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개론 레포트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경개론 레포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연대로 볼 때 B.C 5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3) 기록 장소: 유다 예루살렘. 에스라가 귀국 후 이스라엘 백성의 신앙을 지도했던 예루살렘으로 추정된다.
4) 기록 목적: 1. 과거 하나님께서 다윗을 통해 보여주신 신정정치의 영화를 회상하며 하나님에 대한 신앙을 회복케 하기 위하여.
2. 하나님이 주신 언약의 성취 역사를 보여줌으로써 언약 백성의 영원성을 깨닫게 하기 위하여.
5) 역사적 배경: 모세의 율법에 대한 충성심을 회복할 뿐만 아니라 성전 제사를 재확립할 목적을 가지고 주전 457년에 바벨론에서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에스라는 이방인들과 혼인을 금하고 바사왕의 허락을 받아 예루살렘 성벽을 재건하고자 했다. 그렇지만, 느헤미야가 주전 445년(또는 444년)에 귀환하여 합세하기 전까지는 성벽 재건이나 모세의 율법 회복이 제대로 되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바벨론 포로에서 에스라와 함께 귀환한 유대 백성들을 비롯하여 예루살렘의 백성들이 역경에 부딪히자 낙담하였던 것이다. 이같은 상황에서 지난날 하나님이 유대 백성에게 위대한 승리와 번영을 주신 것을 회고케 하고 지금도 그 하나님이 함께 하심을 알게 할 목적으로 이 역사서를 기록한 것이다.
6) 주제와 중심내용: 에스라는 이스라엘 역사의 종말적 시점에서 창세 때로부터 에스라 당대까지의 역사를 개관하되, 하나님이 유대 민족을 모세 율법에 기초하여 제사장 나라로 사용하여 여전히 섭리하고 계신다는 것을 주제로 삼아 기술하고 있다.
7) 개요: 가. 아담으로부터 다윗가지의 계보(1~9장)
나. 다윗의 통치(10~29장)
a. 다윗의 등극(10~12장)
b. 법궤 안치(13~17장)
c. 다윗의 정복 사업(18~20장)
d. 성전 건축 준비(21~27장)
e. 다윗의 마지막 생애(28~29장)
역대하
1) 저자: 에스라. 본서의 마지막 부분과(36:22,23) 에스라의 서론(스1:1~3)이일치하며 문체 및 사상이 다른 에스라의 저작술들과 유사한 점등이 그의 저작설을 뒷받침해 준다.
2) 기록 연대: B.C 450년경. 역대상과 동일하다.
3) 기록 장소: 유다 예루살렘.
4) 기록 목적: 1. 주로 유다 왕들의 통치를 기록함으로써 남왕구 유다의 정통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2. 성전건축의 역사와 제사제도에 대한 언급을 통하여 하나님만이 예배받으실 분임을 강조하기 위하여.
5) 역사적 배경: 역대상과 동일.
6) 주제와 중심내용: 역대상과 동일.
7) 개요: 가. 솔로몬의 통치(1~9장)
a. 솔로몬의 등극(1장)
b. 성전 건축(2~7장)
c. 솔로몬의 치세(8~9장)
나. 유다 왕국의 역사(10:1~36:16)
a. 왕국의 분열(10~11장)
b. 분열 이후 유다 왕국의 통치자들(12:1~36:16)
다. 유다 왕국의 멸망 및 회복에 대한 예언(36:17~23)
에스라
1) 저자: 에스라. 탈무드의 기록과 본서에 나타나는 일인칭 화법(7:28~9:15) 및 사건 묘사의 치밀성으로 보아 본서의 주인공으로서 당시 사회 벽혁에 있어서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고 ‘모세의 율법에 익숙한 학사’(7:6) 였던 에스라가 가장 유력하다.
2) 기록 연대: B.C 444년 이후. 느헤미야 귀국이후, 에스라 생애 말기로 추정된다.
3) 기록 장소: 유다 예루살렘. 귀환한 유다인들의 생활 중심지였고, 종교 근거지였던 예루살렘으로 추정된다.
4) 기록 목적: 1. 바벨론 포로귀환 이후에 팔레스타인의 유다인 사회에 있었더 성전건축 역사를 보여주기 위하여.
2. 바벨론 포로귀환과 성전재건을 통해서 드러난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의 역사하심을 보여주기 위하여.
5) 역사적 배경: 바벨론을 멸망시키고 근동의 패자로 등장한 바사는 종교적 화해 정책을 폈으므로 포로귀환과 성전재건이 실현될 수 있었다.
6) 주제와 중심내용: 본서는 예루살렘 성전 재건을 통한 유대 민족의 영적, 도덕적 회복을 주제로 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특별히 유대 백성들의 신앙의 기반인 성전을 중심으로 율법 교육을 펴 백성들을 각성시키고, 그리하여 하나님의 언약에 충실케 하는 운동이 본서에 다루어져 있다.
7) 개요: 가. 스룹바벨의 인도 아래 있었던 제 1차 귀환(1~6장)
a. 고레스의 칙령(1장)
b. 인구 조사(2장)
c. 성전 재건 시작(3장)
d. 성전 재건 방해 공작(4장)
e. 성전 재건 재개(5:1~6:12)
f. 성전 재건 완성과 유월절 행사(6:13~22)
나. 에스라의 인도 아래 있었던 제 2차 귀환(7~10장)
a. 예루살렘 귀환(7~8장)
b. 예루살렘에서의 부흥운동(9~10장)
느헤미야
1) 저자: 느헤미야. 혹자는 에스라의 저작으로 보기도 하나 본서에 일인칭 화법이 사용되었고 체험적 내용이 기록되었다는 점에서 느헤미야가 더 유력하다.
2) 기록 연대: B.C 420년경. 느헤미야의 총독 제직 시기를 B.C 444~425년경으로 볼 수 있으나 본서는 은퇴 이후의 기록인 듯하다.
3) 기록 장소: 유다 예루살렘. 느헤미야가 총독으로 거주했고 본서의 지리적 배경이 되는 예루살렘으로 추정된다.
4) 기록 목적: 1. 3차 귀환의 과정과 성벽중건의 역사를 보여주기 위하여.
2. 이스라엘의 예루살렘 정착과 종교적 정황을 보여주기 위하여.
3. 언약에 신실하신 하나님의 사랑과 이에 대한 인간의 복종의 당위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5) 역사적 배경: 느헤미야가 예루살렘에 도착하지 13년전에 에스라는 이미 귀환하여 학개와 스가랴의 지도 아래 재건된 성전을 중심으로 백성들에게 여호와의 율법을 가르쳐 그들을 영적으로 재무장시키고 있었으나, 그의 개혁 운동은 사회가 불안정했던 까닭에 크게 호응을 얻지 못했다. 그러다가 느헤미야가 뒤환하면서 예루살렘 성벽 재건을 위해 아닥사스다 왕의 허락을 받음은 물론 재정적 지원까지 받아 옴으로써 예루살렘 성벽재건이 52일만에 완공되자 예루살렘이 안녕과 질서를 되찾게 되었다. 이로써, 에스라와 느헤미야는 본격적으로 도덕적 영적개혁을 추구할 수 있었던 것이다.
6) 주제와 중심내용: 본서의 주제는 예루살렘 성벽의 재건과 여호와의 율법에 대한 충성을 통한 영성과 도덕성의 회복이다.
7) 개요: 가. 예루살렘 성벽 재건(1~7장)
a. 느헤미야 이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9.04.07
  • 저작시기200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289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