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식용작물학1, 공통형)1. 7월부터 9월까지 일평균 기온이 40도에 육박하고, 일중 최저 온도가 30도를 유지한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보이는 생육 상의 특징들을 예측하라.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 현황을 조사하고 과거 10년간의 변화량에 대해서 분석하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2025학년도 2학기 중간과제물, 식용작물학1, 공통형)1. 7월부터 9월까지 일평균 기온이 40도에 육박하고, 일중 최저 온도가 30도를 유지한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보이는 생육 상의 특징들을 예측하라.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 현황을 조사하고 과거 10년간의 변화량에 대해서 분석하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7월부터 9월까지 일평균 기온이 40도에 육박하고, 일중 최저 온도가 30도를 유지한다고 가정했을 때, 우리나라에서 재배되고 있는 벼가 보이는 생육 상의 특징들을 예측하라.
1) 영양생장기(Vegetative Growth Phase)
2) 생식생장기(Reproductive Growth Phase)
3) 등숙기(Grain Filling Phase)
4) 종합적 영향 및 적응 가능성

2. 우리나라와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 현황을 조사하고 과거 10년간의 변화량에 대해서 분석하라.
2-1. 자료 출처 및 조사 개요

2-2. 우리나라 벼 재배 및 생산 현황
1) 과거 10년(2014-2023) 변화량
2) 변화량 분석
3) 그래프: 생산량 추이(그래프)

2-3.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 현황
1) 과거 10년(2014-2023) 변화량
2) 변화량 분석
3) 그래프: 생산량 추이(그래프)

2-4. 시사점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3.70, 지속 하락 추세)
2-3. 전 세계 벼 재배 및 생산 현황
전 세계 벼 생산은 아시아 중심으로 안정적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3/24년 생산량은 약 776백만 톤(2022년 기준, FAO 2023 업데이트)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25년에는 FAO 추정으로 543백만 톤(milled equivalent, 가공 후 기준, paddy 기준 약 790백만 톤 추정)으로 추가 증가할 전망이다. 주요 생산국은 중국(약 145백만 톤, 2023)과 인도(약 135백만 톤, 2023)로,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한다. 수확 면적은 2023년 약 165백만 헥타르로 안정적이나, 기후 변화와 수요 증가로 인해 생산 효율(수확량/면적)이 점차 향상되고 있다.
1) 과거 10년(2014-2023) (변화량
아래 표는 FAO 및 USDA의 2023-2024 보고서를 기반으로 한 연도별 수확 면적과 생산량이다. (단위: 수확 면적 - 백만 헥타르, 생산량 - 백만 톤, paddy rice 기준).
연도
수확 면적(백만 헥타르)
생산량(백만 톤)
2014
163.5
739.0
2015
164.0
742.7
2016
164.8
750.0
2017
162.1
775.0
2018
163.5
782.7
2019
164.0
776.0
2020
163.0
757.0
2021
164.0
781.0
2022
165.0
776.5
2023
165.0
776.0
(자료: FAO Statistical Yearbook 2023 및 Cereal Supply and Demand Brief 2024; 2023년 데이터는 USDA 2024 업데이트 반영)
2) 변화량 분석
(1) 수확 면적 변화
2014-2023 총 변화량 +1.5백만 헥타르(약 +0.9%). 연평균 변화율(CAGR) +0.1%. 안정적 수준으로, 인도와 중국의 면적 확대가 주효했으나, 기후 요인(홍수, 가뭄)으로 일부 변동.
(2) 생산량 변화
2014-2023 총 변화량 +37.0백만 톤(약 +5.0%). 연평균 변화율(CAGR) +0.5%. 생산량 증가는 수확량 향상(기술 발전, 비료 사용 증가)으로 인한 것으로, 2017-2018년 급증 후 2020년 팬데믹 영향으로 일시 하락. 2024년 전망(790백만 톤)은 +1.8% 증가로, 인도와 동남아의 기상 호조가 기여할 것으로 예상.
3) 그래프: 생산량 추이 (그래프)
생산량 (백만 톤)
800 |
| * *
750 | * *
| * *
700 | *
| *
65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014 2016 2018 2020 2022 2023 (연도)
( * : 실제 데이터 포인트; 2014년 739 → 2023년 776, 안정적 상승 추세)
2-4. 시사점
1) 전 세계 vs. 우리나라 비교
전 세계는 생산·면적 모두 안정 증가(인구 증가·수요 확대)하나, 우리나라는 감소 추세로 자급 중심에서 수출·다각화로 전환 중. 전 세계 CAGR(생산 +0.5%) 대비 우리나라(-0.8%)의 격차는 기후 취약성과 정책 차이에서 비롯되었다
2) 변화 요인
①전 세계: 기술 혁신(유전자 편집 품종)과 아시아 확대
②우리나라: 면적 축소 정책(과잉 공급 139천 톤/년, 2013-2022 평균)과 기후(2024 고온 피해). 긍정적인 것은 단위 수량 향상(우리국 1.0%↑, 2023)이다.
3) 미래 전망
①전 세계 2025/26년 555백만 톤(milled)으로 기록 고수(FAO 2025)
②우리나라 2025/26년 3.58백만 톤 예상(USDA 2025),
③수출 확대(2025 20만 톤 목표)로 대응
④지속가능한 재배(메탄 배출 저감 품종 도입)가 필요하다.
Ⅲ. 결론
극단적 고온 조건(7~9월, 일평균 기온 40℃, 최저 30℃)은 우리나라의 일본형(japonica) 벼 재배에 심각한 생리적·생태적 영향을 미친다. 일본형 벼는 온대 기후에 적응된 기상 생태형으로, 고온 스트레스에 취약하여 영양생장기(분얼·생장률 저하), 생식생장기(꽃가루 불임·출수 지연), 등숙기(백립 증가·수확량 감소) 전 단계에서 생산성과 품질 손실이 예상된다. 특히, 40℃의 지속적 고온은 생리적 한계를 초과하며, 일본형 벼의 열 충격 단백질 발현 및 대사 조절 능력이 열대형 인디카 품종에 비해 약해 생태형 간 차별화된 취약성이 두드러진다. 이를 극복하려면 고온 내성 품종 도입, 재배 시기 조정, 관개·차광 기술 등 기후 적응 전략이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벼 재배는 지난 10년(2014~2024) 동안 재배면적(-14.5%)과 생산량(-15.5%)이 지속 감소하며 구조적 쇠퇴를 보인반면, 전 세계는 재배면적(+0.9%)과 생산량(+8.6%)이 완만히 증가하였다. 국내는 고령화, 소비 감소, 고온·가뭄 등으로 하락세가 뚜렷하며, 글로벌 생산은 중국·인도 중심의 생산성 향상(GMO, 관개)으로 안정적이다. 그러나 기후 변화로 인한 변동성과 무역 불균형은 지속 가능성에 잠재적 위협이다. 따라서 우리나라는 고온 내성 품종 개발과 스마트 농업 기술로 생산 안정성을 높이고, 세계적으로는 FAO의 기후 적응 전략(Rice Outlook)을 통해 식량 안보를 강화해야 한다. 본 연구는 2023~2025년 통계자료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향후 최신 기상 및 생산 데이터 갱신이 필요하다.
Ⅳ. 참고문헌
통계청, 2024년산 논벼(쌀) 생산비조사 결과, 2025
통계청, 2024년 쌀 생산량조사 결과, 농어업통계과, 2024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농업 기후변화 적응 전략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2023
FAO, FAOSTAT: Crops and livestock products, 2023, https://www.fao.org/faostat
OECD-FAO, Agricultural Outlook 2025-2034: Cereals, OECD Publishing, 202
농촌진흥청, 「기후변화 대응 농업 연구 현황」, 농업기술자료집, 2023,
한국농어민신문, 기후위기 대응···농작물 생육 스트레스 AI로 예측한다, 2025.08.05.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25.09.22
  • 저작시기2025.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5601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