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사례조사-가나아트센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관사례조사-가나아트센터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그것이다.
환기미술관의 건축은 직각을 이루며 간결하고도 미니멀적이라는 느낌을 주는 반면 자연의
느낌을 주는 지붕을 갖추고 있었다. 지붕은 우리나라 옛 건축의 기와를 닮은 듯 했다. 동
그란 반 원 옆에 삐죽이 나온 양 옆 사각형으로 되어 있었는데 전체적인 지붕의 모습은
기와를 연상시켰다. 그리고 그 색채또한 기와의 색으로 자연의 푸르름에 대하여 거부감없
이 자연스레 다가왔다. 전통건축 지붕의 장식성을 희화한 것으로 느껴졌다. 현대적인 느
낌과 전통의 느낌이 잘 조화되고 있었다.
비대칭성.
주건물은 여러개의 덩어리가 이어져 있는 건축물로써 그 덩어리간의 배열을 보면 언뜻
보기엔 대칭으로 보이나 자세히 살펴보면 비대칭적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
다. 기와의 모양을 지닌듯한 건물 두 개는 나란히 대칭으로 붙어 있는 듯 보인다. 그러나
자세히 보면 그 두 건물이 대칭적으로 보이면서도 조금 비켜나져 있어서 비대칭으로 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고건축의 특징처럼 조금씩 변화를 취하고 있는 것이다.
환기미술관의 계단에서 볼 수 있는 \'긴장과 이완\'처럼 여기에서도 한국인의 특성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대칭적 비대칭성은 한국인의 희화성을 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공간의 중첩.
환기미술관에 있어서의 공간의 중첩은 문의 표현에 의해 나타내어지고 있다. 내부공간
에서의 이러한 중첩은 외부공간에서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이 보여지고 있으나 외부공간에
서도 이러한 공간구성을 엿볼 수 있다. 우물가 같기도 하고 대청마루같이도 한 이 곳 옥
상중정의 공간구성이 바로 그러하다.
우물을 중간에 두고 사면이 문으로 되어 있는데 이것은 공간간의 연속성을 보여주며 그
에 따른 깊이를 준다. 또한 이 곳 옥상중정은 내부와 통하는 중간적 공간으로 내부에서
외부로 통하는 문을 통유리로 처리함으로써 내부와 외부를 연결해주고 있다.
옥상정원의 연출.
환기미술관에서 이러한 이원성을 지닌곳은 옥상중정으로서 미술관내에서 외부공간으로
서의 연결점이자 공간의 연속선상이기도 하다. 외부공간인지 내부공간인지 명확하게 구별
이 안되는 공간으로써 가운데에 전통성을 느끼게 해주는 우물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
곳은 폐쇄와 개방사이의 적절한 조율에 의해 내외부감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는 양성적 공
간으로 느껴진다
Landmark적인 성격..
■ 대지 구성 및 배치
북 - 북한산성
서 - 인왕산
■ A - 본관
B - 별관 (아트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4.06
  • 저작시기200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33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