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교양 심리학에게묻다 강의 및 교재 5장 절대 닮고 싶지 않은 나의 부모에 대한 이해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가족과 나의 문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통교양 심리학에게묻다 강의 및 교재 5장 절대 닮고 싶지 않은 나의 부모에 대한 이해의 내용을 바탕으로 하여 가족과 나의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정서적 단절의 개념
2. 정서적 단절 개념의 실제적 적용
3. 배운점을 통한 가족구성원 간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니 아들을 이해하려는 접근보다 타이르고 가르쳐야 한다는 생각이 먼저였다. 하지만 부모의 부족으로 인해 아들에게 불안의 감정이 생겼다는 것을 알게 되니 미안한 마음뿐이다.
따라서, 필자는 가장 먼저 가족상담센터를 방문해보고자 한다. 남편과 필자에게 원가족으로부터 전해져온 정서적 문제나 불안은 없는지 확인하며 보다 전문적인 차원에서 아들을 이해하고 정서적으로 원활한 대화와 소통을 이어가고 싶기 때문이다. 또 부모로서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이루어주고 싶은 마음이다.
둘째로, 필자는 본문 작성을 위해 참고한 『심리학에게 묻다』 5장 내용의 ‘용서하기’를 적극적으로 적용할 계획이다. 1단계는 상담센터를 통해 실천할 수 있을 것 같고, 2단계를 통해서는 지금까지 잘못했던 부분인 ‘회피’를 진정한 ‘용서’로 전환하고자 한다. 3단계 실천 방법처럼, 새로운 눈으로 아들을 바라보고 공감과 측은지심을 갖도록 노력할 것이다. 그리고 필자의 상처를 직면하고 이 상처를 흡수하여 아들에게 돌려주지 않도록 노력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유리,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자녀의 정서적 단절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유숙인, “정서적 단절을 경험하는 중년기 부부에 대한 정서중심부부상담 성과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13, 6.
공감신문 오피니언, 이장원, “청소년 자살 예방, 학교와 가정의 역할은 무엇인가?”, https://www.gokorea.kr/news/articleView.html?idxno=833632
하혜숙, 강지현, 심리학에게 묻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2020
  • 가격3,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25.09.04
  • 저작시기202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2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