관련영역
관찰일
관찰내용
기본생활
/
바깥 놀이터에서 놀이하며 다양한 놀이기구를 이용하며 놀이를 즐긴다. ○○는 교사와 함께 놀이기구 뒤에 숨어 까꿍 놀이를 하며 숨바꼭질을 경험한다. ○○는 놀이기구 뒤에 숨기 위해 놀이터를 자유롭게 돌아다닌다. 앞을 보며 걷던 ○○는 바닥을 보고 걷기 시작한다. 교사가 ○○에게 ○○야 조심해요! 놀이기구에 부딪힐 수 있어요.라고 말하자 고개를 들고 교사를 바라본다. 교사가 고개를 들고 앞을 보고 걸어볼까요?라고 말하자 ○○는 앞을 바라보고 걷는다.
신체운동
/
교사가 공을 굴리자, 는 공을 따라 간다. 공을 잡고 팔을 뻗어 던진다. 공이 바닥에 떨어지자, 는 공을 따라 가 다시 잡아서 들어 올린다. 교사가 공을 굴리자, 는 손에 쥐고 있던 공을 떨어뜨리고 교사가 굴린 공을 따라 간다. 교사가 굴린 공을 잡고 들어 올려 팔을 뻗어 던진다.
의사소통
/
부드러운 스카프를 탐색하고 교사와 까꿍 놀이한다. 스카프를 잡고 흔들거나 교사와 마주 보고 스카프를 잡아당기며 신체놀이를 즐긴다. 스카프 잡아당기기 놀이 시 영아가 교사와 점점 가까워져 당기기 놀이를 즐길 수 없게 된다. 교사가 영아에게 ○○야, 엉덩이를 뒤로 움직여볼까요?라고 말하며 엉덩이 걸음마 모델링을 보이자 ○○는 뒤로 엉덩이를 밀며 움직인다.
사회관계
/
어린이집에 등원한 는 교사의 손을 잡고 교실로 들어가던 중 다른 반 교사와 마주친다. 다른 반 교사가 에게 반갑게 인사를 하며 손을 뻗어 안아주려고 하자 에가 담임교사의 다리를 잡고 뒤로 숨은 후 표정을 찡그리며 울음을 보인다.
예술경험
/
색깔 클레이의 색, 촉감을 탐색한 뒤 클레이를 작게 떼어낸다. ○○는 작게 떼어낸 클레이를 다시 손바닥에 쥐고 펴기를 반복한다. 교사는 ○○가 만든 모양을 보고 송편이라고 표현해주며 추석에 먹어보았던 음식에 관해 상호작용하며 그릇을 책상 위에 올려주자 ○○는 빈 접시에 클레이를 가득 올린다. 교사가 송편이 정말 맛있게 생겼네요!라고 말하자 맘마~라고 말한다.
자연탐구
/
표정 맞추기 교구에 많은 관심을 보인다. ○○는 다양한 모양의 눈, 코, 입 조각을 탐색하며 얼굴판에 조각을 반복해서 붙인다. ○○는 얼굴판에 눈 2개, 코 1개, 입 1개를 붙이고 살펴보더니 자신의 눈, 코, 입을 손가락으로 가리킨다. 눈, 코, 입의 위치는 정확하지 않았지만, 개수는 정확히 표현하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