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고전주의문학의 배경
Ⅲ. 고전주의문학의 이론
1. 모방론
2. 이성
3. 인본주의
4. 형식성
5. 비극성
Ⅳ. 고전주의문학의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징 및 작가
1. 형성기(1610~1660년) : 정치적 동요․혼란․불규칙의 시대
1)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1650)의 합리주의
2) 파스칼(Blaise Pascal, 1623~1662)
3) 코르네이유(Pierre Corneille, 1606~1684)
2. 개화기(1660~1690년) : 승리․균형의 시대
1) 니콜라 브왈로(Nicolas Boileau, 1636~1711)
2) 몰리에르(Moliere, 1622~1673)
3) 라신(Jean Racine, 1639~1699)
4) 라 퐁텐느(La Fontaine, 1621~1695)의『우화시집』
3. 전환기(1690~1715년) : 불안의 시대, 고전주의 시대의 종말
1) 신구 논쟁(La Querel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2) 라 브뤼옐(Jean de La Bruyere, 1645~1696)의『성격론』
Ⅴ. 고전주의문학의 영향
Ⅵ. 결론
참고문헌
Ⅱ. 고전주의문학의 배경
Ⅲ. 고전주의문학의 이론
1. 모방론
2. 이성
3. 인본주의
4. 형식성
5. 비극성
Ⅳ. 고전주의문학의 전개과정과 시대별 특징 및 작가
1. 형성기(1610~1660년) : 정치적 동요․혼란․불규칙의 시대
1) 데카르트(Rene Descartes, 1596~1650)의 합리주의
2) 파스칼(Blaise Pascal, 1623~1662)
3) 코르네이유(Pierre Corneille, 1606~1684)
2. 개화기(1660~1690년) : 승리․균형의 시대
1) 니콜라 브왈로(Nicolas Boileau, 1636~1711)
2) 몰리에르(Moliere, 1622~1673)
3) 라신(Jean Racine, 1639~1699)
4) 라 퐁텐느(La Fontaine, 1621~1695)의『우화시집』
3. 전환기(1690~1715년) : 불안의 시대, 고전주의 시대의 종말
1) 신구 논쟁(La Querel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2) 라 브뤼옐(Jean de La Bruyere, 1645~1696)의『성격론』
Ⅴ. 고전주의문학의 영향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려 보이고 있는데, 그는 특히 여성의 마음이라거나, 사랑을 받지 못하는 연인들을 그리는 데 뛰어난 면모를 보인다. 라신의 문체의 주요 특성은 단순함과 용어의 정확함, 시정, 그리고 하모니로, 심리적 통찰과 시적인 힘을 완벽한 형식 속에 넣고 있는 라신의 예술은 고전주의 정수의 가장 순수한 표현이다.
4) 라 퐁텐느(La Fontaine, 1621~1695)의『우화시집』
1부, 라 퐁뗀느씨에 의해 운문화 된 이솝 우화라는 표재로 이솝의 생애를 머리에 붙였고 그 이후 2,3부의 총 12권으로 발표하였다. 자유분방한 시인은 그의 성격에 어울리게 온갖 원천에서 빌어오고 소화(小話), 대화(對話), 목가, 비가, 풍자시 등 온갖 장르가 뒤섞인 동물을 의인화한 인간생활의 파노라마, 프랑스 사화의 파노라마를 창조해 냈다. 그는 EH한 자연과 고대를 스승으로 받드는 고전주의의 이상에 충실한 시인이었다.
3. 전환기(1690~1715년) : 불안의 시대, 고전주의 시대의 종말
1) 신구 논쟁(La Querel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고전주의는 두 가지의 다른 요소, 즉 이성에 대한 기호와 아름다움에 대한 기호로 이루어졌다. 세기말에 이르면 아름다움에의 기호는 고대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고대파로, 정신을 미래 쪽으로 끌고 가는 이성에 대한 기호는 근대파로 갈려져 고전주의의 위기를 가져오게 된다. 한 개선문의 비명에서 왕의 영광을 기리는 데 라틴어로 쓰느냐 프랑스어로 쓰느냐하는 것이 문제되기 시작하면서 논쟁이 가열되었고, <동화>의 작자 샤를 페로(Charles ferrault)의 대담한 선언으로 큰 싸움이 벌어졌다. 그는 온 아카데미 회원들 앞에서 근대의 시인들이 그리스-로마 인들보다도 우월함을 선언하는 한편의 시를 낭송했다.
2) 라 브뤼옐(Jean de La Bruyere, 1645~1696)의『성격론』
궁정인들과 파리의 시민들을 관찰하여 그들의 심리와 성격과 풍속 등의 별난 모습을 폭로하고 우리 인간에게 교훈을 주려고 했다. (그는 Moraliste 이다) 그는 외부에서 내면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인간의 초상화를 제공하고 있다. 그와 같은 모랄리스트인 라 로슈푸코는 「잠언집」에서 격언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적나라하게 파헤치고 있는 반면, 라 브뤼예르는 인간의 외적 행동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내면의 성격이 어떻게 표출되는 가를 보여주고 있다.
Ⅴ. 고전주의문학의 영향
a. 시정에서 여론을 일으키고 한 시대의 풍조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살롱, 카페, 클럽 등이 있었으며, 신문 잡지가 세력을 얻어 대두했다.
b. 프랑스의 살롱은 문예계의 유행을 만들고 취미 향상을 위해서 상당한 세력을 가졌었는데, 그 명맥이 지속된 것은 특기할 만하다.
c. 영국에는 프랑스의 살롱에 견줄만한 커피점 혹은 클럽이 있다.
d. 신문 잡지가 17세기 초엽 이래 점차 그 수효를 증가하게 되어 18세기에 들어서 런던에는 일간신문이 만들어지고 여론 진흥의 기관이 사방에서 우후죽순처럼 나타났다.
e. 일체의 문화 생화의 중심이 궁정에서 시정으로, 귀족 사회에서 부르주아지에게로 옮겨졌다.
f. 기발한 것에서 평범한 것으로, 독창적인 것에서 상식적인 것을 전락한다.
g. 상상은 좁혀지고 정서는 메말라 가서 다만 기지와 유머만이 상식적 문학을 무미건조한 데에서 구제하게 만든다.
h. 문학은 공리적 색채와 교훈적 경향을 띄게 되어, 18세기 문학의 바탕이 되었으며, 이 경향은 영국에서 재빨리 나타나 점차 남구라파에 번졌다.
Ⅵ. 결론
고전주의는 이성을 문학의 기초로 삼고 있고 그 모토는 인간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기 때문에 리얼리즘 문학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러한 리얼리즘은 신랄한 풍자와 날카로운 조소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전주의는 추상적인 개성보다는 유형적인 성격을 나타내게 하는 경향을 갖게 하고 인간의 감각적인 측면과 상상력을 경시하며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 있게 파고드는 장점이 있다. 그들의 문학이 심리 분석, 심리 묘사의 문학이 된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인 것이다.
참고문헌
문덕수, 세계문예대사전, 성문각, 1975
성기조, 문예사조, 한국문화사
심상욱, 문예사조의 이해,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9
신곽균, 서양문예사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이상섭, 르네상스와 신고전주의 비평, 믿음사, 1985
David Irwin, 신고전주의, 한길 아트
F. G Hoffman und H. Roesch, 독일문학사, 신일사, 1994
4) 라 퐁텐느(La Fontaine, 1621~1695)의『우화시집』
1부, 라 퐁뗀느씨에 의해 운문화 된 이솝 우화라는 표재로 이솝의 생애를 머리에 붙였고 그 이후 2,3부의 총 12권으로 발표하였다. 자유분방한 시인은 그의 성격에 어울리게 온갖 원천에서 빌어오고 소화(小話), 대화(對話), 목가, 비가, 풍자시 등 온갖 장르가 뒤섞인 동물을 의인화한 인간생활의 파노라마, 프랑스 사화의 파노라마를 창조해 냈다. 그는 EH한 자연과 고대를 스승으로 받드는 고전주의의 이상에 충실한 시인이었다.
3. 전환기(1690~1715년) : 불안의 시대, 고전주의 시대의 종말
1) 신구 논쟁(La Querel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고전주의는 두 가지의 다른 요소, 즉 이성에 대한 기호와 아름다움에 대한 기호로 이루어졌다. 세기말에 이르면 아름다움에의 기호는 고대로 되돌아가도록 하는 고대파로, 정신을 미래 쪽으로 끌고 가는 이성에 대한 기호는 근대파로 갈려져 고전주의의 위기를 가져오게 된다. 한 개선문의 비명에서 왕의 영광을 기리는 데 라틴어로 쓰느냐 프랑스어로 쓰느냐하는 것이 문제되기 시작하면서 논쟁이 가열되었고, <동화>의 작자 샤를 페로(Charles ferrault)의 대담한 선언으로 큰 싸움이 벌어졌다. 그는 온 아카데미 회원들 앞에서 근대의 시인들이 그리스-로마 인들보다도 우월함을 선언하는 한편의 시를 낭송했다.
2) 라 브뤼옐(Jean de La Bruyere, 1645~1696)의『성격론』
궁정인들과 파리의 시민들을 관찰하여 그들의 심리와 성격과 풍속 등의 별난 모습을 폭로하고 우리 인간에게 교훈을 주려고 했다. (그는 Moraliste 이다) 그는 외부에서 내면을 자연스럽게 관찰할 수 있도록 인간의 초상화를 제공하고 있다. 그와 같은 모랄리스트인 라 로슈푸코는 「잠언집」에서 격언을 통해 인간의 내면을 적나라하게 파헤치고 있는 반면, 라 브뤼예르는 인간의 외적 행동을 사실적으로 묘사하여 내면의 성격이 어떻게 표출되는 가를 보여주고 있다.
Ⅴ. 고전주의문학의 영향
a. 시정에서 여론을 일으키고 한 시대의 풍조를 유발시키는 것으로 살롱, 카페, 클럽 등이 있었으며, 신문 잡지가 세력을 얻어 대두했다.
b. 프랑스의 살롱은 문예계의 유행을 만들고 취미 향상을 위해서 상당한 세력을 가졌었는데, 그 명맥이 지속된 것은 특기할 만하다.
c. 영국에는 프랑스의 살롱에 견줄만한 커피점 혹은 클럽이 있다.
d. 신문 잡지가 17세기 초엽 이래 점차 그 수효를 증가하게 되어 18세기에 들어서 런던에는 일간신문이 만들어지고 여론 진흥의 기관이 사방에서 우후죽순처럼 나타났다.
e. 일체의 문화 생화의 중심이 궁정에서 시정으로, 귀족 사회에서 부르주아지에게로 옮겨졌다.
f. 기발한 것에서 평범한 것으로, 독창적인 것에서 상식적인 것을 전락한다.
g. 상상은 좁혀지고 정서는 메말라 가서 다만 기지와 유머만이 상식적 문학을 무미건조한 데에서 구제하게 만든다.
h. 문학은 공리적 색채와 교훈적 경향을 띄게 되어, 18세기 문학의 바탕이 되었으며, 이 경향은 영국에서 재빨리 나타나 점차 남구라파에 번졌다.
Ⅵ. 결론
고전주의는 이성을 문학의 기초로 삼고 있고 그 모토는 인간을 있는 그대로 묘사하기 때문에 리얼리즘 문학이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이러한 리얼리즘은 신랄한 풍자와 날카로운 조소와 연결되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고전주의는 추상적인 개성보다는 유형적인 성격을 나타내게 하는 경향을 갖게 하고 인간의 감각적인 측면과 상상력을 경시하며 인간의 내면세계를 깊이 있게 파고드는 장점이 있다. 그들의 문학이 심리 분석, 심리 묘사의 문학이 된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인 것이다.
참고문헌
문덕수, 세계문예대사전, 성문각, 1975
성기조, 문예사조, 한국문화사
심상욱, 문예사조의 이해, 전주대학교 출판부, 1999
신곽균, 서양문예사조,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이상섭, 르네상스와 신고전주의 비평, 믿음사, 1985
David Irwin, 신고전주의, 한길 아트
F. G Hoffman und H. Roesch, 독일문학사, 신일사, 1994
추천자료
고전주의와낭만주의
프랑스 문학사조
르네상스와 프랑스 고전주의
르네상스와 프랑스 고전주의
고전주의 대 낭만주의 문예사조 비교 [A+]
문학용어정리
18세기 계몽주의 프랑스 문학
[낭만주의][낭만주의 발생배경][낭만주의시대][낭만주의 음악][낭만주의 문학]낭만주의의 발...
독일문학사조 전체 요약!!
낭만주의 발레와 고전주의 발레의 비교
[독일문학사]낭만주의(Romantik)
[낭만주의][낭만파][미술][발레][문학][음악][과학기술][건축]낭만주의(낭만파) 미술, 낭만주...
[고전주의][고전주의 전개][고전주의 발생조건][계몽주의][언어개량운동]고전주의의 개념, 고...
[고전주의][고전주의 대두][고전주의 음악][고전주의와 낭만주의 비교][고전주의 영향]고전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