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본문내용
각도로 이루어진 그리드
(14) 정지그리드
X선 조사시 수상면에 대해서 정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그리드
(15) 이동그리드
X선 조사시 X선상으로부터 박막의 음영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리드가 수상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기구를 사용하는 그리드
(16) 그리드 밀도(기호:N, 단위:cm-¹)
직선그리드의 중심부에 있어서 cm당 박막의 수
(17) 그리드 비(기호:r)
직선 그리드의 중심부에 있어서 흡수하는 박막의 높이(h)와 박막사이의 거리(D)에 대한 비, 통상 박막의 간격은 1로서 표시한다.
평행 및 직속 그리드 비 : r = h/D
테이퍼 박키 그리드 비 : r = h0/D
여기서, h0 : 주면에 대한 박막의 높이
사교 그리드 비 : r₁= h₁/D₁ r₂= h₂/D₂
여기서 1,2 : 사교로 접혀진 각각의 그리드에 대한 박막의 높이와 간격
(18) 집속거리(기호:f0, 단위:cm)
집속그리드에 있어서 박막의 연장이 집속하는 선으로부터 그리드의 입사면까지 거리
(19) 사용거리한계)기호:f₁,f₂, 단위:cm)
X선관 초점을 그리드 중심선상에 놓았을 때 전단에 유효한 X선상을 얻을 수 있는 X선관초점과 집속그리드의 입사면까지의 거리, 그 하한치를 f1, 상한치를 f2로 한다.
(20) 중심선
그리드의 입사면상에 다음에 것을 표시한 직선
평행그리드는 박막의 방향과 유효면적의 중심선
집속그리드는 박막의 방향과 입사면에 수직인 박막의 위치
교차그리드는 박막의 양쪽에 대해 동일한 표시
(21) ㅂ차 X선투과률(기호:Tp)
6.라.(1)의 규정에 따라서 X선 선속중에 그리드를 놓았을 때 측정된 선량률(Ip)과 그리드를 그 X선 선속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측정한 선량률(Ip)의 비로서 통상 소수로 나타낸다.
Tp = I\'p/Ip
(22) 전X선투과률(기호:Tt)
6.라.(2)의 규정에 따라서 X선 선속중에 그리드를 놓았을 때 측정된 선량률과 그리드를 그 선속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측정된 전 X선 선량률의 비
(23) 산란X선 투과률(기호:Ts)
6.라.(3)의 규정에 따라서 X선 선속중에 그리드를 놓았을 때 측정된 산란X선의 선량률(I\'p)과 그리드를 그 선속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측정된 산란X선의 선량률(Is)의 비로서 통상소수로 나타낸다.
Ts = I\'s/Is
(24) 선택도(기호:Σ)
산란X선투과률에 대한 1차X선 투과률의 비
산란X선에 대한 1차X선의 비에 대한 상대적인 개선을 나타낸다.
Σ= Tp/Ts
(25) 대조도 개선도(기호:K)
전X선투과률에 대한 1차X선의 비에 대한 상대적인 개선을 나타낸다.
K=Tp/Tt
(26) 노출배수(기호:E)
전X선 투과률의 역수
B=1/Tt
2.3 종류 및 치수
그리드의 종류 및 치수는 제조회사에서 정한 개별규격에 따르고 그리드 외형치수 및 유효치수의 허용차는 -1.0mm이내이어야 하며 또한 그리드 두께의 허용차는 +0.5mm이내이어야 한다.
2.4 구조 및 외관
(1) 그리드의 유효부분은 X선흡수가 큰 박막과 X선흡수가 적은 중간물질을 서로 쌓아 놓은 구조이어야 함.
(2) 그리드는 균일한 재료를 이용하고 적절한 강도를 가진 것으로서 용이하게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어야 함.
(3) 그리드는 기계적 손상에 대해서 보호하고, 동시에 필요한 강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그 유효부분을 테로 둘러 양면을 보호판으로 피복함.
(4) 사용을 함에 있어서 변형, 비틀어짐 혹은 혹이 있어서는 안됨.
2.5 성능
(1) 기하학적 성능
①평면도
그리드의 표면에는 길이 100mm의 범위내에 0.2mm를 초과하는 굴곡이나 요철이 없어야 함.
②평행도
그리드의 두께에는 길이 100mm의 범위내에 0.5mm를 초과하는 변화가 없어야 함.
③직각도
각형그리드의 대각선 길이 d는 다음의 범위내에 있어야 함.
a≤d≤b
여기서, a: 각변이 모든 길이의 치수보다 1mm짧은 장방형의 대각선길이, b: 각변이 모든 기준의 치수와 같은 장방형의 대각선 길이
④그리드 밀도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이어야 함.
⑤그리드 비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이어야 함.
⑥집속거리
지정된 집속거리에 대응한 집속선상에 X선관 초점을 놓고 그리드를 조사하였을 때 그리드 중심부에 있어서 1차 X선 투과률에 대한 주변부의 1차X선 투과율의 백분률은 90~110%범위이내이어야 함.
⑦사용거리한계
X선관 초점을 중심선 직선상의 사용거리한계(f1,f2)에 놓고서 그리드를 X선 조사하였을 때 그리드 중심부에 있어서 1차X선의 투과율에 대한 주변부의 1차 X선 투과율은 60%이상이어야 함.
⑧균일성
6.다.(8)에 규정한 위치에 X선관 초점을 놓고서 촬영한 필름상에 얼룩이나 박막에 의한 줄무늬가 없어야 함.
(2) 물리적 성능
6.가 및 6.나에 규정한 조건에서 1차 X선투과률, 전X선투과률 및 산란X선투과률을 측정하고 이들에 의해서 계산된 값이 각각 다음의 기준에 접합하여야 함.
①선택도 : 허용치는 표시치의 ±10%이내
②대조도 선택도 :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
③노출배수 :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
2.7 표시
그리드에는 쉽게 지워지지 않고 X선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다음의 사항을 표시하여야 함.
(1) 제품명(모델명)
(2) 제조업자 또는 수입자(판매자 포함)의 상호 및 주소
(3) 수입자의 경우 제조원(제조국, 제조회사명)
(4) 제조업 허가번호 또는 수입자확인증 번호 및 제조*수입품목신고번호
(5) 제조번호와 제조년월일, 중량 또는 용량이나 개수 및 가격
(6) 사용방법(성능포함)과 사용상 주의사항 또는 경고의 표시
(7) 임상시험용 의료용구의 표시(필요한 경우에 한함)
(8) 기타 필요한 기재사항
3.방사선용 필름 카셋트
3.1적용범위
이 기준규격은 진요를 목적으로 방사선 사진 촬영시에 사용하는 방사선용 필름카셋트
3.2종류 및 치수
바깥쪽의 짧은 변 및 긴변의허용오차는±1mm이하
필름 수남부의 짧은 변 및 긴변의 허용오차는-0.5mm~-1mm이하
3.3카셋트 모양
옆도랑이있는경우와 없는경우
3.4성능
1)누광
표준현상 후 필름과 포그에 대한 흑화도가 0.3이하
2)밀착
표준현상을 한 필름을 x선사진관찰대에 걸어 시험관 구멍의상이 보이지 않을
(14) 정지그리드
X선 조사시 수상면에 대해서 정지한 상태로 사용하는 그리드
(15) 이동그리드
X선 조사시 X선상으로부터 박막의 음영을 제거하기 위하여 그리드가 수상면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기구를 사용하는 그리드
(16) 그리드 밀도(기호:N, 단위:cm-¹)
직선그리드의 중심부에 있어서 cm당 박막의 수
(17) 그리드 비(기호:r)
직선 그리드의 중심부에 있어서 흡수하는 박막의 높이(h)와 박막사이의 거리(D)에 대한 비, 통상 박막의 간격은 1로서 표시한다.
평행 및 직속 그리드 비 : r = h/D
테이퍼 박키 그리드 비 : r = h0/D
여기서, h0 : 주면에 대한 박막의 높이
사교 그리드 비 : r₁= h₁/D₁ r₂= h₂/D₂
여기서 1,2 : 사교로 접혀진 각각의 그리드에 대한 박막의 높이와 간격
(18) 집속거리(기호:f0, 단위:cm)
집속그리드에 있어서 박막의 연장이 집속하는 선으로부터 그리드의 입사면까지 거리
(19) 사용거리한계)기호:f₁,f₂, 단위:cm)
X선관 초점을 그리드 중심선상에 놓았을 때 전단에 유효한 X선상을 얻을 수 있는 X선관초점과 집속그리드의 입사면까지의 거리, 그 하한치를 f1, 상한치를 f2로 한다.
(20) 중심선
그리드의 입사면상에 다음에 것을 표시한 직선
평행그리드는 박막의 방향과 유효면적의 중심선
집속그리드는 박막의 방향과 입사면에 수직인 박막의 위치
교차그리드는 박막의 양쪽에 대해 동일한 표시
(21) ㅂ차 X선투과률(기호:Tp)
6.라.(1)의 규정에 따라서 X선 선속중에 그리드를 놓았을 때 측정된 선량률(Ip)과 그리드를 그 X선 선속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측정한 선량률(Ip)의 비로서 통상 소수로 나타낸다.
Tp = I\'p/Ip
(22) 전X선투과률(기호:Tt)
6.라.(2)의 규정에 따라서 X선 선속중에 그리드를 놓았을 때 측정된 선량률과 그리드를 그 선속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측정된 전 X선 선량률의 비
(23) 산란X선 투과률(기호:Ts)
6.라.(3)의 규정에 따라서 X선 선속중에 그리드를 놓았을 때 측정된 산란X선의 선량률(I\'p)과 그리드를 그 선속으로부터 제거하였을 때 측정된 산란X선의 선량률(Is)의 비로서 통상소수로 나타낸다.
Ts = I\'s/Is
(24) 선택도(기호:Σ)
산란X선투과률에 대한 1차X선 투과률의 비
산란X선에 대한 1차X선의 비에 대한 상대적인 개선을 나타낸다.
Σ= Tp/Ts
(25) 대조도 개선도(기호:K)
전X선투과률에 대한 1차X선의 비에 대한 상대적인 개선을 나타낸다.
K=Tp/Tt
(26) 노출배수(기호:E)
전X선 투과률의 역수
B=1/Tt
2.3 종류 및 치수
그리드의 종류 및 치수는 제조회사에서 정한 개별규격에 따르고 그리드 외형치수 및 유효치수의 허용차는 -1.0mm이내이어야 하며 또한 그리드 두께의 허용차는 +0.5mm이내이어야 한다.
2.4 구조 및 외관
(1) 그리드의 유효부분은 X선흡수가 큰 박막과 X선흡수가 적은 중간물질을 서로 쌓아 놓은 구조이어야 함.
(2) 그리드는 균일한 재료를 이용하고 적절한 강도를 가진 것으로서 용이하게 변형을 일으키지 않는 것이어야 함.
(3) 그리드는 기계적 손상에 대해서 보호하고, 동시에 필요한 강성을 갖게 하기 위하여 그 유효부분을 테로 둘러 양면을 보호판으로 피복함.
(4) 사용을 함에 있어서 변형, 비틀어짐 혹은 혹이 있어서는 안됨.
2.5 성능
(1) 기하학적 성능
①평면도
그리드의 표면에는 길이 100mm의 범위내에 0.2mm를 초과하는 굴곡이나 요철이 없어야 함.
②평행도
그리드의 두께에는 길이 100mm의 범위내에 0.5mm를 초과하는 변화가 없어야 함.
③직각도
각형그리드의 대각선 길이 d는 다음의 범위내에 있어야 함.
a≤d≤b
여기서, a: 각변이 모든 길이의 치수보다 1mm짧은 장방형의 대각선길이, b: 각변이 모든 기준의 치수와 같은 장방형의 대각선 길이
④그리드 밀도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이어야 함.
⑤그리드 비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이어야 함.
⑥집속거리
지정된 집속거리에 대응한 집속선상에 X선관 초점을 놓고 그리드를 조사하였을 때 그리드 중심부에 있어서 1차 X선 투과률에 대한 주변부의 1차X선 투과율의 백분률은 90~110%범위이내이어야 함.
⑦사용거리한계
X선관 초점을 중심선 직선상의 사용거리한계(f1,f2)에 놓고서 그리드를 X선 조사하였을 때 그리드 중심부에 있어서 1차X선의 투과율에 대한 주변부의 1차 X선 투과율은 60%이상이어야 함.
⑧균일성
6.다.(8)에 규정한 위치에 X선관 초점을 놓고서 촬영한 필름상에 얼룩이나 박막에 의한 줄무늬가 없어야 함.
(2) 물리적 성능
6.가 및 6.나에 규정한 조건에서 1차 X선투과률, 전X선투과률 및 산란X선투과률을 측정하고 이들에 의해서 계산된 값이 각각 다음의 기준에 접합하여야 함.
①선택도 : 허용치는 표시치의 ±10%이내
②대조도 선택도 :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
③노출배수 : 허용차는 표시치의 ±5%이내
2.7 표시
그리드에는 쉽게 지워지지 않고 X선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는 방법으로 다음의 사항을 표시하여야 함.
(1) 제품명(모델명)
(2) 제조업자 또는 수입자(판매자 포함)의 상호 및 주소
(3) 수입자의 경우 제조원(제조국, 제조회사명)
(4) 제조업 허가번호 또는 수입자확인증 번호 및 제조*수입품목신고번호
(5) 제조번호와 제조년월일, 중량 또는 용량이나 개수 및 가격
(6) 사용방법(성능포함)과 사용상 주의사항 또는 경고의 표시
(7) 임상시험용 의료용구의 표시(필요한 경우에 한함)
(8) 기타 필요한 기재사항
3.방사선용 필름 카셋트
3.1적용범위
이 기준규격은 진요를 목적으로 방사선 사진 촬영시에 사용하는 방사선용 필름카셋트
3.2종류 및 치수
바깥쪽의 짧은 변 및 긴변의허용오차는±1mm이하
필름 수남부의 짧은 변 및 긴변의 허용오차는-0.5mm~-1mm이하
3.3카셋트 모양
옆도랑이있는경우와 없는경우
3.4성능
1)누광
표준현상 후 필름과 포그에 대한 흑화도가 0.3이하
2)밀착
표준현상을 한 필름을 x선사진관찰대에 걸어 시험관 구멍의상이 보이지 않을
추천자료
특수진단검사와 간호
진단검사와 간호
진단검사 [의약학]
[유방암][유방암수술][종양][유방]유방암의 개념, 유방암의 원인, 유방암의 발생 빈도, 유방...
지역사회 간호진단(퇴행성관절염에 대하여)
[골절][관골 골절][두개 골절][안면골 골절][골절 치료]골절의 정의, 골절의 증상, 골절의 응...
순환기계의진단적검사[1][1]
진단세포학
의료기사등에 관한 법률
진단.검
[성인간호학] 고혈압과 췌장암 - 고혈압 (고혈압 정의 및 분류, 원인, 병태생리, 증상과 징후...
종양아동간호, 골육종, Ewing육종, 골종양, 고형종양, Wilms종양, 횡문근육종, 종양간호, 골...
지역사회건강 문제와 간호 - 가족건강상태에 대한 탐색, 가족구조 탐색, 가족발달 탐색, 가...
진단검사 및 임상적의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