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입이 전체의 60%에 이르는 만큼 호소로 유입되는 하수 및 오폐수의 철저한 정화가 필요하다. 이 외에 황산구리(CuSO4)나 활성탄을 살포하여 조류를 인공적으로 제거하거나 공기주입, 강제혼합법 등의 적극적인 방법을 통하여 이미 부영양화가 일어난 호소나 바다의 자정능력을 촉진시키는 방법도 있다.
빈영양화(貧營養化, oligotrophic)
최저수준의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정상적인 물은 농화(enrichment)되지 않은 상태로서 빈영양화되었다고 하는데 영양물질의 양 부족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제한요소로 작용하여 적은 개체수의 수서생물과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
빈 영양환경은 해수 중에 용존 하고 있는 영양물질인 질소 인산염이나 규소 탄소의 영양 물질을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일반적으로 해수중의 용존 함량을 탄소함량의 기준으로 나타낸다. 현재 해수 중의 1mgC/l 이하의 용존 탄소 함량의 환경을 빈 영양환경이라 한다. 빈 영양 세균의 일반적 개념은 Kuznetsov 등(1979)이 review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은 자연에 분포하고 있는 세균군 중에서 대략 1~15mgC/l의 소량의 유기물을 함유한 배지에서 최초 분리 배양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부영양 배지에도 증식하고 빈 영양배지에서도 계속 증식되는 세균을 잠정적인 빈영양 수생세균(oligotrophic aquatic bacteria)라 하였다.
연안해역은 도시 하수나 공장폐수 등의 많은 유기물이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기 때문에 영양물질이 풍부하지만 외양으로 나아갈수록 연안해역의 영향을 벗어나며 영양물질도 점점 희박해져 빈 영양화 현상이 일어난다.
빈영양화(貧營養化, oligotrophic)
최저수준의 영양물질을 포함하는 정상적인 물은 농화(enrichment)되지 않은 상태로서 빈영양화되었다고 하는데 영양물질의 양 부족이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제한요소로 작용하여 적은 개체수의 수서생물과 깨끗한 상태를 유지한다.
빈 영양환경은 해수 중에 용존 하고 있는 영양물질인 질소 인산염이나 규소 탄소의 영양 물질을 기준으로 구분하는데 일반적으로 해수중의 용존 함량을 탄소함량의 기준으로 나타낸다. 현재 해수 중의 1mgC/l 이하의 용존 탄소 함량의 환경을 빈 영양환경이라 한다. 빈 영양 세균의 일반적 개념은 Kuznetsov 등(1979)이 review한 것이 잘 알려져 있다. 그들은 자연에 분포하고 있는 세균군 중에서 대략 1~15mgC/l의 소량의 유기물을 함유한 배지에서 최초 분리 배양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부영양 배지에도 증식하고 빈 영양배지에서도 계속 증식되는 세균을 잠정적인 빈영양 수생세균(oligotrophic aquatic bacteria)라 하였다.
연안해역은 도시 하수나 공장폐수 등의 많은 유기물이 하천을 통하여 유입되기 때문에 영양물질이 풍부하지만 외양으로 나아갈수록 연안해역의 영향을 벗어나며 영양물질도 점점 희박해져 빈 영양화 현상이 일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