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2000년 교회 역사를 돌이켜 보며 21세기 교회를 전망한다.
1. 고대 기독교(100-600)
2. 중세 기독교(A.D.600-1500)
3. 16세기 종교개혁
4. 18세기 경건주의와 복음주의 부흥 운동
5. 19세기 기독교 역사
6.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
7. 결론
II. 로마 제구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확장하고 확장되는 기독교(100-313)
1. 기독교의 확장
2. 신약성경 안에 있는 교회의 분열과 일치 추구
3. 신약성경의 사도적 교회 안에 있었던 이단들
4. 속사도 교부들
5. 복음의 변증
6. 이단들의 도전에 대한 기독교의 응전
7.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Ⅲ. 로마 제국의 보호 하에 국가 교회화하는 기독교(313-600)
1. 비잔티 기독교(Byzantine Christianity)
2. 콘스탄틴 대제의 기독교에 대한 호의
lV. 중세 기독교(A.D. 600-950)
1. 중세 기독교
2. 중세 황금기(A.D. 950-1350)
3. 몰락하는 중세기(A.D. 1350-1500)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 복음을 재발견한 루터의 종교개혁과 루터교의 형성(16세기)
1. 종교개혁
2. 이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I. 칼빈의 제네바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형성및 기타 종교개혁(16세기)
1. 스위스의 종교 개혁과 개혁전통
2. 스코틀렌드 종교개혁
3. 영국의 종교개혁
4. 좌경화 종교개혁
5. 반 종교 개혁(the counter-reformation)
6.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II. 교파주의를 절대시하는 17세기정통주의 시대
1. 루터교 정통주의
2. 개혁 교회의 정통주의
3. 프랑스의 위그노와 영국의 퓨리탄
4.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정통주의
5. 이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III. 18세기의 계몽주의. 경건주의 및 복음주의 부흥운동
1. 계몽주의
2. 경건주의 운동
3. 복음주의 각성 운동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IX. 유럽의 세속화. 독일의 자유주의적 개신교신학. 그러나 “위대한 선교의 세 기”(19세기)
1. 유럽의 세속화
2. 자유주의적 개신교 신학
3. 위대한 선교의 세기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X. 20세기의 도전에 대한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응전
1. 20세기의 도전
2. 개신교의 응전
3.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응전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과 전망
XI. 세계 개신교의 에큐메니칼 운동
1. 2,000년 서양 교회사를 통해서 본 세계 개신교의 에큐메니칼 운동
2. W.C.C.의 교회 일치 추구의 역사
1. 고대 기독교(100-600)
2. 중세 기독교(A.D.600-1500)
3. 16세기 종교개혁
4. 18세기 경건주의와 복음주의 부흥 운동
5. 19세기 기독교 역사
6. 20세기 에큐메니칼 운동
7. 결론
II. 로마 제구의 박해에도 불구하고 확장하고 확장되는 기독교(100-313)
1. 기독교의 확장
2. 신약성경 안에 있는 교회의 분열과 일치 추구
3. 신약성경의 사도적 교회 안에 있었던 이단들
4. 속사도 교부들
5. 복음의 변증
6. 이단들의 도전에 대한 기독교의 응전
7.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Ⅲ. 로마 제국의 보호 하에 국가 교회화하는 기독교(313-600)
1. 비잔티 기독교(Byzantine Christianity)
2. 콘스탄틴 대제의 기독교에 대한 호의
lV. 중세 기독교(A.D. 600-950)
1. 중세 기독교
2. 중세 황금기(A.D. 950-1350)
3. 몰락하는 중세기(A.D. 1350-1500)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 복음을 재발견한 루터의 종교개혁과 루터교의 형성(16세기)
1. 종교개혁
2. 이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I. 칼빈의 제네바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형성및 기타 종교개혁(16세기)
1. 스위스의 종교 개혁과 개혁전통
2. 스코틀렌드 종교개혁
3. 영국의 종교개혁
4. 좌경화 종교개혁
5. 반 종교 개혁(the counter-reformation)
6.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II. 교파주의를 절대시하는 17세기정통주의 시대
1. 루터교 정통주의
2. 개혁 교회의 정통주의
3. 프랑스의 위그노와 영국의 퓨리탄
4. 로마 가톨릭 교회의 정통주의
5. 이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VIII. 18세기의 계몽주의. 경건주의 및 복음주의 부흥운동
1. 계몽주의
2. 경건주의 운동
3. 복음주의 각성 운동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IX. 유럽의 세속화. 독일의 자유주의적 개신교신학. 그러나 “위대한 선교의 세 기”(19세기)
1. 유럽의 세속화
2. 자유주의적 개신교 신학
3. 위대한 선교의 세기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X. 20세기의 도전에 대한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교회의 응전
1. 20세기의 도전
2. 개신교의 응전
3. 로마 가톨릭 교회의 응전
4.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과 전망
XI. 세계 개신교의 에큐메니칼 운동
1. 2,000년 서양 교회사를 통해서 본 세계 개신교의 에큐메니칼 운동
2. W.C.C.의 교회 일치 추구의 역사
본문내용
의 여러 신학적 주제들은 중세 교회의 교회 의 페러다임 을 바꾸어 놓았다. 1) 이신 칭의 는 구원론에 있어서 르네상스 휴머니즘. 후기 중세기 유명론. 에라스무스. 로마 가톨리시즘이 주장하는바. 구원론에 있어서 인간의 도덕적 공헌을 거부 함 으로서. 신학적 페러다임 이동을 가져왔다. 2) 의인인 동시에 죄인은 복음과 문화의 관계에 있어서 양자의 불연속성을 말하면서. 동시에 복음의 문화 참여라고 하는 역설을 주장하는바. 중세 신학의 페러 다임을 바꾸어 놓았다. 3) 율법과 복음은 복음이 철학. 교회의 법. 교회의 제도와 직제. 기타 교회의 행습들에 의한 교회의 요구들에 의하여 질식당하는 상황에서 중세 신학의 페러다임 이동을 가져왔다. 4) 오직 성서로만 과 복음의 재발견은 니케아 신조와 칼케톤 신조 그리고 칼케돈기독론을 제외한. 기타 중세교회의 전통을 제거함으로써. 중세 신학의 페러다임 이동을 가져왔다. 5) 루터의 만인 제사장직론 은 성. 속의 이중구조를 깨뜨렸다. 복음을 신앙으로 받아들여 그리스도인이 된 사람들은 모두 하나님 존전에서 신분이 같다는 것이다. 6) 중세는 성직에 관하여만 소명(Beruf. Vocatio) 이라는 말을 적용하였으나. 루터는 만인 제사장직론 에 입각하여 모든 직업을 하나님의 소명으로 보았다. 7) 교회와 국가의 관계에 있어서 중세기는 교회가 국가위에 군림케 하였고. 국가를 자신에게 예속시켰으나. 루터는 교회의 영적 임무와 국가의 세속적 임무를 확실히 구분하였다.
VI. 칼빈의 제네바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형성및 기타 종교개혁(16세기)
1. 스위스의 종교 개혁과 개혁전통
루터와 나이가 같은 쯔빙글리 가 1518년 쮜리히 에서 종교 개혁을 일으킨 이래로. 파렐은 1528년 베른에서. 오이코담파리우스는 1526년 바젤에서. 마틴 부처는 1523년 슈트라스부르크에서 그리고 칼빈은 1535년 제네바에서 각각 종교개혁을 일으켰다. 칼빈의 제네바 종교 개혁은 파렐에 의해서 준비되었고. 제네바 시 의회에 의해서 공식화 되었다.
2. 스코틀렌드 종교개혁
종교개혁당시 스코틀렌드는 영국과 프랑스의 지배하에서. 등거리 외교를 펼쳤다. 결국. 스코틀렌드는 이같은 외세로부터 독립하는 과정에서 개혁 전통의 종교개혁을 국가 차원에서 받아들인다. 스코틀렌드 종교개혁의 특징은 국가 전체적으로 장로교(개혁교회)를 받아들였다고 하는 사실이다. 즉. 스코틀렌드는 1560년 국회에서 녹스에 의해서 작성된 스코틀렌드 신앙 고백서를 채택하여 국가차원에서 장로교 나라가 되었다. 그런데 이처럼 국가 교회 체제를 지닌. 스코틀렌드 장로교회는 19세기에 이르러 분열의 아픔을 경험한다. 즉. 자유교회가 기성국가 교회로부터 분리해 나갔던 것이다. 20세기의 최근에 들어서서 이 두 교회는 통합에 성공하였다.
3. 영국의 종교개혁
보통 성공회라 일컬어지는 교파는 헨리8세(1491-1547)로부터 시작되는 영국 종교개혁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 감독들을 직접 임명하고 이들을 국가 공직에까지 기용했던 헨리 8세는 무었보다도 루터의 책들을 읽지 못하게 하였고. 루터 종교개혁에 반론하여 1521년 7성례전들에 대한 주장이란 책을 저술할 정도였다. 헨리8세의 뒤를 이은 에드워드 6세는 개혁교회 계통의 왕으로서 영국교회를 개신교화 하는 일에 크게 기여 하였다. 엘리자베스1세 때에는 청교도 운동이 시작되어 영국 성공회가 또다시 개신교화 하는 경험을 하였으니. 1563년에 그 유명한 “93개 조항”이 채택되었다. 이처럼 영국의 종교개혁은 왕조 중심의 종교개혁으로서 개신교화(Protestantization)의 과정을 밟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4. 좌경화 종교개혁
쮜리히 정부의 지원을 받아 종교 개혁을 수행한 쯔빙글리의 종교개혁에 반대하여 그레벨. 만츠. 블라우로크. 후브마이어. 후터등을 지도자로 하는 재세례파가 등장하였다. 재세례파들은 콘스탄틴 대제 이전시대 혹은 니케아 이전시대를 교회사의 황금기로 보고 그 이후는 타락의 역사로 본다. 루터나 칼빈은 일편단심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와 그 신학을 개혁 하려는 생각밖에 없었으나. 이들 좌경화 종교 개혁자들은 처음부터 분리주의를 지향했던 것이다.
5. 반 종교 개혁(the counter-reformation)
종교개혁은 로마 가톨릭 교회 안에서도 일어났다. 개신교적 종교개혁의 공격에 대한 반격으로 일어난 종교개혁이기에. 교회사를 이를 반(反)종교개혁 이라 부른다.
6.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1). 우리는 우리 한국 장로교(개혁교회)의 기원을 제네바를 비롯한 스위스의 여러 도시 국가들의 개혁 교회에까지 소급하여 찾게된다. 2). 성공회의 기원과 역사에서 우리는 국가 교회의 전형적인 습을 발견한다. 3). 16세기 당시 좌경화 종교개혁 교파 사람들이 도처에서 심한 박대를 받은 사실은 종교의 다원화가 아직 실현되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4). 서유럽은 한편 가톨릭 교회의 종교개혁으로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교회가 결별하게 되는 비극을 경험하였으나. 다른 한편 이 가톨릭교회가 결별하게 되는 비극을 경험하였으나. 다른 한편 이 가톨릭 종교개혁은 가톨릭교회를 개혁으로 인도하였다.
VII. 교파주의를 절대시하는 17세기정통주의 시대
1. 루터교 정통주의
17세기의 루터교와 개혁교회 그리고 로마 가톨릭 교회는 경직화된 교리 체계에 입각한 교파 절대주의 시대를 열었다. 17세기 당시 루터교는 독일의 영주국들과 스칸디나비아 3국에. 개혁교회는 스위스. 프랑스. 화란. 스코틀렌드. 영국. 독일의 일부. 헝가리. 폴란드 등에. 그리고 로마 가톨릭 교회는 서 유럽의 그 나머지 지역에 확산 되었던바. 교파들 간의 신학적 싸움은 곧바로 영주국들 간에 그리고 국가 간의 전쟁으로 이어진다. 1577년엔 순수 루터주의를 재정립하는 일치신조가 작성되었다. 이 신조야말로 루터 교 정통주의 의 전주곡으로써 아리스토테레스의 철학을 많이 사용하는 루터교 정통주의 교의학을 낳게한다.루터교 정통주의 교의학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경관과 자연의 초자연의 이층구조에 입각한 계시론이다.
2. 개혁 교회의 정통주의
개혁교회 역시 17세기에는 정통주의 시대를
VI. 칼빈의 제네바 종교개혁과 개혁교회의 형성및 기타 종교개혁(16세기)
1. 스위스의 종교 개혁과 개혁전통
루터와 나이가 같은 쯔빙글리 가 1518년 쮜리히 에서 종교 개혁을 일으킨 이래로. 파렐은 1528년 베른에서. 오이코담파리우스는 1526년 바젤에서. 마틴 부처는 1523년 슈트라스부르크에서 그리고 칼빈은 1535년 제네바에서 각각 종교개혁을 일으켰다. 칼빈의 제네바 종교 개혁은 파렐에 의해서 준비되었고. 제네바 시 의회에 의해서 공식화 되었다.
2. 스코틀렌드 종교개혁
종교개혁당시 스코틀렌드는 영국과 프랑스의 지배하에서. 등거리 외교를 펼쳤다. 결국. 스코틀렌드는 이같은 외세로부터 독립하는 과정에서 개혁 전통의 종교개혁을 국가 차원에서 받아들인다. 스코틀렌드 종교개혁의 특징은 국가 전체적으로 장로교(개혁교회)를 받아들였다고 하는 사실이다. 즉. 스코틀렌드는 1560년 국회에서 녹스에 의해서 작성된 스코틀렌드 신앙 고백서를 채택하여 국가차원에서 장로교 나라가 되었다. 그런데 이처럼 국가 교회 체제를 지닌. 스코틀렌드 장로교회는 19세기에 이르러 분열의 아픔을 경험한다. 즉. 자유교회가 기성국가 교회로부터 분리해 나갔던 것이다. 20세기의 최근에 들어서서 이 두 교회는 통합에 성공하였다.
3. 영국의 종교개혁
보통 성공회라 일컬어지는 교파는 헨리8세(1491-1547)로부터 시작되는 영국 종교개혁에서 비롯되었다. 하지만 로마 가톨릭 감독들을 직접 임명하고 이들을 국가 공직에까지 기용했던 헨리 8세는 무었보다도 루터의 책들을 읽지 못하게 하였고. 루터 종교개혁에 반론하여 1521년 7성례전들에 대한 주장이란 책을 저술할 정도였다. 헨리8세의 뒤를 이은 에드워드 6세는 개혁교회 계통의 왕으로서 영국교회를 개신교화 하는 일에 크게 기여 하였다. 엘리자베스1세 때에는 청교도 운동이 시작되어 영국 성공회가 또다시 개신교화 하는 경험을 하였으니. 1563년에 그 유명한 “93개 조항”이 채택되었다. 이처럼 영국의 종교개혁은 왕조 중심의 종교개혁으로서 개신교화(Protestantization)의 과정을 밟아 오늘에 이르고 있다.
4. 좌경화 종교개혁
쮜리히 정부의 지원을 받아 종교 개혁을 수행한 쯔빙글리의 종교개혁에 반대하여 그레벨. 만츠. 블라우로크. 후브마이어. 후터등을 지도자로 하는 재세례파가 등장하였다. 재세례파들은 콘스탄틴 대제 이전시대 혹은 니케아 이전시대를 교회사의 황금기로 보고 그 이후는 타락의 역사로 본다. 루터나 칼빈은 일편단심으로 로마 가톨릭 교회와 그 신학을 개혁 하려는 생각밖에 없었으나. 이들 좌경화 종교 개혁자들은 처음부터 분리주의를 지향했던 것이다.
5. 반 종교 개혁(the counter-reformation)
종교개혁은 로마 가톨릭 교회 안에서도 일어났다. 개신교적 종교개혁의 공격에 대한 반격으로 일어난 종교개혁이기에. 교회사를 이를 반(反)종교개혁 이라 부른다.
6. 이 시대가 우리에게 주는 교훈
1). 우리는 우리 한국 장로교(개혁교회)의 기원을 제네바를 비롯한 스위스의 여러 도시 국가들의 개혁 교회에까지 소급하여 찾게된다. 2). 성공회의 기원과 역사에서 우리는 국가 교회의 전형적인 습을 발견한다. 3). 16세기 당시 좌경화 종교개혁 교파 사람들이 도처에서 심한 박대를 받은 사실은 종교의 다원화가 아직 실현되고 있지 않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4). 서유럽은 한편 가톨릭 교회의 종교개혁으로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교회가 결별하게 되는 비극을 경험하였으나. 다른 한편 이 가톨릭교회가 결별하게 되는 비극을 경험하였으나. 다른 한편 이 가톨릭 종교개혁은 가톨릭교회를 개혁으로 인도하였다.
VII. 교파주의를 절대시하는 17세기정통주의 시대
1. 루터교 정통주의
17세기의 루터교와 개혁교회 그리고 로마 가톨릭 교회는 경직화된 교리 체계에 입각한 교파 절대주의 시대를 열었다. 17세기 당시 루터교는 독일의 영주국들과 스칸디나비아 3국에. 개혁교회는 스위스. 프랑스. 화란. 스코틀렌드. 영국. 독일의 일부. 헝가리. 폴란드 등에. 그리고 로마 가톨릭 교회는 서 유럽의 그 나머지 지역에 확산 되었던바. 교파들 간의 신학적 싸움은 곧바로 영주국들 간에 그리고 국가 간의 전쟁으로 이어진다. 1577년엔 순수 루터주의를 재정립하는 일치신조가 작성되었다. 이 신조야말로 루터 교 정통주의 의 전주곡으로써 아리스토테레스의 철학을 많이 사용하는 루터교 정통주의 교의학을 낳게한다.루터교 정통주의 교의학의 가르침들 가운데 가장 중요한 것은 성경관과 자연의 초자연의 이층구조에 입각한 계시론이다.
2. 개혁 교회의 정통주의
개혁교회 역시 17세기에는 정통주의 시대를
키워드
추천자료
강성열, 『구약성서의 신앙과 세계 』. 요약, 감상
세계 종교사 입문 요약 정리
이슬람 원리주의, 이슬람교 상식, 이슬람 세계 의례, 이슬람 국가 인구별 비율, 이슬람 일부...
[국제적 노동조합기구의 결성] 국제노동조합연맹(IFTU), 세계노동조합연합 (WFTU), 국제자유...
세계문화기행1 - 미국 중간고사 요약 & 프랑스의 개관 & 중국문화 개관
사이버 문화의 개념, 정의, 특징, 공헌, 사이버 문화의 부정적인 측면, 사이버 문화 기독교 ...
[독후감/서평/요약/줄거리] 나는 세계일주로 자본주의를 만났다 _ 코너 우드먼 (Conor Woodma...
[독후감/감상문/서평/요약/줄거리] 내가 보고 싶었던 세계 - 하버드대 종신교수 석지영의 예...
[교사론 요약] 교직사회 : 교직과 교사의 삶(School teacher) _ 로티(Dan C. Lortie) 저
[요약, 감상문] 세계사를 움직이는 다섯가지 힘 _ 사이토 다카시(齋藤孝) 저
반도체의 개념및 사례요약,전략분석 및 성공요인,세계 반도체 현황,사례분석 삼성 반도체 사...
[기독교교육]한국 교회 에큐메니칼운동의 역사 - 대한제국시기, 일제의 식민지배시기, 1950년...
『실천신학 강의안』 _ 이승철 저 [기독교교리와윤리 요약 및 독후감, 분석]
[책 요약][세계문화 이해 마틴 J.개논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